밤늦게 일하고 퇴근하던 중 깜빡 졸아 3중 추돌사고를 낸 직장인 K씨. 얼마 뒤 보험사에서 청천벽력 같은 얘길 들었다. 하필 앞차 두 대가 모두 수입차였는데, 수리비가 총 1억2000만원이 나왔다는 것이다. K씨가 가입한 자동차보험의 대물(對物) 배상한도는 1억원이어서 나머지 2000만원은 자비로 내야 했다. 자동차보험에 들면서 보장 내역을 크게 고민하지 않고 넘어간 게 화근이었다.

수입차 긁고 마음앓이 할 바엔…대물 배상한도 최대로
23일 삼성화재에 따르면 지난해 다이렉트 자동차보험 가입 계약 중 대물 배상한도를 최대치인 10억원으로 선택한 비중이 41.2%로 가장 많았다. 그다음은 2억원(28.9%)이었고 5억원(19.6%), 3억원(6.3%), 1억원(2.7%) 등이 뒤를 이었다. 수입차가 빠르게 늘면서 대물 배상한도를 ‘빵빵하게’ 올려놓는 가입자가 증가하는 추세다.

보험업계 관계자는 “1억원으로 할 때와 10억원으로 할 때 보험료 차이는 1만원 정도밖에 나지 않는다”며 “고가 차량과 다중 추돌 같은 최악의 상황을 감안해 대물 보상한도를 넉넉하게 잡는 것이 나쁘지 않다”고 조언했다.

삼성화재는 차량가액 5000만~1억원인 고가 차량의 자동차보험 가입이 3년 새 66.5% 늘었고, 1억원을 넘어가는 초고가 차량도 86.3% 급증했다.

보험개발원에 따르면 수입차 수리비는 평균적으로 국산차의 2.5배가 나온다. 부품값이 3.8배 비싼 데다 공임·도장비도 2배에 달하기 때문이다.

자동차보험 가입 시 본인이 교통사고로 다칠 때 보상받기 위해 선택할 수 있는 특약으로 ‘자기신체사고’과 ‘자동차상해’가 있다. 자동차상해는 자기신체사고에 비해 보험료가 1만원 안팎 비싸지만 보장 범위가 넓은 것이 특징이다. 소비자들의 선택은 자기신체사고(47.2%)와 자동차상해(52.8%)가 엇비슷했다.

다만 30대는 10명 중 6명꼴(59.6%)로 자동차상해를 택했다. 30대 운전자는 대물 보상한도를 10억원으로 설정한 비중 또한 52.3%에 달해 20대(33.7%)와 50대(29.1%) 등에 비해 눈에 띄게 높았다. 30대는 외부 활동이 매우 활발한 연령대여서 교통사고 대비도 가장 철저히 한다는 게 손해보험사들의 설명이다.

임현우 기자 tardis@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