코로나 확진·격리자 예상보다 많이 몰려 서버 마비…"시스템 보수중"
전국고교학력평가 접속량 폭주로 마비…확진학생 재택응시 차질(종합2보)
24일 전국에서 동시에 실시된 서울시교육청 주관 고등학교 전국연합학력평가의 재택 응시 시스템이 시험 시작과 동시에 폭증한 접속량을 감당하지 못하며 마비돼 시험이 차질을 빚었다.

재택 응시하는 확진·격리 학생이 많이 늘어나자 서버가 이를 감당하지 못한 데 따른 것이다.

서울시교육청과 경기도교육청 등에 따르면 이날 전국 고등학교 1∼3학년이 치른 전국연합학력평가의 온라인 시험을 진행하는 '전국연합학력평가 온라인 시스템' 홈페이지가 접속량 폭주로 인해 마비됐다.

코로나19에 확진되거나 격리된 학생들은 이 홈페이지에서 시험지를 내려받아 재택 응시를 하는데, 학력평가 온라인 시스템에 접속이 불가능해지면서 학생들이 제시간에 시험을 치르지 못하고 있다.

고등학교 1·2·3학년이 분산해 응시했던 지난해와 달리 올해는 1∼3학년이 같은 날 시험을 치르는 데다 최근 새 학기 들어 학생 확진자가 폭증, 예상보다 많은 확진·격리 학생이 몰렸기 때문이다.

1교시 시작 시간인 오전 8시 40분이 한참 지난 오전 10시 20분 현재도 해당 홈페이지는 복구되지 않았다.

서울시교육청 관계자는 "예상보다 확진자와 격리자가 많이 몰린 것으로 보인다"며 "접속량이 많아 현재 접속이 원활하지 못하며 보수 중이다"라고 설명했다.

전국고교학력평가 접속량 폭주로 마비…확진학생 재택응시 차질(종합2보)
현재는 일시적으로 접속량을 조정하면서 서버를 운용하고 있으나 완전한 복구 시기는 예상하지 못하는 상태다.

일부 교육청은 서버 접속을 분산하고자 시험지를 학교에 이메일로 보내면서 대응하고 있다.

경기도교육청 관계자는 "서버가 멈춰 전원을 한번 껐다가 켰는데도 엄청나게 많은 접속 기록이 남을 정도"라며 "재택 응시는 성적이 처리되지 않지만 최대한 빨리 시험지를 내려받을 수 있도록 업체와 복구 중"이라고 설명했다.

경기도교육청이 관리 책임을 맡은 이번 평가 온라인 시스템 서버는 당초 응시 신청과 성적 출력 용도로 만들어졌다.

그러나 지난해 확진·격리 학생을 위한 재택 응시 요구가 빗발치면서 이 서버를 통해 학교 응시자와 같은 시간에 시험지를 내려받을 수 있도록 서비스했다.

지난해에도 1∼2개 학년이 동시에 재택 응시하면서 시험지를 내려받는 속도가 일부 느려진 바 있다.

다만 이번처럼 아예 서버가 멈추지는 않았다.

이날 학력평가는 전국 고등학교 1∼3학년 95만여 명을 대상으로 올해 대학수학능력시험(수능) 체제에 맞춰 시행됐다.

수능 체제에 맞춰 4교시 한국사 답안지를 분리 제작했으며 고3의 경우 국어와 수학 영역을 공통과목+선택과목 구조로 응시한다.

고2와 고3은 탐구 영역 13개(사회탐구 9개, 과학탐구 4개) 과목 중에서 계열 구분 없이 최대 2과목을 선택하면 된다.

이날 접속이 폭주한 홈페이지에서 시험지를 내려받아 재택 응시하는 경우에는 성적 처리되지 않고 성적표도 제공되지 않는다.

전국고교학력평가 접속량 폭주로 마비…확진학생 재택응시 차질(종합2보)
서버 마비로 재택 응시를 하지 못하게 되면서 학부모들은 분통을 터뜨렸다.

한 학부모는 "(아이가) 고3이라 이 한 번의 경험치가 얼마나 중요한지 다들 알 것으로 생각한다"며 "성적 처리가 되지 않아도 1·2학년 때와는 다른 자세로 시험에 임해야 하는 건데, 서버 준비도 안 해놓고 시험을 실시하고 있는 건지 참 답답하다"고 토로했다.

중앙선거관리위원회가 확진 유권자 규모를 제대로 예측하지 못해 혼란을 빚었던 지난 대선 사전 투표 때와 비슷하다는 지적도 제기되고 있다.

이 학부모는 "선생님들이 일일이 학생들의 다음 날 등교 여부를 보고하는데 선관위처럼 재택 응시자 예측을 제대로 못 하고 이런 상황을 초래한 것 아닌가"라고 비판했다.

/연합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