5대 급식업체 인력만 4.8만명…"누가 中企로 옮기겠나" 아우성
-
기사 스크랩
-
공유
-
댓글
-
클린뷰
-
프린트
중소업체들 고용 승계하더라도
임금·처우 유지하기는 어려워
양질의 일자리 크게 줄어들 듯
임금·처우 유지하기는 어려워
양질의 일자리 크게 줄어들 듯
단체급식은 대표적인 노동집약적 산업이다. 영양사와 조리원 등 눈에 보이는 인력뿐 아니라 식자재 구매와 배송 등 보이지 않는 곳에도 많은 노동력이 필요하다. 삼성웰스토리 아워홈 현대그린푸드 CJ프레시웨이 신세계푸드 등 5대 단체급식 업체가 고용하고 있는 인원만 4만8301명에 달한다.
그간 대기업 급식업체들은 “고품질의 식사는 최고의 복지”라며 식사를 책임지는 급식 종사자의 처우 개선에도 적지 않은 노력을 기울여왔다. 하지만 공정거래위원회의 대기업 구내식당 개방 압박 이후 벌써부터 급식 업계의 일자리 부실화를 우려하는 목소리가 나온다.
4조3000억원 규모의 국내 급식시장 중 대기업 수의계약 규모는 약 1조2000억원이다. 급식사업을 중소업체에 개방하면 기존 급식 업체들의 인력조정은 불가피하다. 일각에선 대기업 소속 급식 종사자가 중소업체로 옮겨갈 수 있을 것이란 분석도 있지만 전문가들은 현실 여건상 불가능하다고 지적했다. 문정훈 서울대 농경제학부 교수는 “일감 개방 명분으로 특정 업체와 거래하지 말라는 것은 엄연한 비즈니스 자율성 침해”라며 “대기업 급식 종사자가 중소 급식 업체로 이직할 수 없는 구조라서 양질의 일자리 감소가 뻔하다”고 우려했다.
현장에서도 이직 과정에서 인력 이탈이 나올 수밖에 없을 것으로 보고 있다. 한 단체급식 업체 관계자는 “대기업이 운영하던 사업소의 단체급식 운영을 중소업체가 이어받아 운영할 경우 고용승계를 하더라도 기존 인력을 모두 수용하진 못할 것”이라며 “단가 경쟁력이 대기업에 비해 떨어지는 중소업체가 비용을 아낄 수 있는 부분은 인력 절감밖에 없기 때문”이라고 말했다.
중소업체로 전환돼 유지되는 일자리의 질도 기존보다 떨어질 수밖에 없다. 중소업체로 고용승계를 하는 과정에서 근로자의 대규모 반발도 예상된다. 수반되는 노무 리스크를 처리하는 역할은 모두 기존 대형 급식업체가 도맡아야 할 처지다. 한 급식업체 노무담당자는 “대기업에서 일하던 근로자에게 당장 내일부터 중소업체로 소속을 옮기라고 하면 어느 누가 순순히 받아들이겠느냐”며 “위로금 지급 등의 문제로 노무팀은 벌써 비상이 걸렸다”고 전했다.
박종관 기자 pjk@hankyung.com
그간 대기업 급식업체들은 “고품질의 식사는 최고의 복지”라며 식사를 책임지는 급식 종사자의 처우 개선에도 적지 않은 노력을 기울여왔다. 하지만 공정거래위원회의 대기업 구내식당 개방 압박 이후 벌써부터 급식 업계의 일자리 부실화를 우려하는 목소리가 나온다.
4조3000억원 규모의 국내 급식시장 중 대기업 수의계약 규모는 약 1조2000억원이다. 급식사업을 중소업체에 개방하면 기존 급식 업체들의 인력조정은 불가피하다. 일각에선 대기업 소속 급식 종사자가 중소업체로 옮겨갈 수 있을 것이란 분석도 있지만 전문가들은 현실 여건상 불가능하다고 지적했다. 문정훈 서울대 농경제학부 교수는 “일감 개방 명분으로 특정 업체와 거래하지 말라는 것은 엄연한 비즈니스 자율성 침해”라며 “대기업 급식 종사자가 중소 급식 업체로 이직할 수 없는 구조라서 양질의 일자리 감소가 뻔하다”고 우려했다.
현장에서도 이직 과정에서 인력 이탈이 나올 수밖에 없을 것으로 보고 있다. 한 단체급식 업체 관계자는 “대기업이 운영하던 사업소의 단체급식 운영을 중소업체가 이어받아 운영할 경우 고용승계를 하더라도 기존 인력을 모두 수용하진 못할 것”이라며 “단가 경쟁력이 대기업에 비해 떨어지는 중소업체가 비용을 아낄 수 있는 부분은 인력 절감밖에 없기 때문”이라고 말했다.
중소업체로 전환돼 유지되는 일자리의 질도 기존보다 떨어질 수밖에 없다. 중소업체로 고용승계를 하는 과정에서 근로자의 대규모 반발도 예상된다. 수반되는 노무 리스크를 처리하는 역할은 모두 기존 대형 급식업체가 도맡아야 할 처지다. 한 급식업체 노무담당자는 “대기업에서 일하던 근로자에게 당장 내일부터 중소업체로 소속을 옮기라고 하면 어느 누가 순순히 받아들이겠느냐”며 “위로금 지급 등의 문제로 노무팀은 벌써 비상이 걸렸다”고 전했다.
박종관 기자 pjk@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