뇌졸중은 심혈관 질환에 이어 전 세계 사망 원인 2위 질환이다. 건강보험심사평가원에 따르면 지난해 국내에서 뇌혈관이 막혀 발생한 허혈성 뇌졸중 환자는 60여 만 명에 달했다.

국내 바이오 벤처기업인 지엔티파마가 국산 신약으론 최초로 자체 개발 중인 뇌졸중 치료제에 대해 임상 3상에 들어갔다. 지엔티파마는 “급성 허혈성 뇌졸중 치료제로 개발 중인 ‘넬로넴다즈’의 임상 3상 시험 계획을 식품의약품안전처에서 승인받았다”고 31일 발표했다. 서울아산병원 등 23개 대학병원에서 12시간 이내에 혈전 제거 수술을 받은 중등도 이상 허혈성 뇌졸중 환자 496명을 대상으로 장애 개선 효과와 뇌신경세포 보호 효과를 검증할 예정이다.

뇌졸중이 치명적인 건 뇌신경세포가 죽기 때문이다. 뇌졸중은 뇌혈관이 파열돼 발병하는 출혈성과 뇌혈관이 막혀 생기는 허혈성으로 나뉜다. 혈관이 막히면 신경전달물질인 글루타메이트가 대량 방출된다. 이 물질은 신경세포에 있는 단백질의 일종인 NMDA 수용체를 자극해 결과적으로 뇌신경세포를 죽인다. 막힌 혈관이 뚫리면 쌓여 있던 활성산소가 문제가 된다. 이 활성산소의 독성으로 인해 뇌신경세포가 손상된다.

지엔티파마가 개발 중인 치료제는 NMDA 수용체와 활성산소 모두를 표적으로 삼는다. 회사 관계자는 “NMDA 수용체나 활성산소 중 하나를 표적으로 한 뇌졸중 치료제에 대한 임상 시도는 그간 있었지만 부작용이 생기거나 약효가 떨어져 성공하지 못했다”며 “넬로넴다즈는 미국, 중국 임상 1상과 국내 2상을 통해 안전성을 확인했다”고 말했다.

이주현 기자 deep@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