며칠 전 제가 도움을 주고 있는 스타트업 임원으로부터 전화가 왔습니다.

한 암호화폐 마케팅 회사가 자신들이 개발 중인 토큰을 세계 10대 거래소에 상장시켜 주고 IEO를 통해 필요한 자금을 모아 줄 테니, 모집 자금의 15%에 해당하는 금액에 추가로 비트코인 40개를 달라는 요구를 해왔는데, 이걸 어떻게 해야 할지 몰라 여쭙는다는 얘기였습니다.

잘 아시다시피 비트코인 40개면 1억 6천만원이 넘는 큰돈입니다. 그리고 15%의 수수료 역시 결코 낮은 수준이 아닙니다.

예를 들어, 모인 자금이 10억 원일 경우, 이 마케팅 업체에게 지불할 수수료는 1억 5천 만원 + 1억 6천만 원(비트코인 40개) 도합 3억 원이 넘는 즉, 조달 자금의 30%가 넘는 수수료를 지불해야 합니다.

일반적인 투자 상품의 마케팅 수수료에 비하면 입이 쩍 벌어질 정도의  터무니없는  수준의 수수료입니다.

그래서 이렇게 조언해 주었습니다.

최소 100억 이상의 IEO를 성공시켜 준다면 요구하는 비트코인 40개와 15%의 수수료를 지급하겠다.  그러나 그 이하의 금액이 조달된다면 15%의 수수료만 주겠다는 조건을 역으로 제시하라고 했습니다.

사업자금이 필요한 젊고 경험 없는 스타트업들에게 일부 마케팅 업체들은 스타트업들의 개발 자금 부족 약점을 잡아 이렇게 거의 횡포라고 할 수 있는 수수료 (물론 그 돈이 거래소 상장 Fee로 지급된다는 핑계를 댄다고 합니다만, 그 돈이 어떤 경로로 어디로 가는지 알 수는 없습니다)를 요구하는 것이 다반사입니다.

경험을 통해 오래전부터 이런 상황을 파악하고 있는 필자가 볼 때 지난 2년 가까운 기간 동안 우리나라뿐 아니라 전 세계적인 ICO 버블을 만들어내고 수많은 피해자를 만들어낸 원흉 중 상당 수가 이런 형태의 마케팅 업체들이라고 생각합니다.

물론 해당 프로젝트를 추진한 블록체인 사업가들에게도 큰 책임이 있으며 또한 일확천금을 바라고 무리한 투자를 한 투자자들의 책임도 크다고 할 수 있습니다.

그러나 시장 왜곡과 투기판으로의 변질에 가장 큰 악영향을 미친 세력은 이런 류의 마케팅 회사들이 아닌가 하는 생각이 듭니다.

사업가는 항상 자금이 부족합니다.
그리고 투자자는 정보에 어둡습니다.

이런 양측의 약점을 잡아 선량한 투자자들에게 허황된 꿈을 심어주어 투기판에 끌어들여 바가지를 씌우고, 사업가들에게는 말도 안 되는 수수료를 요구하여 짧은 시간에 엄청난 수익을 올린 사람들이 마케팅 업자들이며 예상외의 큰돈을 번 사람들이 의외로 많은 것 같습니다.

실제로 작년 봄 ICO를 준비하던 저에게 30살도 안된 아주 젊은 마케팅 회사 친구들이 찾아와 저희 프로젝트의 어드바이저로 비트코인 예수라고 불리는 ‘로저버’를 영입해 줄 테니 20억 원을 내라는 제안을 했습니다.

금액도 금액이지만 제안의 내용이 기가 막혀 한참을 쳐다보다가 제가 한마디 했습니다.

“ ‘로저버’가 우리 회사에 직접 200억 원을 투자한다면 기꺼이 수수료로 20억 원을 지급하겠다.”라고 했더니 뒤도 안 돌아보고 갔습니다.

그 젊은 친구들이 전해준 이야기에 따르면 일반적으로 ICO를 통해 조달되는 자금의 50% 이상이 이렇게 중간 마케팅 업체 또는 중간 관계자들과 어드바이저(이른바 듣보잡 인플루언서)들에게 지급되는 막대한 코인 비용과 별도로 지급되는 선금 그리고 초일류 호텔에서 억대가 소요되는 각종 밋업 비용 등으로 사라지는 게 일반적이라고 합니다.

그 설명을 듣고 나서 제가 이렇게 물었습니다.

“그런 상황이라면 내가 왜 ICO를 해야 할까요? 말도 안 되는 수수료를 지급하고, 코인을 남발하며 무리하게 조달되어 남는 투자금 조차 50%가 안되는데, 행여 사업에 실패하거나 잘못될 경우 모든 책임은 내가 져야 할 텐데 이런 말도 안 되는 조건으로 왜 ICO를 해야 할까요?”

그런데 그 친구들 대답이 저를 더 기가 막히게 했습니다.
“일단 돈을 모을 수 있잖아요?”

어이가 없었습니다.

이 친구들 뿐 아니라 이런 류의 마케팅을 제안하며 다가온 또 몇몇 사람들은 자신의 뒤에 탄탄한 다단계 사람들이 수 천명 있다, 그래서 얼마든지 자금을 모아 줄 수 있으니 ICO를 하자고 하면서, 수수료 및 이런저런 명목으로 35% 이상을 요구해 왔습니다.

결국 ICO를 하려면 마케팅 회사나 다단계 조직을 끼지 않고는 도저히 진행이 안 되는 상황을 파악할 수 있었습니다.

그리고 그 당시는 조달 자금의 최소 50% 이상을 날릴 각오를 하지 않으면 ICO를 할 수 없는 상황이었습니다.

물론 일부 뚝심 있고 기술력이 뛰어난 기업들은 이 보다 많이 낮은 비율의 수수료로 ICO에 성공했다고 들었습니다만, 그래도 상당한 금액의 비용 지불은 피할 수 없었을 것입니다.

아사리판도 이런 아사리판이 없었습니다.

여러 사정이 있었으나 결국 저는 ICO를 포기했습니다.

그리고 그 당시 이런 조건을 감수하고 ICO로 자금을 모은 대다수 기업 CEO들은 이들 마케팅 업체들을 흡혈귀에 비유하고 있으며 그들과 손 잡은 것을 무척 후회하고 있었습니다.

필자는 2000년 초반 인터넷 버블을 경험했으며, 창업한 회사를 상장시켜 상장회사두 곳을 경영해 본 경험이 있습니다.

상장회사를 경영해본 경험에 의하면, 투자자들은 결코 바보가 아닙니다.

사업가가 한번 잘못된 수순을 밟았을 경우, 투자자들은 모든 자료를 확보하여 반드시 민, 형사상의 책임을 추궁합니다.

자칫 잘못된 길로 들어서는 순간,  그 화(禍)는 최종적으로 반드시 CEO에게 돌아온다는 결과를 잘 알고 있는 저로서는 순순히 ICO를 포기할 수밖에 없었습니다.

이렇게 세간에 떠도는 몇 백억, 몇 천억의 투자 유치 이면에는 이렇게 추악하고 어처구니없는 거래가 숨어 있을 가능성이 높습니다.

그래서 필자는 2017년부터 작년 상반기까지 ICO를 진행했던 많은 기업들이 앞으로 이 어려운 고비를 넘기고 살아 남아 성공하기란 대단히 어려운 일이라고 예상하고 있습니다.

더구나 암호화폐 가격의 폭락으로 ICO로 받은 이더리움 가격이 1/10 토막이 나면서 최악의 경영 위기가 다가와 있으며, ICO 이후 과정에서 투자자들의 성화에 못 이겨 손쉽게 ERC20 토큰을 만들어 상장시킨 알트코인들 거의 대부분이 1/100 토막이 나며 가루가 되었다는 이야기는 현재의 블록체인 기업들의 위기 상황을 그대로 보여주고 있습니다.

더구나 그동안 보여주기 식 회사 운영으로 일관해온 일부 경영자들을 볼 때, 무슨 수로 백서대로 생태계를 완성시키고 토큰의 가격도 정상화시키며 사업을 성공시킬 수 있을지 상상이 안됩니다.

저희 한국블록체인스타트업협회가 작년 11월 1일 IEO 가이드라인을 만들어 공표하면서 아이디어만 가지고 사업에 도전하는 초기 스타트업들은 투자유치 한도를 15억 원으로 한정하고,

그 자금으로 최소한의 기능이 작동되는 MVP(Minimum Viable Product)를 만든 후 다시 대규모 투자유치를 통해 세계 시장에 진출하라는 단계적인 투자유치 기준을 제시했습니다.

이렇게 단계적으로 사업을 하면 투자자들의 피해를 최소화할 수 있다고 보이며, 동시에 사업가들은 계획과 실행 사이의 간극을 메꾸며 기술 개발 과정을 좀 더 지켜 보면서 초기 과다한 투자유치로 인한 실수를 줄일 수 있다고 봅니다.

결국 이 업계에서 돈을 벌었다는 사람들을 살펴보면 이렇게 과다한 수수료를 챙긴 마케팅 업체 관계자들만 돈을 번 것 같다는 코미디 같은 이야기가 사실인 것 같습니다.

그리고 지금 이 순간에도 이런 일확천금을 노리고 기업과 투자자들을 현혹하는 마케팅 조직들이 상당수 활약 중인 것으로 알고 있습니다.

그래서 이제 우리 협회는 진실된 투자자와 정상적인 사업가를 연결하는 지금과는 다른 공개적이며 투명한 투자유치 구조를 연결해 볼 생각입니다.

아무리 경기가 나쁘고 블록체인 투자가 줄었다고 해도, 블록체인과 암호화폐는 세상을 바꿀 제4차 산업혁명의 꽃이기 때문에 결코 포기할 수 없으며, 반드시 가야 할 길이라 생각하기 때문에 최선을 다할 생각입니다.



신 근영 한경닷컴 칼럼니스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