내년도 최저임금 결정 임박…노사 마지막 줄다리기 돌입
-
기사 스크랩
-
공유
-
댓글
-
클린뷰
-
프린트
최저임금위 제9차 전원회의…오늘 밤∼내일 새벽 의결 유력
박준식 위원장 "긴 시간 동안 여러 차례 수정안 요청할 것"
내년도 최저임금 결정을 눈앞에 둔 12일 노동계와 경영계가 마지막 줄다리기에 들어갔다.
최저임금을 심의·의결하는 사회적 대화 기구인 최저임금위원회는 이날 오후 정부세종청사에서 제9차 전원회의를 열어 내년도 최저임금 심의를 이어갔다.
최저임금위는 이르면 이날 밤 내년도 최저임금 의결을 시도할 전망이다.
이날 밤에도 결론을 못 내리면 13일 새벽 제10차 전원회의를 열어 의결할 가능성이 유력하다.
노사 양측은 박준식 위원장의 요청에 따라 이번 회의에서 내년도 최저임금 최초 요구안의 2차 수정안을 제출해야 한다.
노동계가 제출한 1차 수정안은 올해 최저임금(시간당 8천720원)보다 19.7% 높은 1만440원이고 경영계가 낸 1차 수정안은 올해보다 0.2% 높은 8천740원이다.
아직 격차가 커 접점을 찾기는 어려운 상황이다.
노사 양측의 2차 수정안도 격차가 클 경우 박 위원장은 '심의 촉진 구간'을 제시하며 그 범위에서 3차 수정안을 내라고 요청할 수 있다.
심의 촉진 구간은 내년도 최저임금에 대한 공익위원들의 기본 입장을 보여줄 수 있어 심의의 전환점이 될 전망이다.
근로자위원, 사용자위원, 공익위원 9명씩 모두 27명으로 구성되는 최저임금위에서 위원장을 포함한 공익위원들은 캐스팅보트를 쥐고 결정적인 영향력을 행사한다.
박 위원장은 이날 모두발언에서 "오늘은 긴 시간 동안 여러 차례에 걸쳐 노사 양측에 수정안 제출을 요청할 계획"이라고 말했다.
그러나 노사 중 어느 한쪽이 심의 촉진 구간 등에 불만을 품고 퇴장할 경우 정상적인 심의가 어려워질 수 있다.
노사 양측은 이날도 팽팽한 입장 대립을 이어갔다.
근로자위원인 이동호 한국노동조합총연맹(한국노총) 사무총장은 경영계의 1차 수정안을 월급으로 환산하면 올해보다 약 4천원 높은 수준이라며 "한 달 4천원이 더 생긴다고 한들, 이 돈으로 무엇을 할 수 있겠는가"라고 반문했다.
이 사무총장은 또 "올해 정부가 전망한 경제성장률은 4.2%이며 물가상승률은 1.8%"라며 "경제 전망치도 반영하지 않은 사용자위원들의 수정안에 노동자위원들은 허망한 마음을 감추기 힘들다"고 지적했다.
박희은 전국민주노동조합총연맹(민주노총) 부위원장은 현 정부의 최저임금 1만원 공약이 물거품이 된 데 대해 "현장에서는 문재인 정부의 최대 사기 공약이라는 말까지 나오고 있다"며 강도 높게 비판했다.
사용자위원인 류기정 한국경영자총협회(경총) 전무는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사태로 소상공인과 자영업자는 생존 자체가 목표라며 "최저임금이 또 오르면 도저히 감내할 수 없는 상황으로 악화할 것"이라고 우려했다.
이태희 중소기업중앙회(중기중앙회) 본부장도 "(임금을) 주는 쪽의 능력을 보지 않고 무작정 올리기만 할 경우 결과는 분명하다"며 "상당수 영세 중소기업들이 문을 닫게 될 것이고 능력이 안 되면 법 위반으로 할 수밖에 없을 것"이라고 경고했다.
/연합뉴스
박준식 위원장 "긴 시간 동안 여러 차례 수정안 요청할 것"

최저임금을 심의·의결하는 사회적 대화 기구인 최저임금위원회는 이날 오후 정부세종청사에서 제9차 전원회의를 열어 내년도 최저임금 심의를 이어갔다.
ADVERTISEMENT
이날 밤에도 결론을 못 내리면 13일 새벽 제10차 전원회의를 열어 의결할 가능성이 유력하다.
노사 양측은 박준식 위원장의 요청에 따라 이번 회의에서 내년도 최저임금 최초 요구안의 2차 수정안을 제출해야 한다.
ADVERTISEMENT
아직 격차가 커 접점을 찾기는 어려운 상황이다.
노사 양측의 2차 수정안도 격차가 클 경우 박 위원장은 '심의 촉진 구간'을 제시하며 그 범위에서 3차 수정안을 내라고 요청할 수 있다.
ADVERTISEMENT
근로자위원, 사용자위원, 공익위원 9명씩 모두 27명으로 구성되는 최저임금위에서 위원장을 포함한 공익위원들은 캐스팅보트를 쥐고 결정적인 영향력을 행사한다.
박 위원장은 이날 모두발언에서 "오늘은 긴 시간 동안 여러 차례에 걸쳐 노사 양측에 수정안 제출을 요청할 계획"이라고 말했다.
ADVERTISEMENT
노사 양측은 이날도 팽팽한 입장 대립을 이어갔다.
근로자위원인 이동호 한국노동조합총연맹(한국노총) 사무총장은 경영계의 1차 수정안을 월급으로 환산하면 올해보다 약 4천원 높은 수준이라며 "한 달 4천원이 더 생긴다고 한들, 이 돈으로 무엇을 할 수 있겠는가"라고 반문했다.
이 사무총장은 또 "올해 정부가 전망한 경제성장률은 4.2%이며 물가상승률은 1.8%"라며 "경제 전망치도 반영하지 않은 사용자위원들의 수정안에 노동자위원들은 허망한 마음을 감추기 힘들다"고 지적했다.
박희은 전국민주노동조합총연맹(민주노총) 부위원장은 현 정부의 최저임금 1만원 공약이 물거품이 된 데 대해 "현장에서는 문재인 정부의 최대 사기 공약이라는 말까지 나오고 있다"며 강도 높게 비판했다.
사용자위원인 류기정 한국경영자총협회(경총) 전무는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사태로 소상공인과 자영업자는 생존 자체가 목표라며 "최저임금이 또 오르면 도저히 감내할 수 없는 상황으로 악화할 것"이라고 우려했다.
이태희 중소기업중앙회(중기중앙회) 본부장도 "(임금을) 주는 쪽의 능력을 보지 않고 무작정 올리기만 할 경우 결과는 분명하다"며 "상당수 영세 중소기업들이 문을 닫게 될 것이고 능력이 안 되면 법 위반으로 할 수밖에 없을 것"이라고 경고했다.
/연합뉴스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