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료: 오데마피게 홈페이지
자료: 오데마피게 홈페이지
다수의 명품 브랜드를 보유하고 있는 스위스 시계산업이 지난해 사상 최대 실적을 올렸다. 코로나19가 잦아들면서 보복 소비 열풍이 스위스산 명품 시계로 향했기 때문이다.

11일(현지시간) 스위스 시계산업연맹에 따르면 지난해 스위스 시계 제조사들의 매출은 212억스위스프랑(약 27조4656억원)으로 사상 최대 기록을 세웠다. 전년보다 31.6% 급증했다.

스위스 시계산업연맹은 코로나19 팬데믹(세계적 대유행)이 진정되면서 지난해 세계적으로 사치품 수요가 급증한 여파라고 해석했다. 코로나19로 억눌렸던 소비가 치솟는 이른바 보복 소비의 영향이라는 의미다. 코로나19 팬데믹 초창기인 2020년 스위스 시계 제조사들의 매출은 전년보다 27.3% 급감한 161억스위스프랑으로 쪼그라들었다가 지난해 바로 회복세로 돌아섰다. 미국 은행 모건스탠리의 분석에 따르면 지난해 스위스 시계산업 매출의 61%가 오데마피게, 파텍필립, 리차드 밀, 롤렉스 등 고가 브랜드 기업들에 집중됐다.

세계인들의 스위스 시계 사랑은 올해에도 이어지고 있다. 스위스 시계산업연맹은 올해 들어 지난 4월까지 매출이 지난해 같은 기간보다 13% 늘었다고 잠정 집계했다. 이 추세가 이어진다면 올해 스위스 시계산업은 올해 또다시 사상 최대 기록을 갈아치울 수 있을 전망이다.

명품 시계 선호심리가 두드러지면서 막상 스위스 시계 판매량은 줄어드는 추세다. 지난해 전 세계에서 팔린 스위스 시계는 모두 1570만개다. 이는 10년 전의 절반 수준이다. 전문가들은 시계 시장의 양극화를 반영했다는 분석을 내놓고 있다. 애플워치 등 스마트워치의 등장으로 중저가 시계의 수요는 줄어들어 전체 판매량이 감소 추세를 이어가고 있다는 뜻이다. 반면 명품 시계의 인기는 더 커지고 있다. 스위스 시계회사 브라이틀링의 조르주 컨 최고경영자(CEO)는 “이제 시계는 기계가 아니라 보석 취급을 받고 있으며 수집의 대상”이라며 “반면 애플 아이폰이나 애플워치를 수집하는 사람은 없다”고 말했다.

기업들은 명품 시계 열풍에 발빠르게 대응하고 있다. 브라이틀링을 비롯한 시계 회사들은 최고가 모델을 늘리고 있다. 명품회사 에르메스도 뷰유층을 겨냥한 수십만달러짜리 시계를 내놓으며 판매액을 확대하고 있다.

그러나 명품 시계 열풍이 스위스 시계산업에는 호재만은 아니라는 우려도 나온다. 고가 시계에만 집중하면 수요층이 얇아지게 되기 때문이다. 또한 시계 판매량 자체가 줄어들면 부품 조달이 어려워져 중저가 브랜드 기업들이 ‘줄도산’할 가능성도 커진다. 스위스 시계 브랜드는 약 350개로 추산된다.

이고운 기자 ccat@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