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30부산세계박람회, 정부와 재계, 부산시 협치로 승부
-
기사 스크랩
-
공유
-
댓글
-
클린뷰
-
프린트

부산시와 정부는 이번 ‘2030부산세계박람회’ 민간유치위원장 선임은 기존의 올림픽‧월드컵의 유치위원장 선임 관례와, 여타 경쟁국들의 선임 사례와는 차별화를 두고, 5대그룹 등 재계에서 추천하고, 시대 정신과 유치 경쟁력을 강화한 ‘거버넌스형 유치위원회’ 구성이라는 의미를 뒀다. 대한민국 최초의 등록엑스포인 ‘2030부산세계박람회’를 반드시 유치하겠다는 의지를 밝혔다.
ADVERTISEMENT
국내 5대 그룹 중심의 재계는 각자의 글로벌 기업경영 환경에서 최적화되고 경쟁력 있는 부문에서 유치활동에 전폭적인 지지와 세부 실행 영역을 담당한다. 유치위원장은 재계의 유치활동 지원과 외교역량을 최대한 이끌어 내고, 정부와의 긴밀한 협조 등 총괄적으로 조정하는 컨트롤타워 기능에 충실하게 된다.
이날 국무총리 주재 5대그룹 등 재계와의 간담회서 ‘거버넌스형 유치위원회’의 실행력과 경쟁력 강화를 위해 5대그룹 총수가 부위원장으로 참여하고 유치위원회와 재계그룹 임원급이 참여하는 ‘실무협의회’를 구성하기로 했다. 또 5대그룹 내에 홍보전문가 및 유치활동 경험자의 유치위원회 파견 등을 통해 ‘2030부산세계박람회’ 개최를 위한 현안들을 빠짐없이 챙겨, 유치 활동 과정에서 추진해야 할 기업과 정부(부산시)의 역할을 분명히 함으로써 실질적 유치 경쟁력 강화를 위한 장치를 마련했다.
ADVERTISEMENT
그동안 부산시와 정부는, 글로벌 재계와 긴밀히 소통하면서 부산엑스포 유치의 국가적 의미와 중요성을 교감하고, 엑스포를 통한 국가적 브랜드 향상과 국가경제 번영에 가져다 줄 기업의 역할론에 심도 있는 고민을 한 끝에 기업의 전문성과 정부의 조정‧외교력을 결합한 ‘거버넌스형 유치위원회’ 구성이란 시대정신을 구현한 최선의 안을 짜낸 것으로 풀이된다.
부산시와 정부는 민간유치위원장 내정으로 곧 구성될 ‘유치위원회’는 정계, 재계, 언론, 문화 등 각 분야 대표 100여명으로 구성할 방침이다. 6월중 구성안을 마련하고, 7월 재단법인으로 출범하게 된다. 총리를 위원장으로 하는 ‘정부유치지원위원회’와 ‘국회유치지원특별위원회’도 조속히 출범하여 본격적으로 ‘2030부산엑스포’ 유치에 속도를 내게 된다.
ADVERTISEMENT
박 시장은 오는 21일부터 24일까지 정부대표(유명희 유치기획단장)와 함께 파리 국제박람회기구(BIE)에 방문해 유치신청서를 제출하고 본격적인 유치활동에 돌입하게 된다. 정부지원위원회와 국회특별위원회도 조속히 구성하고, 새로 구성되는 유치위원회를 중심으로 범국민적 힘을 합쳐 반드시 유치될 수 있도록 유치위원회와 재계, 정부와의 협력을 더욱 강화 하겠다고 밝혔다.
부산=김태현 기자 hyun@hankyung.com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