박성민 청와대 청년비서관의 해임 및 자진 사퇴를 촉구하는 사이트가 등장했다. /사진=연합뉴스, '박탈감닷컴'
박성민 청와대 청년비서관의 해임 및 자진 사퇴를 촉구하는 사이트가 등장했다. /사진=연합뉴스, '박탈감닷컴'
청와대가 25세 대학생인 박성민 전 더불어민주당 최고위원을 1급 상당의 청와대 청년비서관으로 임명한 것을 두고 공정성 논란이 지속되고 있다. 상대적 박탈감을 이유로 분노하는 2030 세대의 움직임이 심상치 않다.

26일 온라인 커뮤니티에 따르면 최근 박 비서관의 임명을 비판하며 해임 및 자진 사퇴를 촉구하는 사이트가 개설됐다.

'박탈감닷컴'이라는 제목의 이 사이트 개설자 A씨는 자신을 박 비서관이 재학 중인 고려대학교 학생이라고 소개했다. 이어 박 비서관 임명에 청년들이 분노하고 있는 이유를 하나씩 설명했다.

먼저 A씨는 "박성민 청년비서관은 무려 1급 공무원이다. 공무원의 끝판왕인 1급"이라며 그의 스펙을 짚었다. 여기에는 ▲강남대학교 중퇴 ▲고려대학교 국어국문학과 편입 ▲현 대통령 비서실 청년비서관 ▲전 더불어민주당 최고위원 ▲전 더불어민주당 청년대변인 등이 기재돼있다.

A씨는 "청년 비서관이면 청년의 힘듦을 대변해야 하는 거 아니냐. 그냥 정당 활동밖에 안 보인다"며 "그런데 무슨 청년 비서관을 한다는 거냐. 최고위원은 대단하긴 하지만 청년의 힘듦을 아는 거랑은 다르지 않느냐"고 지적했다.

더 구체적으로 A씨는 청년세대가 '박탈감'을 느끼는 이유에 대해 "SKY 재학생들이 5급인 행정고시를 도전할 때 보통 3년 이상 공부를 한다. '하트시그널2'에 출연한 서울대 출신 이규빈도 행정고시를 합격해서 '엄친아'로 불린다"며 "하지만 실상은 이런 엘리트코스를 밟고도 1급 공무원이 되지 못 한다"고 했다.

이어 "대부분 30년동안 일하고도 1급도 안 된 채 정년퇴직을 한다"고 덧붙였다.

또 그는 연봉과 관련해 "청년비서관은 별정직 1급 공무원이다. 별정직 1급은 급여 412만9000원을 받는다. 연으로 따지면 약 5000만원이고, 각종 수당을 더하면 그 이상이 된다"며 "취업 준비 왜 하느냐. 대학 졸업 안 하고 취업 경험 없어도 여의도 가서 내가 청년을 대변하겠다고 하면 더 좋은 결과를 얻을 거다"고 비꼬았다.

계속해 박 비서관과 같은 급이라며 광역시 부시장, 도 부지사, 고등법원 부장판사 등을 열거하며 "정당활동만 해도 이 정도다"고 지적했다.
박성민 청와대 청년비서관의 해임 및 자진 사퇴를 촉구하는 사이트가 등장했다. /사진='박탈감닷컴'
박성민 청와대 청년비서관의 해임 및 자진 사퇴를 촉구하는 사이트가 등장했다. /사진='박탈감닷컴'
A씨는 청와대를 향해 "청년들은 지금 큰 박탈감을 느낀다. 공정이라는 말 더 이상 하지 말라. 매우 역겹다"며 "박성민 비성관이 계속 그 자리에 있다면 청년들은 더욱 행동에 나설 것"이라고 경고했다.

또 박 비서관을 향해서도 "제안을 수락한 당신도 공범"이라며 "당신으로 인해 청년들이 박탈감을 느낄 수 있다는 걸 몰랐다면 이미 자격이 없다"며 자진 사퇴를 촉구했다. 민주당 의원들에게도 "박 비서관을 보호하려 든다면 더욱 강력한 행동을 할 것"이라고 했다.

청와대는 지난 21일 신임 청년비서관에 박성민 전 더불어민주당 최고위원을 임명했다. 박 비서관은 1996년생 대학생으로, 최연소 민주당 지도부에 이어 최연소 청와대 비서관 타이틀도 따내며 화제가 됐다.

하지만 일각에서는 이 같은 인선이 오히려 청년들에게 상대적 박탈감을 안긴다고 지적하고 있다. 국민의힘 보좌진협의회는 지난 22일 "파격이 아닌 코미디"라며 "이런 인사는 청년의 마음을 얻는 것이 아니라 분노만 살 뿐"이라고 비판했다.

청와대 국민청원 게시판에는 '박성민 청년비서관 해임을 청원합니다'라는 청원이 올라오기도 했다. 자신을 공무원 시험을 준비하는 20대 청년이라고 밝힌 청원인은 박 비서관 임명 소식을 접한 뒤 박탈감, 회의감, 무력감, 허무함을 느꼈다며 해임을 요청했다.
박성민 청와대 청년비서관 /사진=연합뉴스
박성민 청와대 청년비서관 /사진=연합뉴스
하지만 청와대는 박 비서관에 대해 '검증받은 인사'라는 입장이다. 이철희 청와대 정무수석은 한 방송에 출연해 "청년들이 갈증을 느끼고 '우리가 하게 해달라'는 목소리가 워낙 강했다"며 "청년들의 목소리에 호응하기 위해서 당사자를 (비서관) 지위에 앉힌 거고, 또 박 비서관은 정치권에서 다양하게 활동하며 검증을 받았다"고 호언했다.

김부겸 국무총리 또한 지난 24일 국회 대정부질문에서 36살짜리 제1야당 대표가 탄생한 마당에, 박성민 비서관도 그냥 '어느 날 오신 분'은 아니다"며 "2018년에 당시 여당 대변인을 했고, 작년에는 당 최고위원을 지냈다. 정치권에서 훈련을 받은 사람"이라고 말했다.

김수영 한경닷컴 기자 swimmingk@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