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 쇼트트랙 대표팀 황대헌이 2022 베이징 동계올림픽 개막 사흘째인 지난 7일 오후 중국 베이징 캐피탈 실내 경기장에서 열린 쇼트트랙 남자 1000m 준결승 1조 경기에서 중국 선수들을 인코스로 추월하고 있다. 황대헌의 이 상황을 심판은 반칙으로 인정해 실격 처리했다. /사진=연합뉴스
한국 쇼트트랙 대표팀 황대헌이 2022 베이징 동계올림픽 개막 사흘째인 지난 7일 오후 중국 베이징 캐피탈 실내 경기장에서 열린 쇼트트랙 남자 1000m 준결승 1조 경기에서 중국 선수들을 인코스로 추월하고 있다. 황대헌의 이 상황을 심판은 반칙으로 인정해 실격 처리했다. /사진=연합뉴스
2022 베이징동계올림픽 쇼트트랙 경기의 편파 판정 논란이 거센 가운데, 중국 정부가 일부 한국 언론과 정치인들이 반중 감정을 부추기고 있다며 "엄중한 우려를 표하고 엄정한 입장을 표명하지 않을 수 없다"고 밝혔다.

주한중국대사관 대변인은 9일 대사관 SNS에 '베이징올림픽 쇼트트랙 심판 의혹 제기에 대한 입장'이라는 글을 통해 이 같이 밝혔다.

대변인은 "이 문제는 본래 기술적인 문제인 만큼 전문적이고 권위 있는 기관에서 판단해야 한다. 그러나 일부 한국 언론과 정치인들은 중국 정부와 베이징 올림픽을 겨냥하고 심지어 반중 정서까지 부추겨 양국 국민감정을 악화시키고 중국 네티즌들의 반발을 사고 있다"고 주장했다.

이어 "중국 정부는 결코 경기 결과에 영향을 끼치거나 간섭하지 않는다"면서 "한국 개별 매체와 정치인들이 '동계올림픽에 흑막이 있다'고 억측하며 '중국 정부와 체육 부문이 반성해야 한다'고 멋대로 말하는 것은 무책임한 처사로 우리는 이를 결코 받아들일 수 없다"고 했다.

그는 베이징 동계올림픽이 국제빙상경기연맹의 세밀한 경기규칙에 근거해 진행되고 있다고 강조했고, 또 영국인 심판장 피터 워스가 평창올림픽 포함 3차례 올림픽에 나선 권위자라는 사실 등을 거론했다.

그러면서 "경기에는 모두 승패가 있고 우리는 한국 대중의 심정을 이해한다"며 "중국은 양국 관계와 양국 국민 간 우호적 감정을 촉진하기 위한 적극적인 노력을 계속할 것"이라고 덧붙였다.

현재 베이징 동계올림픽은 지속적으로 편파 판정 지적이 일고 있는 상황이다. 지난 7일 쇼트트랙 남자 1000m 준결승에서는 황대헌과 이준서가 조 1위와 2위로 결승선을 통과하고도 납득하기 어려운 실격 판정을 받아 공분이 일었다.

김수영 한경닷컴 기자 swimmingk@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