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복궁 향원정, 올가을 다시 본다…4년 해체·보수 작업 마무리
-
기사 스크랩
-
공유
-
댓글
-
클린뷰
-
프린트
공정률 90% 수준…창호 설치·단청·외부 기단 정비만 남아
'취향교' 위치 북쪽으로 바꾸고 지반에 말뚝 799개 설치
건물이 기울고 목재 접합부가 헐거워졌다는 진단을 받아 2017년 5월 해체·보수 공사를 시작한 경복궁 북쪽 정자 '향원정'(香遠亭)이 올가을 정비를 마치고 공개된다.
지금도 향원정을 둘러싼 연못인 향원지(香遠池) 주변 가림막 사이로 정자와 물이 빠진 연못을 볼 수 있지만, 10월이면 공식적으로 4년에 걸친 공사가 종료돼 단장을 마친 향원정을 감상할 수 있다.
지난 14일 찾은 향원정은 정자 주변에 설치했던 가설 덧집을 떼어내 한층 깨끗한 모습이었다.
좁은 계단을 밟아 2층에 오르니 천장의 화려한 단청이 인상적이었다.
기둥 사이로는 인왕산과 북악산, 녹음이 울창한 경복궁 경내가 보였다.
정현정 문화재청 궁능유적본부 주무관은 "향원정 보수의 공정률은 90% 수준으로, 창호 설치·단청·외부 기단 정비 작업 정도가 남았다"고 말했다.
◇ 동그란 섬에 지은 육각 이층 정자…1층에는 도넛형 온돌
국가지정문화재 보물인 향원정은 사각형 연못 안에 조성한 동그란 섬에 지은 육각 이층 정자다.
문화재청 국가문화유산포털에 따르면 정자 명칭인 '향원'(香遠)은 중국 학자 주돈이(1017∼1073)가 지은 '애련설'(愛蓮說)에서 따온 말로 '향기가 멀리 간다'는 뜻이다.
정자는 조선 제26대 임금 고종(재위 1863∼1907)이 1867∼1873년에 세운 것으로 추정된다.
향원정 북쪽에는 고종이 아버지 흥선대원군의 간섭에서 벗어나 직접 권력을 행사하겠다는 의지를 보이며 지은 건청궁(乾淸宮)이 있다.
조선 세조 2년인 1456년 향원정이 있는 경복궁 후원에 정자 '취로정'(翠露亭)을 세우고 연꽃을 심었다는 기록이 전하나, 향원정 전신이 취로정이라는 견해는 명확히 입증되지 않았다.
이와 관련해 국립문화재연구소 남호현 학예연구사와 김태민 실무관은 2018년 학술지 '문화재'에 발표한 논문에서 "향원정이 있는 섬의 토층을 조사한 결과 섬은 1700년 이후의 어느 시점에 조성된 것으로 보인다"며 "임진왜란과 흥선대원군의 경복궁 중건 등으로 미뤄보면 섬은 고종 대 경복궁을 중건하는 과정이나 중건 이후 만들어졌을 가능성이 크다"고 주장했다.
향원정 발굴조사 과정에서 확인된 특이한 점은 1층에는 도넛형 온돌이 있고, 2층 바닥은 난방 시설이 없는 마루라는 점이다.
온돌은 보통 밭고랑이나 부챗살 모양으로 고래(구들 밑으로 난 연기가 통하는 길)를 설치하는데, 향원정은 가장자리를 따라 고래를 뒀다.
따라서 난방도 바깥쪽을 중심으로 이뤄졌을 것으로 판단된다.
아울러 불을 때는 아궁이는 있으나, 연기가 빠져나가는 굴뚝이 없는 점도 향원정 건축의 흥미로운 사실이다.
정 주무관은 "난방을 하면 연못 위에 연기가 퍼져 '구름 위의 정자' 같은 풍경이 만들어졌을 수도 있다"며 "향원정은 건축 기록인 영건일기가 없어 정확한 건축 시기와 건축 기법에 얽힌 다양한 이야기는 알 수 없다"고 말했다.
◇ 옛 자료로 고증한 원형…보수 이후 무엇이 달라지나
향원정은 건립 이후 여러 차례 보수를 거쳤다.
남 연구사는 논문에서 "향원정은 섬세하고 화려한 외형을 자랑하는 반면, 골조 등을 구성하는 부재가 작아 내구성이 취약하다고 평가된다"며 "일제강점기부터 지금까지 여러 번 보강 공사가 진행됐다"고 설명했다.
이번 해체·보수도 건물이 기울어졌다는 분석 결과가 발단이 됐다.
박찬정 문화재청 궁능유적본부 사무관은 "현대에 보수하면서 무게가 다른 옛 기와와 새 기와를 섞어서 배치하지 않고 한쪽에 몰아서 올린 것이 건물에 영향을 미쳤을 수 있다"며 "정자 아래 지반 자체가 연약해 기울어짐이 발생했다는 지적도 있다"고 설명했다.
이어 "기초를 보강하기 위해 최고 길이가 6m인 나무 말뚝 799개를 박았다"며 "섬이 좁아서 대부분 수작업으로 공사를 진행했다"고 강조했다.
향원정 보수 작업을 맡은 진수종합건설 고광진 소장은 "나무 부재는 25% 정도 교체하고, 돌은 90% 이상 재사용했다"고 말했다.
향원지를 가로지르는 다리인 취향교(醉香橋)는 방향이 남쪽에서 북쪽으로 바뀌었다.
구한말과 대한제국 시기에 간행된 자료인 '경복궁 배치도'와 '북궐도형', 유리건판 사진 등을 보면 취향교 방향은 북쪽이지만, 1953년 엉뚱한 방향으로 재건됐다.
문화재청은 발굴조사를 통해 다리 위치를 확인했고, 사진을 참고해 새로운 취향교를 건립한 뒤 흰색으로 칠했다.
건청궁으로 이어지는 다리 입구에는 구리 지붕을 올린 자그마한 문을 설치했다.
정 주무관은 "지붕 중심에 세우는 호로병 같은 장식인 절병통도 과거 사진을 참조해 교체했다"며 "옛 사진을 보면 난간에 전등이 있는데, 추후 설치 여부를 검토할 예정"이라고 말했다.
그는 "9월쯤 공사를 위해 연못에 쌓은 둑을 철거하고 물을 채운 뒤 10월에는 향원지 가림막도 일부 없앨 계획"이라며 "내년 봄이면 연못 조경 작업까지 모두 마무리될 것"이라고 덧붙였다.
/연합뉴스
'취향교' 위치 북쪽으로 바꾸고 지반에 말뚝 799개 설치
건물이 기울고 목재 접합부가 헐거워졌다는 진단을 받아 2017년 5월 해체·보수 공사를 시작한 경복궁 북쪽 정자 '향원정'(香遠亭)이 올가을 정비를 마치고 공개된다.
지금도 향원정을 둘러싼 연못인 향원지(香遠池) 주변 가림막 사이로 정자와 물이 빠진 연못을 볼 수 있지만, 10월이면 공식적으로 4년에 걸친 공사가 종료돼 단장을 마친 향원정을 감상할 수 있다.
지난 14일 찾은 향원정은 정자 주변에 설치했던 가설 덧집을 떼어내 한층 깨끗한 모습이었다.
좁은 계단을 밟아 2층에 오르니 천장의 화려한 단청이 인상적이었다.
기둥 사이로는 인왕산과 북악산, 녹음이 울창한 경복궁 경내가 보였다.
정현정 문화재청 궁능유적본부 주무관은 "향원정 보수의 공정률은 90% 수준으로, 창호 설치·단청·외부 기단 정비 작업 정도가 남았다"고 말했다.
◇ 동그란 섬에 지은 육각 이층 정자…1층에는 도넛형 온돌
국가지정문화재 보물인 향원정은 사각형 연못 안에 조성한 동그란 섬에 지은 육각 이층 정자다.
문화재청 국가문화유산포털에 따르면 정자 명칭인 '향원'(香遠)은 중국 학자 주돈이(1017∼1073)가 지은 '애련설'(愛蓮說)에서 따온 말로 '향기가 멀리 간다'는 뜻이다.
정자는 조선 제26대 임금 고종(재위 1863∼1907)이 1867∼1873년에 세운 것으로 추정된다.
향원정 북쪽에는 고종이 아버지 흥선대원군의 간섭에서 벗어나 직접 권력을 행사하겠다는 의지를 보이며 지은 건청궁(乾淸宮)이 있다.
조선 세조 2년인 1456년 향원정이 있는 경복궁 후원에 정자 '취로정'(翠露亭)을 세우고 연꽃을 심었다는 기록이 전하나, 향원정 전신이 취로정이라는 견해는 명확히 입증되지 않았다.
이와 관련해 국립문화재연구소 남호현 학예연구사와 김태민 실무관은 2018년 학술지 '문화재'에 발표한 논문에서 "향원정이 있는 섬의 토층을 조사한 결과 섬은 1700년 이후의 어느 시점에 조성된 것으로 보인다"며 "임진왜란과 흥선대원군의 경복궁 중건 등으로 미뤄보면 섬은 고종 대 경복궁을 중건하는 과정이나 중건 이후 만들어졌을 가능성이 크다"고 주장했다.
향원정 발굴조사 과정에서 확인된 특이한 점은 1층에는 도넛형 온돌이 있고, 2층 바닥은 난방 시설이 없는 마루라는 점이다.
온돌은 보통 밭고랑이나 부챗살 모양으로 고래(구들 밑으로 난 연기가 통하는 길)를 설치하는데, 향원정은 가장자리를 따라 고래를 뒀다.
따라서 난방도 바깥쪽을 중심으로 이뤄졌을 것으로 판단된다.
아울러 불을 때는 아궁이는 있으나, 연기가 빠져나가는 굴뚝이 없는 점도 향원정 건축의 흥미로운 사실이다.
정 주무관은 "난방을 하면 연못 위에 연기가 퍼져 '구름 위의 정자' 같은 풍경이 만들어졌을 수도 있다"며 "향원정은 건축 기록인 영건일기가 없어 정확한 건축 시기와 건축 기법에 얽힌 다양한 이야기는 알 수 없다"고 말했다.
◇ 옛 자료로 고증한 원형…보수 이후 무엇이 달라지나
향원정은 건립 이후 여러 차례 보수를 거쳤다.
남 연구사는 논문에서 "향원정은 섬세하고 화려한 외형을 자랑하는 반면, 골조 등을 구성하는 부재가 작아 내구성이 취약하다고 평가된다"며 "일제강점기부터 지금까지 여러 번 보강 공사가 진행됐다"고 설명했다.
이번 해체·보수도 건물이 기울어졌다는 분석 결과가 발단이 됐다.
박찬정 문화재청 궁능유적본부 사무관은 "현대에 보수하면서 무게가 다른 옛 기와와 새 기와를 섞어서 배치하지 않고 한쪽에 몰아서 올린 것이 건물에 영향을 미쳤을 수 있다"며 "정자 아래 지반 자체가 연약해 기울어짐이 발생했다는 지적도 있다"고 설명했다.
이어 "기초를 보강하기 위해 최고 길이가 6m인 나무 말뚝 799개를 박았다"며 "섬이 좁아서 대부분 수작업으로 공사를 진행했다"고 강조했다.
향원정 보수 작업을 맡은 진수종합건설 고광진 소장은 "나무 부재는 25% 정도 교체하고, 돌은 90% 이상 재사용했다"고 말했다.
향원지를 가로지르는 다리인 취향교(醉香橋)는 방향이 남쪽에서 북쪽으로 바뀌었다.
구한말과 대한제국 시기에 간행된 자료인 '경복궁 배치도'와 '북궐도형', 유리건판 사진 등을 보면 취향교 방향은 북쪽이지만, 1953년 엉뚱한 방향으로 재건됐다.
문화재청은 발굴조사를 통해 다리 위치를 확인했고, 사진을 참고해 새로운 취향교를 건립한 뒤 흰색으로 칠했다.
건청궁으로 이어지는 다리 입구에는 구리 지붕을 올린 자그마한 문을 설치했다.
정 주무관은 "지붕 중심에 세우는 호로병 같은 장식인 절병통도 과거 사진을 참조해 교체했다"며 "옛 사진을 보면 난간에 전등이 있는데, 추후 설치 여부를 검토할 예정"이라고 말했다.
그는 "9월쯤 공사를 위해 연못에 쌓은 둑을 철거하고 물을 채운 뒤 10월에는 향원지 가림막도 일부 없앨 계획"이라며 "내년 봄이면 연못 조경 작업까지 모두 마무리될 것"이라고 덧붙였다.
/연합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