예보 이사회 4명 정치권 이력…'동시 4명은 이례적'
캠코도 비전문가 임원 임명 강행에 노조 반발
금융공기업 이사회, 정계 인사 득세…'낙하산 자리' 전락
일부 금융공기업 이사회가 정계 출신 인사들로 채워지고 있다.

일부 기관에선 금융 비전문가를 부실채권 관리 업무의 총괄 책임자로 임명해 물의를 빚고 있다.

16일 금융권에 따르면 예금보험공사는 지난달 30일 신임 비상임이사(사외이사)로 김정범 법무법인 민우 변호사를 임명했다.

이사 임기가 종료된 박정훈 서울대 법학전문대학원 교수의 후임 인사다.

김 신임 이사는 더불어민주당 싱크탱크인 민주연구원 이사, 한국문화진흥주식회사 비상임감사, 언론중재위원회 중재위원 등을 지냈다.

17대 총선에서 열린우리당 후보로 출마했고, 19대 총선에서 통합민주당 예비후보로 출마한 이력도 있다.

김 이사 임명으로 정계에 직접 몸담은 이력이 있는 예보 임원은 4명으로 늘었다.

앞서 임명된 박상진 상임이사와 선종문 사외이사가 21대 총선에서 더불어민주당 예비후보로 출마한 바 있고, 이한규 감사도 더불어민주당에서 정책위 정책실장을 지낸 정계 출신 인사다.

금융권 안팎에선 정계 출신 인사가 동시에 4명이나 금융공기업 이사회 자리를 차지한 것은 다소 이례적이라는 평가가 나온다.

자산관리공사(캠코)는 내부 반발을 무시하고 비전문가를 임원으로 임명해 내홍을 빚고 있다.

캠코는 지난 14일 주주총회를 열고 원호준 전 방위사업청 무인사업부장을 가계지원본부장(상임이사)으로 임명했다.

가계지원본부장은 개인연체채권 매입펀드 운영 등 캠코의 개인 부실채권 관련 업무를 총괄하는 자리로,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사태 이후 업무의 중요성이 부각되고 있다.

캠코 노조는 즉각 반발했다.

김승태 캠코 노조위원장은 "누가 봐도 상식 밖의 인사"라며 "출근 저지 및 퇴진운동을 지속하겠다"고 말했다.

앞서 한국성장금융에서도 금융 관련 전문성을 요구하는 자리에 비전문가를 앉히려다 물의를 빚은 바 있다.

지난해 9월 청와대 행정관 출신 인사가 한국성장금융의 정책형 뉴딜펀드 등을 총괄하는 본부장으로 내정됐다가 부적절한 낙하산 인사라는 비판이 일자 후보에서 자진해서 사퇴했다.

성태윤 연세대 경제학부 교수는 "공공기관 이사를 임명할 때 정치적 배려를 아예 하지 말라고 할 수는 없지만, 전문성 없는 인사를 임명하는 것은 부적절하다"며 "차기 정부에선 이런 부분에 유의해야 할 필요가 있다"고 말했다.

/연합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