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대주주 늑장 공시→이사회 합류·번복→최후통첩성 인수 제안
"표현의 자유 공공 플랫폼 만들겠다"…일각 "그저 장난" 지적도
머스크의 '오락가락' 트위터 인수제안 드라마…결말 어떻게 될까
테슬라 최고경영자(CEO) 일론 머스크가 오락가락 행보를 보인 끝에 트위터를 인수하겠다고 선언했다.

14일(현지시간) AP·로이터 통신 등에 따르면 머스크는 전날 트위터 경영진에 지분 100%를 인수하겠다는 최후통첩성 인수합병(M&A)을 제안했다.

주당 매입가는 54.20달러로, 총 430억 달러(약 53조 원)에 달하는 딜이다.

머스크는 그러면서 자신의 제안이 "최선이자 최종적"이라고 못 박았다.

머스크는 앞서 트위터 인수를 둘러싸고 오락가락 행보를 보였다.

그는 지난달 14일 트위터 지분 9.2%를 사들여 최대 주주로 올라선 뒤 이달 4일 미국 증권거래위원회(SEC)에 늑장 신고를 했다.

당시 머스크는 회사 경영에 적극적으로 관여하지 않는 '수동적 지분'을 가진 투자자였다.

하지만, 지분 취득 공시 다음 날 머스크는 트위터 이사진에 합류했고 자신을 '적극적 투자자'라고 재공시했다.

트위터는 머스크가 이사회 멤버로 있는 한 회사 지분의 14.9% 이상을 취득하는 것이 제한된다며 머스크의 인수 가능성을 차단했다.

그러자 머스크는 지난 10일 돌연 이사진에 합류하지 않기로 했고 지분 추가 매입을 통한 인수의 가능성을 다시 열어놨다.

이어 13일 트위터에 인수를 제안하며 표현의 자유를 위해 이 소셜미디어를 비(非) 상장사로 만들겠다는 구상까지 공개했다.

머스크의 '오락가락' 트위터 인수제안 드라마…결말 어떻게 될까
시장 전문가들은 머스크가 트위터의 적대적 인수합병에 나선 것으로 분석했다.

머스크는 올해 들어 트위터가 표현의 자유를 제한한다고 공공연하게 공격했다.

그는 트위터 인수 제안서에서 "트위터가 전 세계 표현의 자유를 위한 플랫폼이 될 가능성을 믿고 투자했지만, 현재 형태로는 트위터가 이런 요건을 충족하지 못할 것이라는 걸 깨닫게 됐다"고 주장했다.

이어 테드(TED) 행사에 참석해 "트위터가 표현의 자유를 위한 포괄적인 장소가 되는 것이 매우 중요하다"며 "엄청난 신뢰를 받고 광범위하고 포괄적인 공공 플랫폼을 갖는 것은 (인류) 문명의 미래를 위해서도 중요하다"고 말했다.

웨드부시 증권의 대니얼 아이브스 애널리스트는 "이 드라마는 공격적이고 적대적인 인수합병을 통해 머스크가 트위터를 소유하는 것으로 막을 내릴 것"이라고 전망했다.

제시 코언 인베스팅닷컴 애널리스트는 "머스크는 현 트위터 경영진에 신뢰가 없고, 트위터가 상장사로 있는 한 표현의 자유를 위한 변화를 주도할 수 없다고 판단한 것 같다"고 분석했다.

머스크가 트위터 인수 딜로 위험한 장난을 치고 있다는 진단도 제기됐다.

기술·미디어·통신 리서치 회사인 라이트셰드 파트너스의 리치 그린필드 애널리스트는 "인수 제안의 일부 내용은 이 모든 게 농담이고, 그가 그저 즐기고 있다고 생각하게끔 한다"고 지적했다.

머스크의 '오락가락' 트위터 인수제안 드라마…결말 어떻게 될까
그는 머스크가 최근 트위터 프리미엄 구독 서비스인 '트위터 블루' 가격 인하, 광고 수입 폐지 등을 제안한 것과 관련해 사업적인 관점에서 바람직하지 않다고 꼬집었다.

머스크가 표현의 자유를 트위터 인수의 명분으로 내세운 것에도 우려가 제기된다.

트위터는 폭력 선동이나 가짜뉴스 등을 차단하는 데 주력해왔고 도널드 트럼프 전 대통령 계정도 중단시켰다.

하지만 머스크가 트위터를 인수하면 극단적인 주장을 담은 콘텐츠까지 허용될 것이라는 반론도 나온다.

그린필드 애널리스트는 "머스크가 트위터에서 콘텐츠 절제를 위한 가드레일을 제거한다면 그것은 큰 문제가 될 것"이라고 말했다.

AP 통신은 "머스크는 자신을 '표현의 자유 절대주의자'로 묘사했지만, 자신에게 의문을 제기하거나 동의하지 않는 다른 트위터 사용자들을 차단하는 것으로 잘 알려져 있다"고 꼬집었다.

/연합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