올해 홍수기부터 댐 방류계획·안전유의사항 등 담은 긴급재난문자 발송
'댐 홍수관리 소통회의' 출범…수문방류 등 주민과 논의·협력
환경부는 올해 홍수기(매년 6월 21일∼9월 20일)를 대비하기 위한 전국 20개 다목적댐의 운영 방안을 놓고 지자체와 지역주민 등이 참여하는 '댐 홍수관리 소통회의'를 13일부터 23일까지 개최한다고 12일 밝혔다.

'댐 홍수관리 소통회의'는 댐 운영에 직접 영향을 받는 댐 상·하류 지자체 및 지역주민과 소통을 강화하고, 댐 홍수관리에 다양한 주체가 참여하는 지역 거버넌스를 구축하기 위해 마련됐다.

이 회의체에는 다목적댐별로 댐 수탁관리자인 한국수자원공사, 댐 상·하류 기초지자체, 지자체별 주민대표가 참여한다.

지난해 수해 피해가 컸던 섬진강댐·용담댐·대청댐·합천댐·남강댐 등 5개 댐의 경우 댐 방류 승인기관(홍수통제소), 하천관리청(국토관리청), 유역(지방)환경청 등도 참여한다.

회의에서는 댐 방류 제약사항 조사 결과 및 해소방안, 올해 홍수기부터 새로 도입하는 '댐 수문 방류 예고제' 등 홍수기 댐 운영에 관한 사항 등이 논의된다.

'댐 수문 방류 예고제'는 지자체, 지역주민 등이 댐 수문 방류를 사전에 대비할 수 있도록 수문 방류 개시 1일 전까지 방류계획을 예고하는 제도다.

한국수자원공사는 이번 회의에서 올해 2월부터 3월까지 댐 방류 시 영향을 받는 시설물과 기타 제약사항에 대해 자체 조사한 결과를 비롯해 지자체, 지역주민, 전문가 등과 합동으로 조사한 결과도 공개한다.

회의 참여자들은 홍수기에 댐 수문 방류 예고제 등을 통해 댐 운영 정보를 수시로 공유하며 홍수기가 지난 뒤에도 댐 운영 결과를 공유하고 향후 개선방안에 대한 의견을 수렴할 수 있도록 지속해서 회의를 이어갈 예정이다.

환경부는 행정안전부와 협의해 올해 홍수기부터 댐 인근에 있는 이들이 댐 방류계획, 안전유의사항 등을 긴급재난문자(CBS)로 받아볼 수 있도록 지원할 계획이다.

홍정기 환경부 차관은 "이번 소통 회의를 통해 댐 운영에 직접 영향을 받는 댐 상류뿐만 아니라 하류 지역주민과 지자체와의 협조체계를 구축해 홍수기에 대비할 것"이라며 "소통 회의에서 논의된 내용은 환경부와 국토교통부 등 관계 부처 공동으로 구성된 통합물관리추진단 회의에서 논의해 정책에 반영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연합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