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도권대 증원 아닌 학과 조정으로…9개 광역지자체 중심 양성방안 추진해야"
"석·박사 양성은 수도권 포함 전국 대학원 정원 확충 필요"
지방대 총장들 "수도권대 반도체 증원시 타격…지역서 양성하라"
비수도권 국·사립대 총장들이 정부가 검토 중인 수도권 반도체 학과 정원 증원과 관련해 "지역 대학을 직접 타격한다"며 공개적으로 반대 의사를 밝혔다.

비수도권 7개 권역 127개 대학 총장들로 구성된 '7개 권역 대학 총장협의회 연합'은 7일 입장문을 내고 정부의 수도권 대학 정원 증원 검토에 대해 비판하며 수도권을 제외한 9개 광역지자체 중심으로 인력을 양성하는 방안을 추진하라고 주장했다.

최근 윤석열 대통령이 반도체 분야 인재 양성 필요성을 거듭 강조하자 교육부는 '특별팀'을 꾸려 종합 방안 마련에 나섰으며 수도권 대학 첨단분야 정원 확대를 검토하고 있다.

이에 반도체 인력 부족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수도권 학부 정원을 늘리는 대책이 비수도권 대학의 위기를 심화시킬 수 있다는 지적이 제기돼왔다.

총장협의회는 입장문에서 "수도권 대학 정원 증원은 정부가 표방한 국정과제인 '이제는 지방대학시대'와 정면으로 어긋난다"며 "수도권 대학 정원 총량을 늘리면 그 증원 부분만큼 지역 대학을 직접 타격한다"고 지적했다.

이들은 "반도체 인력 양성 정책을 구체적으로 수립하라"라고도 요구했다.

산업통상자원부 통계에 따르면 지난해 국내 반도체 인력 부족 규모는 약 1천600명 정도다.

총장협의회는 "반도체 계약학과와 거점국립대 등 지역 대학에서 매년 배출되는 졸업생을 포함하면 전국 대학에서 양성 가능한 반도체 관련 학생 정원은 연간 약 1천 명 정도로 추산된다"라며 "1천600명 중 고졸 인력과 전문대졸 인력 비중은 70% 정도이며 대졸 인력 부족분 30%, 530명이며 이 인력의 효과적인 조달방안이 마련돼야 한다"고 분석했다.

그러면서 이들 부족 인력을 대학 정원 확대가 아닌 학과 구조조정을 통해, 수도권을 제외한 지방 중심으로 양성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총장협의회는 "매년 부족이 예상되는 반도체 관련 인력 530명은 수도권을 제외한 9개 광역지자체에 속한 국·공·사립대 10여 개를 선정해 대학별로 평균 60여 명씩 양성하도록 해야 한다"고 제안했다.

9개 광역지자체(대전·세종, 충남, 부산·울산·경남, 제주, 광주·전남, 대구·경북, 전북, 충북, 강원)는 총장협의회 연합의 7개 권역에 모두 포함돼있다.

7개 권역 협의회 연합에는 비수도권 일반대 대학 총장들이 모두 참여하고 있다.

이어 "수도권 대학은 학부 학생 정원을 늘리는 대신 대학 내 정원을 조정하거나 기존의 반도체 관련 학과 학생들이 추가로 교육과정을 이수하는 방식으로 반도체 관련 설계전공트랙, 연합전공 등 시스템 반도체 특화 전공을 자체적으로 신설"하는 방안을 제안했다.

다만 우수한 석·박사급 인력 양성을 위해서는 "수도권을 포함한 전국의 관련학과 대학원 정원을 확충하는 것이 필요하다"고 총장협의는 밝혔다.

총장협의회는 "몇 개의 지역 거점 대학과 지역 국·사립 대학이 협력해 공정별, 분야별로 교수진과 커리큘럼을 구성해 공동 학위를 수여하며 전공뿐 아니라 실험 실습 및 프로젝트 등의 비교과 과정을 수행하게 해 전문성을 인증해주는 초광역권 반도체 공유대학의 운영은 실질적 해결책이 될 수 있다"라고도 했다.

이 밖에도 이들은 차량용 및 전력, IT 분야 등에 대한 시스템 반도체 교육을 위해 전국에 있는 반도체 설계 교육 센터에 운영비 지원을 늘리고 대학 내 반도체 공정교육 센터에 설비 투자를 강화해야 한다고 제언했다.

지방대 총장들 "수도권대 반도체 증원시 타격…지역서 양성하라"
총장협의회는 8일 오후 서울 여의도 한국교육시설안전원에서 박순애 사회부총리 겸 교육부 장관과 간담회를 하고 이 같은 내용을 요구할 예정이다.

이들은 당초 지난 6일 교육부에서 기자회견을 열어 수도권 대학 반도체 학과 증원에 반대하는 성명을 낼 예정이었으나 교육부의 반발로 기자회견을 유보하고 박 부총리와 간담회를 하기로 했다.

/연합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