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직형 인간 vs 관리형 인간
-
기사 스크랩
-
공유
-
댓글
-
클린뷰
-
프린트
리서치 기관 자료에 의하면 직장인들 대부분은 자신의 의지보다는 현실이 주는 자의반 타의반의 흐름으로 대학을 마치고 취업을 하는 것으로서 직장생활을 시작한다고 한다. 이러다 보니 회사에서의 평균 이직율은 초기에 비교적 높게 나타난다.
ADVERTISEMENT
조직형 인간과 관리형 인간의 차이는 크게 자신의 타고난 자리에 규칙(規則)과 원칙(原則), 대를 위해 소를 희생하는 대의명분(大義名分) 자리의 유무(有無)에 의해 결정이 된다. 이 자리가 내 사주에 있으면 조직형 인간의 유형으로 장차 회사 임원의 자리에 오르는데 있어 큰 무리가 없다.
반대로 이러한 자리가 없고 어느 정도 회사에서 성장을 하였다는 판단이 들면 그동안의 경험을 바탕으로 개인의 일을 시작해 보는 것도 좋은 생각이라 할 수 있다. 이른바 관리형 인간임을 알고 나름의 삶을 준비해야만 하는 것이 좋다는 것이다.
ADVERTISEMENT
회사란 업무의 능력으로 인사고과와 승진 평가를 받는 것이 당연한 일이지만 사람과의 관계에서 이루어지는 조직생활인지라, 평가자 입장에서는 이왕이면 다소 부족하더라도 내 사람이라는 생각이 들면 당연히 기대이상의 평가를 하게 되는 것이 현실이다.
조직형 인간은 회사가 주는 업무의 능력보다는 태도(態度)가 더 중요하다. 직상 상사가 조직형 인간이라면 아래 사람도 조직형 인간을 선호하는 것은 어쩌면 당연한 일이다. 관리형 인간은 이와 반대이다. 직급이 낮을 때는 열정적으로 보여 윗 상사에게 성실함을 무기로 금방이라도 몇 단계를 뛰어넘는 승진을 할 수 있을 정도로 인정을 받는다.
ADVERTISEMENT
관리형 인간은 이러한 용어들에 익숙하지 않다.사실 낮은 직급에서는 별 다른 것을 느끼지 못하지만 높은 자리로 올라갈수록 이러한 차별을 경험하게 되는데 공기업이나 특수분야를 제외하고는 대부분의 기업은 조직형 인간이 이사직 이상의 고위직에 올라가 있기 때문이다.
헤드헌터를 하고 있는 지인(知人)을 통하여 유명 S 회사에 근무하는 40대 초반의 직장인이 방문을 하였다. 직위가 올라갈수록 겪고 있는 직장생활에 대한 갈등과 향후 자신의 미래에 대한 비젼을 정리해 보고자 함이였다.
ADVERTISEMENT
시간이 지날수록 조직생활에 대한 회의가 들었다. 열심히 일한다고 하지만 상사로부터 그리 인정받지 못하는 것 같기도 하고 급기야는 이 회사에서 미래에 대한 비젼이 있는지에 대한 회의마저 들기 시작했다. 상담자의 경우는 이른바 관리형 인간이었다.
회사의 규모가 커지는 대기업일수록 개인의 역량보다는 회사의 시스템이 더 중요하다. 관리형 인간은 작은 규모의 회사는 몰라도 큰 규모의 회사에서는 자신이 어느 정도의 위치가 되어 나름의 역량을 펼칠 수 있는 자리가 아니면 그 자리에 올라가기 까지가 과정이 무척이나 힘들 수가 있다. 당연히 그동안의 경험을 바탕으로 본인이 하고 싶은 비즈니스를 하도록 권하였다.
한때는 평생직장이라는 대 명제로 회사를 그만둘 때까지 오로지 회사와 함께 동고동락함이 최고의 덕목이라 하였다. 지금은 평생직장이 아닌 평생 직업이 필요한 시대이다. 이것은 곧 자신에 어울리는 직업을 찾아야만 되는 것과도 맥락을 같이 한다. 그것은 바로 자신의 능력을 쌓는 일이다.
단군신화에서 곰과 호랑이가 인간이 되기 위해서는 마늘을 먹고 100일을 기다려야만 하는 조건이 있었다. 곰이 조직형 인간이라면 아마도 호랑이는 관리형 인간 유형이었을 것이다. 조직형인간이라면 모를까 관리형 인간은 100일을 기다리기가 쉽지가 않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