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진=연합뉴스
사진=연합뉴스
홍삼 건강기능식품의 제품별 성분 함량 차이가 큰 것으로 나타났다.

한국소비자원이 7일 소비자 선호도가 높은 홍삼 건강기능식품 13개 스틱형 제품을 대상으로 조사한 결과에 따르면, 홍삼의 핵심 성분인 진세노사이드와 당류 함량, 점도 등에서 제품 간 차이가 있었다.

진세노사이드 함량은 1포당 평균 11.4mg으로 제품 간 최대 11배 차이 났다. 대동고려삼의 ‘홍삼정 프리미엄’은 진세노사이드 함량이 1포당 33mg으로 가장 많았고, 개성인삼농협의 ‘개성상인 하루홍삼 플러스’는 1포당 3mg으로 진세노사이드 함량이 가장 적었다. 모든 제품이 건강 기능식품 일일섭취량 기준(3mg 이상)을 충족했다.

당류 함량은 1포당 평균 0.9g으로 제품 간 최대 36배까지 차이났다. 아모레퍼시픽의 ‘레드진생 플러스’는 당류 함량이 1포당 3.6g으로 가장 많았고, 고려인삼유통의 ‘홍삼 가득 담은 6년근 골드스틱’은 1포당 0.1g으로 당류를 가장 적게 함유했다.

13개 제품 중 3개 제품이 점도가 높았고, 10개 제품은 상대적으로 보통 수준의 점도를 보였다. 네이처가든의 ‘6년근 고려홍삼 365스틱’과 아모레퍼시픽의 ‘레드진생 플러스’, 헬스밸런스의 ‘뿌리 깊은 6년근 홍삼정 골드스틱’ 등 3개 제품이 상대적으로 점도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가격은 1포 기준으로 최대 4배 차이 났다. ‘홍삼 가득 담은 6년근 골드스틱’이 1포당 763원으로 가장 저렴했고, 한국인삼공사의 ‘홍삼정 에브리타임’이 1포당 3200원으로 가장 비쌌다.

‘홍삼 가득 담은 6년근 골드스틱’은 진세노사이드 함량이 표시량의 67%에 불과해 건강기능식품의 기준 및 규격(표시량의 80% 이상)에 부적합했다.

1개 제품을 제외한 12개 제품이 재활용되지 않는 코팅 박스를 사용했다. 한국소비자원은 “조사 대상 판매업체에 친환경 포장재로 전환을 권고했다”며 “홍삼건강기능식품 판매원들은 전환 계획을 회신하거나, 적극 검토하고 있다”고 밝혔다.

전 제품에서 세균·대장균군·이물·캐러멜색소·잔류농약은 검출되지 않았다.

장강호 기자 callme@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