작년 9월 후 첫 상승했지만 거래 급감 등 시장 위축 계속
중국 1월 주택가격 0.1%↑…규제완화 속 하락세 일단 진정
중국 당국이 경제 성장 동력 회복을 위해 심각하게 위축된 부동산 시장에 온기를 불어넣으려 하는 가운데 중국 신규 주택 가격이 하락세를 멈추고 소폭 올랐다는 공식 통계가 나왔다.

로이터 통신은 21일 발표된 중국 국가통계국의 70대 도시별 신규 주택 가격 통계를 바탕으로 산출한 결과, 1월 중국 신규 주택 가격이 전달보다 0.1% 올랐다고 보도했다.

중국의 월간 신규 주택 가격이 전월 대비 상승한 것은 작년 9월 이후 4개월 만이라고 로이터는 전했다.

중국 통계국은 매월 전국 70개 주요 도시 주택 가격을 발표한다.

하지만 통계국은 전국 주택 가격 평균 수치를 따로 산출해 제시하지 않고 70개 도시별 집값 동향만 지수화해 발표하기 때문에 공식 통계만 갖고는 중국 전체 주택 가격 동향을 파악하기 어렵다.

신규 주택 가격 하락세가 일단 멈춘 것은 작년 말부터 중국 당국이 부동산 규제를 일부 완화해 시장의 공황 심리가 다소나마 잦아들었기 때문으로 분석된다.

로이터는 "부동산 산업을 대상으로 한 거친 규제가 초래한 충격을 완화하려는 당국의 노력으로 (주택) 구매자 심리가 완화함에 따라 중국의 신규 집값이 작년 9월 이후 처음 상승할 수 있었다"고 지적했다.

중국 당국은 주민 평균 소득에 비해 지나치게 치솟은 주택 가격이 장기적으로 집권 기반을 위협할 중대 문제가 될 수 있다고 우려하고 2020년 하반기부터 부동산 산업에 유입되는 자금을 급속히 조이는 고강도 규제에 나섰다.

이런 정책은 부동산 업계의 '대마'(大馬) 헝다(恒大·에버그란데)를 비롯한 많은 부동산 업체의 채무불이행(디폴트)과 도산을 초래했다.

부동산 산업의 심각한 위축은 작년 하반기부터 본격화한 중국 경기 급랭의 핵심 요인으로 지목되고 있다.

이에 중국 당국은 작년 12월 중앙경제공작회의를 기점으로 '안정 최우선'을 핵심 경제 운용 기조로 정한 가운데 금융권에 주택 구매자와 부동산 개발 업체 대상 대출을 정상화하라고 지시하는 등 표면적으로 '부동산 투기 금지' 원칙을 고수하면서도 시장에 부분적으로 온기를 불어넣으려는 노력을 기울이고 있다.

다만 공식 통계상으로 신규 주택 가격이 하락세를 일단 멈췄지만 중국 부동산 시장의 심각한 위축세는 여전히 이어지고 있다.

우선 가격과 더불어 시장을 평가하는 양대 척도 중 하나인 거래량이 여전히 예년과 같은 수준을 회복하지 못하고 있다.

부동산 정보 업체 커얼루이(克而瑞)부동산연구센터에 따르면 지난 1월 29개 중점 도시의 주택 거래 면적은 작년 동기와 전월 대비 각각 46%, 37% 감소했다.

특히 헝다를 비롯한 대형 부동산 업체들의 디폴트 사태가 잇따르면서 주택 소비자들은 업체가 중도에 공중분해 되면서 사업이 좌초할 것을 우려해 특히 신규 주택 구매를 꺼리는 경향이 뚜렷하다.

또한 공식 통계상으로 1월 전국 평균 주택 가격이 소폭 올랐다고는 하지만 자세히 들여다보면 꾸준한 인구 유입으로 수요가 탄탄한 베이징, 상하이 등 일부 인기 대도시가 상승을 주도했고, 70개 도시 중 과반이 훨씬 넘는 39곳의 가격이 전달보다 내려 지역별 온도 차가 컸다
이에 따라 중국 당국은 위축된 주택 수요 회복 지원을 위해 최근 초대형 도시를 제외한 일반 도시를 중심으로 주택담보대출비율(LTV)을 현행 규정상 가능한 최고 수준인 80%까지 높이기도 했다.

시장에서는 중국 국내총생산(GDP)의 거의 30%를 차지하는 부동산 경기 회복 여부가 올해 중국 경제의 안정적 운영에 큰 영향을 끼칠 것이라는 관측이 나온다.

코로나19 대유행에 따른 기저효과 덕에 작년 1분기 18.3%까지 올랐던 분기 성장률이 작년 2∼4분기 7.9%, 4.9%, 4.0%로 떨어지면서 중국은 시진핑(習近平) 국가주석의 장기 집권의 문을 열 중대 정치 행사인 올가을 20차 당대회를 앞두고 5%대 성장 유지에 비상이 걸린 상태다.

지난 12월부터 경기 부양 차원에서 금리·지급준비율 인하, 조기 공공 투자 집행 등 통화·재정 정책을 펴고 있는 중국 정부는 내달 열릴 양회(兩會·전국인민대표대회와 전국인민정치협상회의)를 통해 구체적인 추가 경기 부양 정책을 내놓을 것으로 예상된다.

/연합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