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국의 물가 고공행진이 내년에는 꺾일 것이란 전망이 나왔다.

미국 의회예산국(CBO)은 지난 27일 발표한 보고서를 통해 2023년엔 경제성장 둔화와 함께 인플레이션이 다소 주춤할 것으로 내다봤다. 소비자물가지수(CPI)를 기반으로 한 물가상승률은 올해 4.7%, 내년 2.7%를 기록할 것으로 전망했다. 미국 중앙은행(Fed)이 주시하는 물가지표인 개인소비지출(PCE) 기반 인플레이션은 올해 4.0%, 내년 2.3%를 기록해 Fed 목표치인 2%에 근접할 것으로 관측했다.

필립 스와겔 CBO 국장은 “강력한 수요와 공급망 차질이 겹쳐 올해도 인플레이션이 지속될 전망이지만 내년부터는 경제성장이 둔화하면서 물가 상승 압박도 완화될 것”이라고 말했다.

Fed는 물가 상승 압력을 해소하기 위해 긴축정책을 시작했다. CBO는 Fed가 인플레이션 대응을 위해 기준금리를 2022년 말까지 연 1.9%, 내년엔 연 2.6% 수준까지 올릴 것으로 예측했다.

금리 인상기에는 연방부채의 이자 비용이 늘어난다. CBO에 따르면 올해 3990억달러(국내총생산의 1.6%)가량인 미국 정부의 연간 이자 지급액은 2032년 1조2000억달러로 치솟아 국내총생산의 3.3%를 차지할 것으로 추정됐다.

이날 이코노미스트는 “인플레이션을 낮추는 데 있어 관건은 소비자 지출이 상품에서 서비스로 다시 분산되느냐에 달려 있다”고 보도했다. 미국 소비에서 상품 지출이 차지하는 비중은 2019년 36%에서 지난해 42%로 늘어난 반면, 서비스 지출 비중은 64%에서 58%로 줄었다. 코로나19 팬데믹 이후 봉쇄·격리조치 등으로 인해 소비자들이 서비스보다는 상품을 샀기 때문이다.

예컨대 헬스장을 이용하지 못하자 홈트레이닝용 바이크 수요가 급증했다. 상품 수요가 대폭 늘어남에 따라 공급망 병목 현상이 나타나고 물가가 치솟았다는 분석이다.

김리안 기자 knra@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