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갈수록 교묘해지는 온라인 쇼핑몰 가품 다 찾아낸다"
-
기사 스크랩
-
공유
-
댓글
-
클린뷰
-
프린트
페이커즈, 진품·가품 탐지서비스
1000여곳 넘는 플랫폼 적발 가능
1000여곳 넘는 플랫폼 적발 가능

진원지는 중국이었다. 중국 판매업자들은 한국의 한 아이템이 매출 100억원 정도를 넘어서게 되면 가품 생산, 판매에 들어가는 경우가 비일비재하다. 이들이 만든 가품은 초기에는 주로 중국 내 온라인 쇼핑 플랫폼에서 유통된다. 하지만 한국의 플랫폼들이 중국의 판매링크들을 해외직구의 형태로 그대로 노출하기 때문에 이들 제품은 순식간에 국내 시장까지 진출하게 된다.
ADVERTISEMENT
특허청과 특허정보원은 가품에 의한 중소기업들의 지식재산권 침해 방지를 위해 ‘서비스 성장지원 사업’을 벌이고 있다. 올해는 페이커즈가 제출한 '온라인 플랫폼의 진품·가품 탐지 서비스를 최우수 사업모델로 선정했다고 30일 밝혔다.
특허정보원 관계자는 온라인 상품 거래가 폭발적으로 늘고 더불어 가품 문제가 심각한 가운데 이 서비스가 국내 중소, 중견 패션브랜드에게 가품 문제 해결에 실질적 도움을 줄 수 있을 것으로 본다고 설명했다. 세계적인 명품 브랜드에서도 페이커즈의 서비스 도입 계약을 체결한 것도 기술을 인정받게 된 배경으로 작용했다.
ADVERTISEMENT
페이커즈의 탐지범위는 국내외 플랫폼 1000곳이 넘는다. 네이버쇼핑, 쿠팡, 지마켓, 옥션, 티몬, 위메프 등 국내 대형 오픈 마켓은 물론이고 백화점, 홈쇼핑 등 집합몰, 명품 전문 플랫폼, 소규모 독립몰, 해외 직구몰을 망라한다. 특히 주로 개인간 거래로 탐지가 극히 어려운 인스타그램 카카오스토리 밴드 등 소셜미디어 플랫폼도 탐지가 가능하다고 회사측은 전했다.
한경닷컴 뉴스룸 open@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