포스코가 국내 조선사들과의 후판가 협상에서 가격을 인상하는데 성공했다. 현대제철 역시 지난해보다 인상된 가격으로 공급계약을 논의하고 있다. 정부의 반덤핑관세조치로 중국산 후판 수입이 줄어들 것이란 관측이 나오자 철강사들의 협상력이 강해졌다는 분석이다. 국내 철강사가 선박용 철강인 후판 부문에서 적자를 벗어날 수 있을 것이란 관측이 나온다. ○후판협상 조기타결27일 철강업계에 따르면 포스코는 HD한국조선해양, 한화오션, 삼성중공업과의 2분기 후판 가격 협상을 마쳤다. 후판은 두께 6㎜ 이상의 강판으로 주로 선박제조에 사용되는 철강이다. 협상가는 80만원 안팎인 것으로 알려졌다. 철강사와 조선사는 매반기마다 후판 공급가를 결정했지만 올해부터는 분기마다 가격을 정한다. 1분기 가격은 지난해 하반기(70만원 후반)보다 소폭 상승했고, 이번에 또다시 소폭 상승해 80만원선까지 오른 것으로 전해진다. 후판협상가는 2023년 상반기 약 100만원에서 매반기마다 하락했지만 2년만에 반등한 셈이다. 현대제철도 1~2분기 가격협상을 진행중이다. 지난해 가격보다는 인상하는데에는 어느정도 합의를 이룬 것으로 알려졌다. 양측은&nb
주말·공휴일 기차가 출발하기 직전 표를 환불할 경우 물게 되는 위약금이 두 배로 인상된다. 승차권 없이 무임승차할 경우 부과하는 부가 운임도 두 배로 높이고, 부과 기준을 강화하기로 했다. 스마트폰 애플리케이션(앱)을 활용해 수요가 몰리는 주말과 공휴일 기차표를 예매한 후 출발시간에 임박해 환불하는 사례, 또는 무임승차하는 '얌체족'을 막기 위해서다.국토교통부와 한국철도공사(코레일), 수서고속철도(SRT) 운영사 에스알(SR)은 주말(금요일 포함)·공휴일 열차 위약금(취소 수수료)과 부정 승차 부가 운임 기준 강화를 위해 여객 운송 약관을 개정한다고 27일 밝혔다.새 위약금 기준은 오는 5월28일부터, 부정 승차 부가 운임 기준은 오는 10월1일부터 적용된다.이번 개편으로 금∼일요일과 공휴일에는 열차 출발 시각을 기준으로 이틀 전까지는 400원, 하루 전은 영수 금액의 5%, 출발 당일 3시간 전까지는 10%, 출발 3시간 전부터 출발 시각 전까지 20%, 출발 후 20분까지 30%의 위약금을 부과한다.현재 출발 하루 전까지는 400원, 출발 당일 3시간 전까지 5%, 출발 3시간 전부터 출발 시각 전까지 10%, 출발 후 20분까지 15%를 부과한다는 점을 고려하면 위약금이 2배로 많아지는 셈이다.또한 승차권 없이 탔을 때 기준 운임에 더해 부과되는 부가 운임은 기준 운임의 50%에서 100%로 상향 조정하기로 했다. 일례로 현행은 서울∼부산 KTX에 표를 사지 않고 타면 기준 운임 5만9800원에 50%의 부가 운임을 더한 8만9700원을 내야 한다. 올해 10월부터는 100%를 더해 11만9600원을 납부해야 한다.또한 현재는 일단 단거리 구간 승차권을 구입한 후 열차에 탄 뒤 장거리 구간으로 연장하면 부가 운임을 내지
이복현 금융감독원장은 "(윤석열 정부) 인수위원회 시절부터 상법 개정을 준비했지만, 재계의 반대 때문에 추진되지 못했다"고 밝혔다. 향후 거취에 대해선 "아직 정해진 게 없다"면서도 민주당에 합류하는 일은 없다고 선을 그었다.유튜브 채널 '삼프로TV'는 27일 오전 '왜 그는 직을 걸면서까지 상법 개정안을 지키려 했나?'는 제목의 영상을 올렸다. 영상에 출연한 이 원장은 "인수위 때부터 상법 개정을 위한 준비를 해왔다"며 "본질적인 것은 충실의무를 상법 등에 포함하고, 제3자의 독립성을 보장하며, 적정 밸류에이션(실적 대비 주가 수준)을 확인할 수 있는 자료를 마련하는 것"이라고 말했다.이어 "현재 민주당이 낸 것보다 세련되고 깔끔한 조문을 준비해놨었다. 개정을 추진하려 했는데, 과정에서 재계의 반대가 너무 강했다"고 밝혔다. 앞서 민주당은 '이사의 주주충실 의무'를 포함한 상법 개정안을 발의했지만, 한덕수 대통령 권한대행이 재의요구권을 행사했다. 이후 재표결에 부쳐졌지만, 부결됐다.현재 법 체계론 주주 이익을 보호할 수 없다는 입장을 고수했다. 그는 "회사에 손해를 안 미치면 주주들이 쪽박을 차더라도 이사는 책임을 안 진다는 게 지금 해석의 원칙"이라고 지적했다. 에버랜드 전환사채(CB) 판결 후 이런 인식이 퍼졌다는 지적이다.이 원장은 "재계와 소통을 많이 한 끝에 합병 등 제한적인 형태의 상장 법인에 대해서는 주주 보호 의무, 즉 주주 보호 원칙을 상법이든 자본시장법이든 반영하자는데 원칙적으로 합의했다"고 말했다. 이어 "하지만 지금 프레임은 마치 금투세(금융투자소득세) 폐지냐 유지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