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천 굴업도 해역 모래채취 재추진…"행정절차 중단해야"
인천녹색연합 등 인천 지역 환경단체들은 11일 성명을 내고 옹진군 굴업·덕적도 해역의 모래 채취와 관련한 행정절차를 중단하라고 촉구했다.

가톨릭환경연대·인천녹색연합·인천환경운동연합·황해섬네트워크는 "30년 넘게 인천 앞바다에서 바닷모래가 퍼 올려졌으나 해양 환경변화에 대한 전문적인 검증은 없었다"며 "허가 과정의 수많은 협의 조건들이 제대로 이행되고 있는지도 확인되지 않았다"고 주장했다.

이들 단체에 따르면 인천시는 지난 3일 굴업·덕적도 해역을 골재채취 예정지로 지정하는 내용을 담은 '일반해역이용협의서'를 인천해양수산청에 제출했다.

인천시는 지난해 제출한 일반해역이용협의서가 지역 개황과 관련한 내용이 누락되는 등 관련 검토를 위한 기본 요건도 충족하지 못했다는 이유로 반려되자 서류를 보완해 다시 제출한 것으로 파악됐다.

협의서에는 옹진군 굴업도 북방 5km 해상 총 19.18㎢ 면적에서 5년간 총 바닷모래 3천500만㎥를 채취한다는 내용이 담겼다.

인천녹색연합 등은 "그동안 인천 앞바다에서 2억8천만㎥가 넘는 바닷모래를 퍼냈다"며 "이는 400㎞ 이상인 경부고속도로 위에 폭 25m와 높이 25m의 모래성을 쌓을 수 있는 양"이라고 설명했다.

그러면서 "또다시 바닷모래 채취 행정절차를 진행한다면 지역갈등뿐만 아니라 해양 환경변화는 걷잡을 수 없게 된다"며 "인천해수청은 행정절차를 즉각 중단하고 바닷모래 채취 협의 조건이 이행됐는지 면밀하게 검토한 뒤 행정절차를 진행할지 결정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이어 "한쪽에서는 바닷모래를 퍼내고 인근의 해수욕장에서는 모래가 유실돼 인공적으로 모래를 공급하는 웃지 못할 촌극이 인천 앞바다에서 십수 년째 벌어지고 있다"며 "골재를 싼 가격에 빨리 조달해야 한다는 생각에서 벗어나 고쳐 쓰고 다시 쓰는 방향으로 전환이 필요하다"고 덧붙였다.

인천해수청 관계자는 "환경 분야 전문기관과 관련 부처의 의견을 듣는 등 협의 절차를 진행할 예정"이라며 "절차가 완료되면 결과를 인천시에 회신할 계획"이라고 말했다.

/연합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