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북대와 전남대 캠퍼스에 기업들이 입주할 수 있는 ‘캠퍼스 혁신파크’가 들어선다. 캠퍼스 내 남는 공간을 도시첨단산업단지로 조성해 기업과 대학을 이어주는 공간으로 탈바꿈시킬 계획이다. 이 사업에는 2030년까지 2700억원이 투입된다.

교육부·국토교통부·중소벤처기업부는 2021년 캠퍼스 혁신파크 신규 사업지로 경북대와 전남대를 최종 선정했다. 캠퍼스 혁신파크 사업은 대학 내 유휴부지를 도시첨단산업단지로 조성하고, 기업 입주 공간인 산학연 혁신허브를 마련하는 등 대학을 혁신성장의 거점으로 육성하는 3개 부처 공동 사업이다.

캠퍼스 유휴부지가 도시첨단산업단지로 지정되면 신생기업이 입주 시 정부의 벤처기업 육성 지원과 취득세, 재산세 감면 등 다양한 혜택을 볼 수 있다. 수많은 유니콘(기업가치 1조원 이상 비상장기업)을 키운 미국 매사추세츠공과대(MIT)와 켄달스퀘어, 스탠퍼드 과학단지 같은 산학연 단지를 조성한다는 게 정부 목표다.

경북대는 인공지능(AI), 빅데이터, 정보통신기술(ICT) 분야 캠퍼스 혁신파크를 조성한다. 혁신파크 사업부지는 3만2000㎡로 2030년까지 1204억원을 투자할 계획이다. 전남대는 정보기술(IT), 환경공학기술(ET), 생명공학기술(BT), 문화콘텐츠기술(CT) 중심의 캠퍼스 혁신파크를 조성한다.

배태웅 기자 btu104@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