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진=뉴스1
사진=뉴스1
이재명 캠프 대변인인 전용기 더불어민주당 의원이 야권 주자인 윤석열 전 검찰총장이 코로나19를 '우한 바이러스'라 칭한 것을 두고 "혐오에 기반해 선동가적 정치인은 될 수 있을지 몰라도 대통령은 어림도 없다"고 비판했다.

전 의원은 13일 논평을 통해 "본인의 지지세 확충을 위해 차별과 배제로 혐오를 부추기고 국민을 갈라치기 하는 구태정치에 앞장서야 되겠나"라며 이같이 비판했다. 전날 윤 전 총장이 방역 전문가들과의 간담회를 가진 뒤 기자들과 만나 "화이자나 모더나의 경우 우한 바이러스를 전제로 만든 백신이라 다시 델타 바이러스에 맞는 백신을 개발하고 있는데, 일단 고위험군에 대한 2차 접종이 빨리 마무리돼 치명률을 줄여야 한다고 (참석자들이) 말씀하셨다"고 전하며 '우한 바이러스'라는 표현을 썼던 부분을 지적한 것이다.

전 의원은 "중국 혐오를 부추기는 일부 보수 인터넷 커뮤니티나 극우 유튜버들이 주로 사용하는 단어를 거침없이 내뱉었다"고 비판했다.

이낙연 캠프 오영훈 수석대변인도 "윤석열 후보는 세계보건기구의 권고와 전문가들의 지적을 정말 몰랐던 걸까, 모르는 척 한건가"라고 지적했다. "대한민국 제1야당의 대통령 후보 수준이 이 정도라니 안타까울 지경"이라고도 했다. 코로나19는 중국 우한에서 처음 창궐해 당초 '우한 폐렴' 등으로 불렸다. 그러나 특정 집단이나 나라, 인종에 대한 낙인과 편견을 방지해야 한다는 이유로 세계보건기구(WHO)는 정식 명칭을 '코비드19(COVID-19)'로 명명했다.

강병원 민주당 최고위원도 페이스북을 통해 "윤석열 후보가 코로나19를 우한 바이러스로 불렀다"며 "같은 정치검찰 출신답게 하는 짓이 딱 황교안"이라고 적었다.
사진=연합뉴스
사진=연합뉴스
윤 전 총장은 전날 간담회에서 "2019년 12월 중국 우한을 중심으로 해서 코로나19가 창궐하기 시작했다"고 언급했다. 그는 "한국에 창궐한 것은 지난해 중국발 입국을 강력히 통제하지 않은 정치 방역 때문"이라며 현 정부에 비판의 날을 세웠다.

고은이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