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가적 난제로 떠오른 사용후핵연료(폐연료봉) 처리를 위한 산·학·연 협력이 처음 시작됐다.

한국원자력연구원은 원전산업 종사자를 대상으로 ‘사용후핵연료 저장 및 처분 교육’을 24일부터 5일간 원내에서 한다고 발표했다. 1959년 원자력연구원 설립 이후 이런 교육을 진행하는 것은 이번이 처음이다.

현재 국내외 원전에서 나오는 사용후핵연료는 원전 내 터에 임시 저장하고 있다. 사용후핵연료를 특수 격납용기로 완전히 밀봉해 지하 500~1000m에 파묻는 것을 ‘영구처분’이라고 한다. 일본을 비롯해 프랑스, 스위스, 스웨덴, 핀란드 등은 지하 500m 안팎에 지하연구시설(URL)을 짓고 영구처분 기술을 개발하고 있다.

사용후핵연료를 파묻지 않고 재활용하면서 차세대 소형원전(SMR) 연료로 투입할 수 있는 ‘파이로프로세싱’ 기술이 한국-미국 공동연구로 개발된 상태지만, 적용 시기 등에 대해 미국과 협의가 아직 이뤄지지 않았다.

국내 원전 24기의 사용후핵연료 저장고는 포화상태에 이른 지 오래다. 올 1분기 기준 한울 1호기 포화도는 97.6%, 고리 2호기는 89.1%에 달한다. 이번 교육은 다급해진 상황을 타개하려는 노력의 일환이다. 교육 대상은 원전의 사용후핵연료를 실제로 관리하는 현장 직원 및 관련 산업체 종사자 40여 명이다. 사용후핵연료 장기 저장법, 처분 부지 확보 노하우, 부지 조성 공법, 안전성 평가, 관련 법령 등 실무를 익힌다.

한국수력원자력과 한전KPS를 비롯해 한국원자력안전기술원(KINS), 원자력통제기술원(KINAC), 방폐장 운영기관인 한국원자력환경공단 등이 참여한다. 포스텍, UNIST(울산과학기술원), 한양대, 한국국제원자력대학원대 연구진도 가세했다.

이해성 기자 ihs@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