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의 관세정책으로 소비심리가 위축되는 가운데 지난달 미 민간 고용시장이 호조세를 보인 것으로 나타났다.미 고용정보업체 오토매틱데이터프로세싱(ADP)은 지난 3월 민간 고용이 전월 대비 약 15만5000명 증가했다고 2일 발표했다. 2월 일자리 증가 폭(8만4000명·수정치)과 3월 다우존스 추정치(12만 명)를 모두 웃돌았다. 2월 민간 고용 증가 폭은 7만7000명으로 시장 추정치(14만 명)의 절반에 그쳤는데 3월에 분위기가 반전됐다.고용은 광범위한 영역에서 증가했다. 전문직 및 비즈니스 서비스 부문 일자리가 5만7000명, 금융 부문이 3만8000명 늘었다. 또 제조업과 레저 및 접객업이 각각 2만1000명과 1만7000명 증가했다.트럼프 행정부의 관세정책으로 경영 불확실성이 커지고 정부효율부(DOGE)가 주도하는 공무원 개혁이 이뤄지는 상황에서도 민간 고용은 양호한 수준을 유지했다. 넬라 리처드슨 ADP 수석이코노미스트는 “정책 불확실성과 소비자심리 하락에도 불구하고 3월 헤드라인 수치는 좋은 결과를 보여줬고, 모든 업종은 아니지만 고용주들에게도 규모와 관계없이 좋은 결과였다”고 평가했다.ADP 민간 고용지표는 민간정보업체가 수집한 정보를 토대로 한 조사 결과로 미 정부가 공식 집계한 고용지표와는 차이가 있다. 두 통계가 비슷한 방향성을 지니고 움직이는 경향이 있어 시장에선 중요 지표 중 하나로 여긴다. 미 노동부는 4일 고용보고서를 발표할 예정이다.미 증시는 트럼프발 관세정책에 대한 경계감으로 하락 출발했다. 오전 9시30분(현지시간)께 S&P500지수는 1.1%, 기술주 중심 나스닥지수는 1.4% 떨어졌다.김인엽 기자
미얀마의 군사정부가 2일 강진 피해 수습을 위해 3주간 일시 휴전을 선포했다.미얀마 국영방송 MRTV는 휴전이 이날 즉시 발효돼 오는 22일까지 이어진다고 보도했다. MRTV는 이번 휴전이 국가 재건을 위한 조치라고 설명했다. 전날 전날 미얀마 민주진영 임시정부인 국민통합정부(NUG) 산하 시민방위군(PDF)에 이어 핵심 반군 세력인 소수민족 무장단체 연합 '형제동맹'도 일시 교전 중단을 선언했다.지난달 28일 미얀마 중부 만달레이 인근에서 규모 7.7 강진이 덮치며 많은 건물이 붕괴하는 등 막대한 피해가 발생했다. 미얀마 군정은 지진 발생 엿새째인 이날까지 사망자가 총 2886명으로 집계됐다고 밝혔다. 부상자는 4639명이며 373명이 실종됐다. 수년간 내전을 겪던 미얀마는 이번 지진으로 충격이 가중됐다. 군부 수장인 민 아웅 흘라잉 최고사령관은 2021년 2월 1일 쿠데타로 아웅산 수치 국가고문의 민주주의민족동맹(NLD) 정권을 몰아냈다. 이후 군부는 반대 진영을 폭력으로 진압했고 저항 세력이 무장 투쟁에 나서면서 내전으로 치달았다.김인엽 기자 inside@hankyung.com
미얀마 군사정부가 강진 피해 수습을 위해 3주간 일시 휴전을 선포했다.2일(현지시간) 로이터통신은 미얀마 국영 MRTV를 인용해 "휴전은 이날 즉시 발효돼 오는 22일까지 이어진다"면서 이같이 보도했다.보도에 따르면 MRTV는 이번 휴전이 국가 재건을 위한 조치라고 설명했다.전날 미얀마 민주진영 임시정부인 국민통합정부(NUG) 산하 시민방위군(PDF)에 이어 핵심 반군 세력인 소수민족 무장단체 연합 '형제동맹'도 일시 교전 중단을 선언했다.지난달 28일 미얀마 중부 만달레이 인근에서 발생한 규모 7.7 강진으로 건물이 붕괴하고 3000명에 가까운 사망자가 나왔다.미얀마 군정은 지진 발생 엿새째인 이날까지 총 2886명의 사망자가 발생했다고 밝혔다. 부상자는 4639명, 실종자는 373명으로 집계됐다.앞서 미얀마 군부 수장인 민 아웅 흘라잉 최고사령관은 2021년 2월 1일 쿠데타로 아웅산 수치 국가고문의 민주주의민족동맹(NLD) 정권을 몰아냈고, 이후 군부는 반대 진영을 폭력으로 진압했다. 저항 세력이 무장 투쟁에 나서면서 내전으로 치달았고, 수년간 내전을 겪던 미얀마에 이번 지진까지 덮치면서 충격이 가중된 모양새다. 이보배 한경닷컴 객원기자 newsinfo@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