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중 무역 긴장이 고조되는 가운데, 중국 밀크티 브랜드 차지(Chagee)가 미국 증시에 성공적으로 데뷔했다. 차지는 17일(현지시간) 나스닥에 'CHA'라는 종목명으로 상장해 거래를 시작했으며, 주가는 한때 49%까지 치솟았다.미국 경제 매체 CNBC 등 외신에 따르면, 차지는 상장 첫날 약 15% 상승한 32.44달러에 거래를 마쳤다. 장 초반 49%까지 오른 주가는 오후 들어 상승분 대부분을 반납했다. 차지는 전날 공모가를 주당 28달러로 책정했는데, 이는 예측 범위(26~28달러)의 최상단이었다. 차지는 1470만 주의 미국예탁증서(ADS)를 매각해 약 4억1100만달러(약 5844억 원)를 조달했다.IPO 리서치 업체 르네상스캐피털에 따르면, 이번 상장은 지난해 5월 중국 전기차 업체 지커가 4억1100만달러를 조달한 이후 미국 증시에 상장한 중국 기업 가운데 가장 큰 규모다. 차지의 기업가치는 50억달러를 넘어섰다. 창립자 겸 최고경영자(CEO)인 장준제는 30세에 억만장자 반열에 올랐다. 그는 차지 지분 19.9%를 보유하고 있으며, 평가액은 약 11억달러에 이른다.차지는 2017년 설립 이후 중국, 말레이시아, 싱가포르, 태국 등에 6400개 이상의 매장을 운영하며 빠르게 성장했다. 장 CEO는 스타벅스를 롤모델로 회사를 키웠다. 차지는 지난해 매출 17억달러, 순이익 3억4450만달러를 기록했다. 올봄에는 미국 로스앤젤레스 웨스트필드 센추리시티 쇼핑몰에 첫 미국 매장을 열 예정이다.차지의 IPO는 도널드 트럼프 전 미국 대통령이 중국에 고율의 관세를 부과하고, 미·중 무역 갈등이 격화되는 가운데 이뤄졌다. 클라나, 스텁허브 등 다른 IPO 추진 기업들은 최근 증시 급락으로 상장 계획을 연기한 바 있다.조영선 기자 cho0sun@hankyung.com
관세 협상을 위해 미국을 방문한 아카자와 료세이 일본 경제재생상이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에게 오사카·간사이 엑스포의 마스코트 ‘먀쿠먀쿠’가 그려진 캐릭터 저금통을 선물했다.18일 일본 테레비아사히 뉴스 등 외신에 따르면 해당 매체는 일본 정부 관계자를 인용해 아카자와 경제재생상이 준 선물이 먀쿠먀쿠 저금통이라고 보도했다.일본 오사카·간사이 엑스포 홈페이지에 따르면 플라스틱으로 제작된 이 저금통의 가격은 세금 포함 8800엔(약 8만8000원)이며 원산지는 중국이다.트럼프 전 대통령은 자신의 선거 구호인 ‘미국을 다시 위대하게’(Make America Great Again)가 적힌 빨간색 모자에 직접 서명해 아카자와 경제재생상에게 건넸다. 아카자와 경제재생상은 이날 저녁에 귀국해 이시바 시게루 총리에게 미국과의 협의 내용을 보고하고 선물 받은 모자도 전달할 예정이다.앞서 그는 지난 16일 트럼프 대통령과 베선트 장관, 하워드 러트닉 상무장관, 제이미슨 그리어 미국 무역대표부(USTR) 대표 등과 만나 상호관세 문제를 논의했다. 트럼프 대통령과 베선트 장관은 “큰 진전이 있었다”고 말했으나 이시바 시게루 일본 총리는 “솔직하고 건설적 논의를 했지만 미일 간에 여전히 입장 차이가 있다”며 협상의 난항을 시사했다.박수림 한경닷컴 기자 paksr365@hankyung.com
재외공관이 외국 교과서에 한국에 대한 심각한 오류가 포함됐는데도 방치했다는 논란이 불거졌다.서경덕 성신여대 교수는 18일 자신의 SNS를 통해 "영국, 헝가리, 라오스 등 해외 교과서에 한국에 대한 심각한 오류가 있는 것으로 드러났다"고 설명했다. 서 교수는 "영국 중등 과정 교과서는 '한국은 마약 제조국, 일명 암페타민 생산국'으로 소개했다"며 "헝가리 교과서에는 한반도를 '칭기즈칸 제국'이라고 하거나 '한(漢) 제국 시대 중국 땅'이라고 하는 등 잘못된 내용이 담겼다"고 꼬집었다.또 "라오스 교과서에는 '러시아 제국이 1864∼1875년 한국을 점령했다'라거나 '남한 인구의 63%는 농민이고 시골에 산다'는 엉뚱한 내용도 포함됐다"고 밝혔다.이어 "이 사실은 15일 감사원 '재외공관 운영실태에 대한 감사보고서'에서 드러났다"며 "11개 재외공관은 2021∼2023년 교육부 산하기관인 한국학중앙연구원으로부터 오류 사실을 통보받고도 해당 국가 교육부나 출판사 등에 시정 요구를 하지 않았다"고 말했다. 그러면서 "재외공관이 한국에 대한 해당 국가의 교과서 오류를 방치하는 건 심각한 '직무유기'"라며 "최대한 빠른 시정이 될 수 있도록 최선을 다해달라"고 촉구했다.장지민 한경닷컴 객원기자 newsinfo@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