충북의 전동킥보드 사고·사망률 전국 상위권…운전자 불안감 호소
속도제한 풀고 중앙선 넘나들며 곡예운전, 2∼3명씩 떼지어 탑승도

[※ 편집자 주 = 전동킥보드 등 개인형 이동수단(퍼스널 모빌리티·PM)이 확대 보급되면서 교통사고가 덩달아 늘고 있습니다.

PM은 오토바이보다 안전장치가 허술해 자칫 큰 사고로 이어지는 경우가 많습니다.

도로 위 무법자로 지목되는 PM 운행실태와 안전대책 등을 점검하는 2편의 기사를 송고합니다.

[도로위 무법자] ① 시속 90㎞까지 쌩쌩…전동킥보드의 위험한 질주
출퇴근시간이면 청주에서 가장 혼잡한 곳 중 한 곳인 서원구 모충사거리.
지난 27일 승용차를 몰고 출근하던 이모(32)씨는 운전석 오른쪽에서 느닷없이 튀어나와 차량 앞을 스치듯이 지나간 전동킥보드 때문에 십년감수했다.

횡단보도 앞 노란색 점멸신호를 보고 서행했기 망정이지, 하마터면 부딪힐 뻔한 아찔한 순간이었다.

기겁해 급브레이크를 밟은 그와 달리 킥보도는 아무 일도 없다는 듯이 순식간에 3차로를 가로질러 유유히 반대쪽으로 사라졌다.

현행법상 전동킥보드는 도로의 가장자리 차선만 이용할 수 있다.

그러나 이날 그는 3차로 중 2차로를 주행했고, 비보호 좌회전 구역에 접어드는 순간 뒤쪽에서 갑자기 나타난 킥보드가 차량 앞을 가로질러 방향을 꺾은 것이다.

이씨는 "자동차나 오토바이라면 몰라도 킥보도는 크기가 작아 백미러에도 보이지 않았다"며 "더 괘씸한 건 헤드셋을 낀 킥보드 탑승자가 경적을 울렸는데도 뒤 한 번 돌아보지 않고 사라진 것"이라고 화를 감추지 못했다.

운전직에 종사하는 이씨는 10년 무사고 경력을 자랑한다.

평소 안전 운전 습관이 몸에 밴 그지만 요즘 들어 도로 곳곳에서 불쑥불쑥 튀어나오는 킥보드에는 좀처럼 적응이 안 된다.

언론 등에 자주 등장하는 '킥라니'(킥보드+고라니)라는 용어가 새삼스럽지 않다.

포근해진 날씨 속에 전동킥보드·전동휠 같은 '개인형 이동수단'(PM)이 도로를 휘젓는 무법자로 등장하고 있다.

인도와 차도를 넘나들며 곡예운전하는 것은 예사고, 손바닥만 한 차체에 2∼3명이 다닥다닥 엉겨 붙어 위험천만한 질주를 하기도 한다.

3년 차 개인택시 기사인 박모(56)씨는 "왕복 8차로를 지그재그로 넘나드는 킥보드 때문에 사고 날 뻔한 적이 한두 번이 아니다"며 "오토바이는 모터 소리라도 나는데 킥보드는 그렇지 않아 더욱 위험하다"고 하소연했다.

이어 그는 "교통량 많은 곳에서는 차량을 추월하는 경우도 많다"며 "막히는 구간을 요리조리 피해 다니기 때문에 운전하기가 두려울 정도"라고 덧붙였다.

[도로위 무법자] ① 시속 90㎞까지 쌩쌩…전동킥보드의 위험한 질주
전동킥보드로 인한 교통사고도 급증하고 있다.

경찰청에 따르면 2017∼2020년 충북의 인구 1만명당 PM 사고는 약 0.4건으로 서울(0.63건), 대전(0.55건), 광주(0.51건)에 이어 4번째로 많았다.

PM 교통사고 사망자도 2명으로 경기(12명), 서울(3명), 전북(3명) 다음으로 인천(2명)과 나란히 공동 4위다.

올해 들어서도 충북에서는 11건의 PM 사고로 12명이 다쳤다.

한 달 3명꼴로 응급실 신세를 진 셈이다.

그러나 이를 비웃듯이 젊은 층을 중심으로 PM의 속도제어장치까지 풀면서 아찔한 운행을 이어가고 있다.

PM 속도는 시속 25㎞로 제한되지만, 제어장치를 풀 경우 가격이 높은 킥보드 같은 경우 시속 90㎞까지 높일 수 있다.

청주시 청원구의 한 전동킥보드 매장 관계자는 "인터넷 등에 속도제어장치 튜닝법 등을 알려주는 영상이 수천 개"라며 "조작도 어렵지 않아 스피드를 즐기기 위해 출력을 높이는 이용자가 많다"고 귀띔했다.

상황이 이렇다 보니 속도를 즐기는 카페나 동호회까지 생기고 있다.

청주의 한 PM 모임 회원은 "폭주족처럼 무리하게 달리지 않고 헬멧도 착용해 크게 위험할 게 없다"며 "동호회 단톡방 등에는 시속 60㎞ 넘게 달렸다는 인증사진도 종종 올라온다"고 말했다.

이러는 사이, 안전에 대한 시민들의 걱정은 커지고 있다.

박모(38)씨는 "청소년기 위험한 킥보드 운전이 나중에 차량을 몰 때도 난폭운전으로 이어질 가능성이 크다"며 "안전한 교통문화를 유지하지 위해 PM의 세심한 규제가 필요하다"고 지적했다.

/연합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