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공MRO 클러스터 띄우는 인천
-
기사 스크랩
-
공유
-
댓글
-
클린뷰
-
프린트
이스라엘社 이어…
北美 항공사, 정비시설 인천 건립 검토
대한항공 부천 정비공장
인천으로 확장 이전 논의
北美 항공사, 정비시설 인천 건립 검토
대한항공 부천 정비공장
인천으로 확장 이전 논의
인천이 항공 MRO(수리·정비·분해·조립) 클러스터 조성에 속도를 내고 있다. 지난달 이스라엘 국영기업인 이스라엘항공우주산업(IAI)이 화물기 개조공장을 인천국제공항 항공정비단지에 건립하기로 한 데 이어 북미 항공사도 인천에 화물기 전용 정비고 시설 구축을 검토하고 있다. 대한항공 부천원동기정비공장(항공기 엔진정비)의 영종도 확장 이전도 논의 중이다. 화물기 개조, 화물기 중정비, 엔진정비(분해 및 조립) 체계를 갖춘 ‘MRO 삼위일체’가 들어서면 항공정비산업 발전에 탄력이 붙을 전망이다.
23일 국내 MRO 업계에 따르면 북미의 모 항공사는 인천에 화물기 중정비 시설을 구축해 제3국의 항공정비단지로 보내던 수리 물량의 일부를 처리할 계획이다. 이 항공사 관계자들은 올해 초 인천 항공정비단지 부지와 활주로 연계성 확인 등 답사를 마친 것으로 알려졌다. 인천에 정비고 시설이 들어서면 1주일에 2대씩 연 15대 화물기 정비가 가능하게 된다.
대한항공의 항공기 엔진정비 공장 이전 가능성도 있다. 박남춘 인천시장은 지난 3일 조원태 한진그룹 회장과 만나 경기 부천에 있는 원동기정비공장 확장 이전 문제를 상의한 것으로 알려졌다. 대한항공 원동기정비공장은 항공기 엔진의 분해 및 조립이 가능한 기술력을 갖추고 있다. 시 관계자는 “인천에 MRO 클러스터를 갖추게 되면 항공기 수리를 위한 국부 유출을 막을 수 있고 중국과 일본 등 외국의 항공정비 수요도 처리할 수 있다”고 말했다.
시와 인천상공회의소도 공항경제권의 핵심동력으로 급부상하고 있는 MRO 클러스터 조성 지원에 나섰다. 시는 2024년까지 항공산업 집중 육성 기간으로 정하고 항공정비 인력 양성, 기술 인증, 지역 항공부품 제조업계와의 연계 등 다양한 지원 활동을 시작했다. 인천지역의 마이스터·특성화고, 대학생, 미취업자, 재직자에게 항공전문기술을 교육해 2026년까지 연 1270명의 항공전문인력을 배출할 방침이다.
인천상공회의소도 다음달 지역 경제계와 연합해 인천공항협의회(가칭)를 출범시킬 예정이다. 지역 기업들이 앞장서 항공기 수리·개조에 필요한 부품제조업체를 발굴한다. 박인서 인천상의 상임부회장은 “해외 항공정비 수요자들은 지리적 여건 등 경쟁력이 있는 인천공항 인근을 주목하고 있다”며 “MRO는 인천에 반드시 필요한 산업”이라고 강조했다.
인천에서는 한발 더 나아가 전국 공항 주변을 지역에 맞는 특화단지로 개발할 수 있는 공항경제권특별법(가칭)을 마련해야 한다는 의견도 나오고 있다. 인천은 물론 김포·김해·제주공항 인근에 공항경제권을 육성해야 한다는 게 내용의 핵심이다. 허희영 한국항공대 경영학과 교수는 “정부는 공항의 사업 다각화를 위해 외국 기업을 유인하는 국내 기업에 인센티브를 제공할 필요가 있다”며 “공항공사의 해외사업 투자 범위도 확대해 항공산업 경쟁력을 높여야 한다”고 말했다.
인천=강준완 기자 jeffkang@hankyung.com
23일 국내 MRO 업계에 따르면 북미의 모 항공사는 인천에 화물기 중정비 시설을 구축해 제3국의 항공정비단지로 보내던 수리 물량의 일부를 처리할 계획이다. 이 항공사 관계자들은 올해 초 인천 항공정비단지 부지와 활주로 연계성 확인 등 답사를 마친 것으로 알려졌다. 인천에 정비고 시설이 들어서면 1주일에 2대씩 연 15대 화물기 정비가 가능하게 된다.
대한항공의 항공기 엔진정비 공장 이전 가능성도 있다. 박남춘 인천시장은 지난 3일 조원태 한진그룹 회장과 만나 경기 부천에 있는 원동기정비공장 확장 이전 문제를 상의한 것으로 알려졌다. 대한항공 원동기정비공장은 항공기 엔진의 분해 및 조립이 가능한 기술력을 갖추고 있다. 시 관계자는 “인천에 MRO 클러스터를 갖추게 되면 항공기 수리를 위한 국부 유출을 막을 수 있고 중국과 일본 등 외국의 항공정비 수요도 처리할 수 있다”고 말했다.
시와 인천상공회의소도 공항경제권의 핵심동력으로 급부상하고 있는 MRO 클러스터 조성 지원에 나섰다. 시는 2024년까지 항공산업 집중 육성 기간으로 정하고 항공정비 인력 양성, 기술 인증, 지역 항공부품 제조업계와의 연계 등 다양한 지원 활동을 시작했다. 인천지역의 마이스터·특성화고, 대학생, 미취업자, 재직자에게 항공전문기술을 교육해 2026년까지 연 1270명의 항공전문인력을 배출할 방침이다.
인천상공회의소도 다음달 지역 경제계와 연합해 인천공항협의회(가칭)를 출범시킬 예정이다. 지역 기업들이 앞장서 항공기 수리·개조에 필요한 부품제조업체를 발굴한다. 박인서 인천상의 상임부회장은 “해외 항공정비 수요자들은 지리적 여건 등 경쟁력이 있는 인천공항 인근을 주목하고 있다”며 “MRO는 인천에 반드시 필요한 산업”이라고 강조했다.
인천에서는 한발 더 나아가 전국 공항 주변을 지역에 맞는 특화단지로 개발할 수 있는 공항경제권특별법(가칭)을 마련해야 한다는 의견도 나오고 있다. 인천은 물론 김포·김해·제주공항 인근에 공항경제권을 육성해야 한다는 게 내용의 핵심이다. 허희영 한국항공대 경영학과 교수는 “정부는 공항의 사업 다각화를 위해 외국 기업을 유인하는 국내 기업에 인센티브를 제공할 필요가 있다”며 “공항공사의 해외사업 투자 범위도 확대해 항공산업 경쟁력을 높여야 한다”고 말했다.
인천=강준완 기자 jeffkang@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