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방시대 준비위, 신공항 연계 지역별 특구 등 민선 8기 정책 제안
경북도, '차세대 청정에너지 벨트' 등 14개 과제 발굴(종합)
경북도가 차세대 청정에너지 글로벌 벨트와 신공항 연계 특구 등 민선 8기에 중점적으로 추진할 과제를 선정했다.

도는 5일 안동 그랜드호텔에서 지방시대를 주도할 시책을 마련하기 위해 구성한 '지방시대 주도 경북도 준비위원회' 도민보고회를 열고 7개 분야 14대 대표 정책을 설명했다.

정종섭 준비위원회 위원장(전 행정자치부 장관)은 민선 8기 도정 슬로건으로 '경북의 힘으로! 새로운 대한민국'을 발표하고 4대 도정 운영목표인 △ 기업이 키워가는 성공경제 △ 보통이 성공하는 행복 사회 △ 세계가 감동하는 한류 중심 △ 모두가 안심하는 책임 복지를 소개했다.

준비위원회는 분과별로 기업투자-시장 창출-지역사회가 연결된 신산업 혁신기지, 차세대 청정에너지 글로벌 벨트, 경북 문화예술관광 르네상스, 이웃과 일자리가 함께하는 동행 복지, 대한민국 농산어촌 대전환, 새 시대를 주도하는 플랫폼 정부, 도민이 체감하는 민생경제 회복 등 7개 분야에 다양한 정책을 설명했다.

대구·경북 통합 신공항 인근 특구를 중심으로 지역별로 미래 차, 반도체, 로봇, 메타버스, 스마트공항과 같은 특화된 혁신기술 연계 특구를 조성하는 방안을 제시했다.

에너지 분야에서는 차세대 청정에너지 글로벌 벨트를 목표로 원자력발전소 재가동, 차세대 원자력 기술개발과 기업 유치, 수소경제 확산 등을 핵심과제로 꼽았다.

또 경북이 국내에서 가장 많은 원전을 보유한 지역인 만큼 전기요금도 발전소와 가까운 곳에는 싸게 부과하는 차등 전기요금제로 개편을 주장했다.

이렇게 되면 전기요금이 싼 경북에 많은 기업이 투자할 것으로 기대했다.

이와 함께 신라 왕경 디지털 복원과 같은 콘텐츠 산업에 집중해 투자하고 문화공동체를 전국적으로 육성해 관계 인구를 확대하는 정책 마련도 주문했다.

복지 분야에서는 아이 키우기 좋은 환경을 위해 아이돌봄서비스 부모부담금 전액 지원 등 보육 부담 제로를 추진하고 개인 맞춤형 복지 서비스를 위한 행복 설계사를 육성하는 방안을 내놓았다.

농축수산 분야에서는 농촌 주민 등에게 통합적인 돌봄 서비스를 제공하고 사회적 약자가 주민과 함께 일상 생활을 하도록 지원하는 돌봄마을 시범단지를 성주에 조성하는 방안도 구상했다.

노인 및 장애인 주간보호시설과 의료시설, 사회적 농장, 스마트 가든, 활동 숲, 커뮤니티 센터, 로컬푸드 식당·판매장을 갖춰 농촌지역을 활성화한다는 계획이다.

이와 함께 지역 노동시장 인력부족 문제를 해소하기 위한 지방정부 차원의 인적자원 활용시스템 설계 및 구축과 광역 비자 도입, 대중교통 이용증대를 위한 청소년 교통비 지원도 과제로 채택했다.

이 밖에도 소상공인 아마존 등 글로벌 쇼핑몰 진출 지원, 대학·기업·지방정부가 원팀으로 도정을 운영하는 플랫폼 구축, 고졸 청년들의 안정적 정착을 위한 다양한 지원, 출자·출연기관 효율화를 위한 구조조정 등도 제안했다.

이철우 경북도지사는 "저출산 등으로 후손이 끊기는 그런 나라가 되는 것을 바라보고 있을 수 없고 국민이 행복한 선진국이 돼야 하기에 준비위원회를 구성해 정책과제를 만들었다"며 "오늘 제안된 정책과제들을 잘 다듬어 지방시대 표본이 되도록 하겠다"고 말했다.

경북도, '차세대 청정에너지 벨트' 등 14개 과제 발굴(종합)
/연합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