토양 속 세슘 95% 제거…별도 에너지 필요없어 경제성 우수
자석으로 세슘 제거…원자력연, 토양 정화 기술 개발
한국원자력연구원은 자석으로 방사성 물질인 세슘을 분리하는 '자성 분리 기술을 이용한 방사성 오염 토양 정화 방법'을 개발했다고 23일 밝혔다.

방사성 오염 토양에서 가장 흔히 발견되는 세슘은 지름 0.002㎜ 이하의 미세한 흙입자(점토)와 강하게 결합하는데, 점토는 표면이 음전하를 띤다.

김일국 박사 연구팀은 양전하를 띄는 나노입자를 개발해 세슘과 결합한 점토를 분리하는 데 성공했다.

이 기술은 별도 에너지를 사용하지 않고 자기력만으로 오염 토양을 분리할 수 있어 경제성이 우수하다.

자성 나노입자는 점토를 분리하고 남은 토양을 정화할 때도 유용한데, 기존 금속·페로시아나이드(세슘 제거용 입자)에 결합해 오염 토양을 씻을 수 있다.

이 두 과정을 거치면 토양 속 세슘을 95% 이상 제거할 수 있다고 연구팀은 설명했다.

원자력연은 정액기술료 1억원, 매출액 3.5%를 경상기술료로 받는 조건으로 이 기술을 기업에 이전했다.

김일국 박사는 "해체한 원자력시설 혹은 원자력 사고가 일어났던 곳에서는 땅도 방사능으로 오염될 수 있는데, 이런 방사성 오염 토양을 방사성 폐기물로 처분할 때는 막대한 비용이 든다"며 "이번에 자성 나노입자를 이용해 친환경적이고 경제성 높은 정화 기술을 개발했다"고 말했다.

/연합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