윤석열 전 검찰총장이 29일 오후 서울 서초구 매헌 윤봉길 의사 기념관에서 대선 출마를 공식 선언한 뒤 취재진의 질문에 답하고 있다. 2021.6.29/뉴스1
윤석열 전 검찰총장이 29일 오후 서울 서초구 매헌 윤봉길 의사 기념관에서 대선 출마를 공식 선언한 뒤 취재진의 질문에 답하고 있다. 2021.6.29/뉴스1
윤석열 전 검찰총장이 29일 대선 출마를 선언하면서 문재인 정부를 원색적으로 비난한 데 대해 청와대는 공식 입장을 내놓고 않으며 침묵했다. 윤 전 총장이 대선 출마를 선언해 입후보 예정자가 된 만큼 섣부른 언급은 자칫 공무원에게 금지되는 선거 개입선거 개입이 될 수 있어 언급을 조심스러워하는 기류다.

윤 전 총장은 이날 서울 서초구 양재동 매헌 윤봉실 의사 기념관에서 기자회견을 열고 "상식을 무기로 무너진 자유민주주의와 법치, 시대와 세대를 관통하는 공정의 가치를 기필고 다시 세우겠다"며 대선 출마를 공식 선언했다.

특히 윤 전 총장은 문재인 정권과 확실하게 각을 세웠다. 윤 전 총장은 "더 이상 문재인 정권의 기만과 거짓 선동에 국민은 속지 않을 것"이라며 "이제 우리는 이런 부패하고 무능한 세력의 집권 연장과 국민 약탈을 막아야 한다"고 원색 비난했다.

청와대는 그동안 윤 전 총장에 대한 언급을 자제해 왔다. 문 대통령은 지난 5월 취임 4주년 기자회견에서 "윤 전 총장이 유력한 차기 대선 주자로 인정되고 있기 때문에 제가 아무 말도 하지 않는 것이 바람직할 것 같다"고 밝혔다.

이철희 청와대 정무수석 역시 지난 25일 한 방송 인터뷰에서 "하고 싶은 얘기는 많지만, 제가 평가할 입장이 못 된다"고 했다.

다만 윤 전 총장이 이날 출사표를 던지며 "권력 사유화", "부패하고 무능한 세력의 국민 약탈" 등 거친 표현으로 현 정부를 공격한 데 대해서는 납득할 수 없다는 분위기도 감지되고 있다.

비판 내용을 받아들이기 힘든 것은 물론 윤 전 총장 본인도 검찰개혁 갈등의 한복판에 있었음에도 일방적으로 잘못을 정부에 떠넘기는 것은 수긍할 수 없다는 것이다.
윤석열 전 검찰총장이 29일 서울 서초구 매헌윤봉길의사기념관에서 대선 출마 기자회견을 마친 뒤 나서고 있다. / 사진=김병언 기자
윤석열 전 검찰총장이 29일 서울 서초구 매헌윤봉길의사기념관에서 대선 출마 기자회견을 마친 뒤 나서고 있다. / 사진=김병언 기자
또 문재인 정부에서 파격적으로 검찰총장직에 중용됐음에도 임기를 채우지 않은 채 사퇴하고 정치행보에 나섰다는 점에서 윤 전 총장의 주장은 진정성을 잃은 것으로 봐야 한다는 말도 흘러나왔다.

한편 문 대통령은 전날(28일) 또 다른 야권의 대권주자로 분류되는 최재형 감사원장의 사표를 당일 바로 수리했다.

문 대통령은 이날 오후 최 원장의 의원 면직안을 재가하면서 "감사원장의 임기 보장은 정치적 중립성을 지키기 위한 것으로, 최재형 감사원장은 바람직하지 않은 선례를 만들었다"며 이례적으로 유감을 표했다.

강경주 기자 qurasoha@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