파업은 피했지만…경기도 버스 노사 갈등 반복 왜?
수능일인 18일 새벽 경기도 23개 버스업체 노사가 막판 협상을 벌인 끝에 다행히 이들 버스 노조의 파업은 철회됐다.

노사 양측이 막판 협상에서 내년부터 단계적 1일 2교대제 전환, 임금 월 10만∼12만원 인상, 호봉 승급 및 승급 기간 단축 등에 합의한 데 따른 것이다.

앞서 지난달에는 경기도 공공버스 노조가 파업 직전까지 갔다가 막판에 파업을 철회한 바 있다.

이처럼 경기도 버스업체 노사 갈등이 반복되는 이유는 서울이나 인천시 등 인접 광역 지자체와 비교해 경기도 버스 운수종사자의 임금 수준이나 처우가 열악하기 때문이라는 지적이 나온다.

서울시와 인천시는 2000년대 버스 준공영제를 시행하며 이미 1일 2교대제로 전환됐다.

또 이들 지역 운수종사자의 임금 수준도 월평균 400만원 안팎으로 경기도형 준공영제인 공공버스 운수종사자 357만원과 작지 않은 격차를 보이고 있다.

특히 경기도에서 전체의 80%를 차지하는 민영제 노선버스 운수종사자의 월평균 임금은 302만원에 불과하다.

1일 2교대제만 봐도 경기도 전체 버스 1만300여 대(2천170개 노선)의 20%가량인 공공버스(220개 노선 2천70대)만 운영하고 있고 나머지는 격일제 근무 형태를 유지하고 있다.

여기에 주 52시간제에 따른 근로시간 단축이 300인 이상 사업장은 2019년 7월부터, 300인 미만 사업장은 작년 1월부터 시행되면서 버스 종사자들은 시간외 수당을 받기가 어렵게 됐고 버스 업체는 운전자를 더 충원하면서 인건비가 상승했다.

이에 경기도는 2019년 9월 서울이나 인천시와 동일하게 적용하던 버스요금을 200∼450원 인상해 업계의 경영 여건을 개선하려 했다.

그러나 지난해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확산으로 요금 인상의 효과는 크지 않았다.

이 같은 상황에서 경기도 버스 업계는 지난해 임금을 동결했으나 올해 노사 갈등이 커지면서 두 차례나 파업 직전까지 가는 상황을 맞게 된 것이다.

문제는 파업 철회에도 여전히 노사 갈등의 불씨가 남아있다는 점이다.

경기도 버스 운수종사자들이 서울이나 인천시와 비교해 여전히 임금 격차를 보이는 데다 코로나19 장기화 등으로 버스 업계의 수익구조는 나아지지 않은 상태에서 1일 2교대제 전환이 한층 더 경영 부담을 가중시키기 때문이다.

경기도는 1일2교대제로 전환해 사실상 준공영제를 시행하려면 수천 명의 운수종사자 충원이 필요한 것으로 보고 있다.

경기도 관계자는 "1일 2교대제의 원활한 정착을 위해 노사정 태스크포스(TF)를 구성하기로 했다"며 "점진적으로 문제를 해결해 나갈 것"이라고 말했다.

/연합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