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Z백신 접종연령 50세 이상으로 상향…50세 미만 2차접종 화이자로(종합)
-
기사 스크랩
-
공유
-
댓글
-
클린뷰
-
프린트
30대 남성 '혈소판감소성 혈전증' 사례 발생후 '30세 이상' 기준 재검토
3분기 '교차접종' 대상자 총 161만명…군부대·교정시설 종사자도 해당
AZ백신 '1차 접종' 사실상 종료…잔여물량 접종 대상은 검토 중 접종 후 '희귀 혈전증' 발생 우려가 제기된 아스트라제네카(AZ)사의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백신 접종 연령이 기존 30세 이상에서 50세 이상으로 상향 조정됐다.
이에 따라 아스트라제네카 백신 1차 접종을 마친 50세 미만은 화이자 백신으로 2차 접종을 받게 된다.
종류가 다른 백신으로 1·2차 접종을 하는 '교차 접종' 대상자도 자동적으로 기존 76만명에서 161만명으로 늘어나게 됐다.
코로나19 예방접종 대응 추진단(추진단)은 1일 정례 브리핑에서 국내 30대 남성에게서 혈소판감소성 혈전증(TTS) 환자가 발생한 점과 지난달 29일 열린 예방접종전문위원회 논의 결과 등을 토대로 아스트라제네카 백신의 접종 권고 연령을 50대 이상으로 상향하기로 했다고 밝혔다.
이는 연령별 백신 접종의 위험-이득을 분석한 결과 50대 이상 연령층에서 아스트라제네카 백신 접종의 이득이 혈소판감소성 혈전증 발생 위험보다 월등하게 높게 나타난 데 따른 것이다.
이번 조정에 따라 이달부터는 50세 이상에 대해서만 아스트라제네카 백신을 접종한다.
50세 미만 2차 접종 대상자에 대해서는 오는 5일부터 화이자 백신을 접종하게 된다.
전체 교차 접종 대상자는 기존 대상자에다 이달 중으로 보건소에서 접종을 받게 되는 50대 미만(5만9천명)과 8∼9월 2차 접종이 예정된 50대 미만(66만3천명), 군부대·교정시설 종사자(12만9천명)를 더한 총 161만5천명이다.
기존 대상자에는 30세 이상 방문돌봄 종사자와 의원급 의료기관 및 약국의 보건의료인, 만성신장질환자, 경찰·소방·해경을 포함한 사회필수인력 등 76만4천명이 포함된다.
그 외에 7∼9월 중 2차 접종이 예정된 1차 대응요원·특수교육 및 보건교사 등(5만명, 이하 50세 이상), 요양시설·취약시설 입소·종사자(5만4천명), 병원급 의료기관 종사자·요양병원 입원환자 및 종사자(1만7천명), 50세 이상 연령층(768만2천명) 등 총 780만3천명은 1·2차 모두 아스트라제네카 백신을 맞게 된다.
정은경 추진단장은 1차 접종을 마친 50세 미만 대상자의 2차 접종 백신 선택권과 관련해 "혈전증 부작용 위험을 고려했을 때 50세 미만은 교차 접종을 하는 쪽으로 결정했기 때문에 (개인의 의사와 상관없이) 화이자 백신을 접종하게 된다"고 설명했다.
그는 "앞서 3분기 접종계획 발표 당시에는 백신 수급 문제로 교차 접종을 결정했기 때문에 교차 접종을 희망하지 않은 대상자는 동일 백신을 접종할 수 있도록 일부 선택권을 부여했다"며 "다만 이번에는 50세 이상에 대해서만 아스트라제네카 백신 접종을 권고한다는 지침이 마련된 만큼 접종 대상자가 백신을 선택할 수 없다"고 부연했다.
이번 접종연령 상향 조정에 따라 아스트라제네카 백신을 이용한 신규 '1차 접종'은 사실상 종료된 것으로 알려졌다.
2차 접종에 쓰이고 남는 잔여 물량에 대해서는 사용 방향을 검토 중이다.
정 단장은 "50세 이상에 대해서는 모더나 백신으로 접종을 시작하기 때문에 새롭게 1차 접종을 (아스트라제네카 백신으로) 할 대상은 많지 않은 것으로 본다"며 "다만 7월을 포함해 8월에는 50세 이상 2차 접종자가 상당수 있기 때문에 이들을 위주로 아스트라제네카 백신을 사용할 예정"이라고 말했다.
그는 이어 "현재 아스트라제네카 백신 계약 물량 1천100만회분 정도가 더 도입될 예정이고, 2차 접종에 789만회분 정도가 사용된다"며 "이후 나머지 잔여 물량에 대해서는 좀더 정확하게 공급량을 추계해서 사용 계획을 검토하고 안내하겠다"고 전했다.
추진단은 아스트라제네카 백신과 같은 '바이러스 벡터' 계열 제품인 얀센 백신의 접종연령 상향 조정 문제에 대해서는 아직 검토하지 않고 있다.
정 단장은 "국내에서 100만∼110만명 정도가 얀센 백신을 접종한 상황이며, 아직 접종 후 혈소판감소성 혈전증 사례가 확인되지는 않았고, 현재 모니터링 하는 기간"이라며 "또 3분기 얀센 백신 공급 일정이 결정되지 않았기 때문에 향후 수급 일정이 확정되면 접종 대상자를 선정할 때 이상반응 사례 등 최신 데이터를 종합적으로 검토할 예정"이라고 답했다.
/연합뉴스
3분기 '교차접종' 대상자 총 161만명…군부대·교정시설 종사자도 해당
AZ백신 '1차 접종' 사실상 종료…잔여물량 접종 대상은 검토 중 접종 후 '희귀 혈전증' 발생 우려가 제기된 아스트라제네카(AZ)사의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백신 접종 연령이 기존 30세 이상에서 50세 이상으로 상향 조정됐다.
이에 따라 아스트라제네카 백신 1차 접종을 마친 50세 미만은 화이자 백신으로 2차 접종을 받게 된다.
종류가 다른 백신으로 1·2차 접종을 하는 '교차 접종' 대상자도 자동적으로 기존 76만명에서 161만명으로 늘어나게 됐다.
코로나19 예방접종 대응 추진단(추진단)은 1일 정례 브리핑에서 국내 30대 남성에게서 혈소판감소성 혈전증(TTS) 환자가 발생한 점과 지난달 29일 열린 예방접종전문위원회 논의 결과 등을 토대로 아스트라제네카 백신의 접종 권고 연령을 50대 이상으로 상향하기로 했다고 밝혔다.
이는 연령별 백신 접종의 위험-이득을 분석한 결과 50대 이상 연령층에서 아스트라제네카 백신 접종의 이득이 혈소판감소성 혈전증 발생 위험보다 월등하게 높게 나타난 데 따른 것이다.
이번 조정에 따라 이달부터는 50세 이상에 대해서만 아스트라제네카 백신을 접종한다.
50세 미만 2차 접종 대상자에 대해서는 오는 5일부터 화이자 백신을 접종하게 된다.
전체 교차 접종 대상자는 기존 대상자에다 이달 중으로 보건소에서 접종을 받게 되는 50대 미만(5만9천명)과 8∼9월 2차 접종이 예정된 50대 미만(66만3천명), 군부대·교정시설 종사자(12만9천명)를 더한 총 161만5천명이다.
기존 대상자에는 30세 이상 방문돌봄 종사자와 의원급 의료기관 및 약국의 보건의료인, 만성신장질환자, 경찰·소방·해경을 포함한 사회필수인력 등 76만4천명이 포함된다.
그 외에 7∼9월 중 2차 접종이 예정된 1차 대응요원·특수교육 및 보건교사 등(5만명, 이하 50세 이상), 요양시설·취약시설 입소·종사자(5만4천명), 병원급 의료기관 종사자·요양병원 입원환자 및 종사자(1만7천명), 50세 이상 연령층(768만2천명) 등 총 780만3천명은 1·2차 모두 아스트라제네카 백신을 맞게 된다.
정은경 추진단장은 1차 접종을 마친 50세 미만 대상자의 2차 접종 백신 선택권과 관련해 "혈전증 부작용 위험을 고려했을 때 50세 미만은 교차 접종을 하는 쪽으로 결정했기 때문에 (개인의 의사와 상관없이) 화이자 백신을 접종하게 된다"고 설명했다.
그는 "앞서 3분기 접종계획 발표 당시에는 백신 수급 문제로 교차 접종을 결정했기 때문에 교차 접종을 희망하지 않은 대상자는 동일 백신을 접종할 수 있도록 일부 선택권을 부여했다"며 "다만 이번에는 50세 이상에 대해서만 아스트라제네카 백신 접종을 권고한다는 지침이 마련된 만큼 접종 대상자가 백신을 선택할 수 없다"고 부연했다.
이번 접종연령 상향 조정에 따라 아스트라제네카 백신을 이용한 신규 '1차 접종'은 사실상 종료된 것으로 알려졌다.
2차 접종에 쓰이고 남는 잔여 물량에 대해서는 사용 방향을 검토 중이다.
정 단장은 "50세 이상에 대해서는 모더나 백신으로 접종을 시작하기 때문에 새롭게 1차 접종을 (아스트라제네카 백신으로) 할 대상은 많지 않은 것으로 본다"며 "다만 7월을 포함해 8월에는 50세 이상 2차 접종자가 상당수 있기 때문에 이들을 위주로 아스트라제네카 백신을 사용할 예정"이라고 말했다.
그는 이어 "현재 아스트라제네카 백신 계약 물량 1천100만회분 정도가 더 도입될 예정이고, 2차 접종에 789만회분 정도가 사용된다"며 "이후 나머지 잔여 물량에 대해서는 좀더 정확하게 공급량을 추계해서 사용 계획을 검토하고 안내하겠다"고 전했다.
추진단은 아스트라제네카 백신과 같은 '바이러스 벡터' 계열 제품인 얀센 백신의 접종연령 상향 조정 문제에 대해서는 아직 검토하지 않고 있다.
정 단장은 "국내에서 100만∼110만명 정도가 얀센 백신을 접종한 상황이며, 아직 접종 후 혈소판감소성 혈전증 사례가 확인되지는 않았고, 현재 모니터링 하는 기간"이라며 "또 3분기 얀센 백신 공급 일정이 결정되지 않았기 때문에 향후 수급 일정이 확정되면 접종 대상자를 선정할 때 이상반응 사례 등 최신 데이터를 종합적으로 검토할 예정"이라고 답했다.
/연합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