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의용 외교부 장관(오른쪽 두 번째)이 18일 서울 종로구 외교부 청사에서 열린 한·미 외교·국방 장관 회의에서 로이드 오스틴 미국 국방부 장관(왼쪽부터), 토니 블링컨 미국 국무장관에게 자리를 안내하고 있다. 오른쪽은 서욱 국방부 장관.  사진=연합뉴스
정의용 외교부 장관(오른쪽 두 번째)이 18일 서울 종로구 외교부 청사에서 열린 한·미 외교·국방 장관 회의에서 로이드 오스틴 미국 국방부 장관(왼쪽부터), 토니 블링컨 미국 국무장관에게 자리를 안내하고 있다. 오른쪽은 서욱 국방부 장관. 사진=연합뉴스
중국 관영 매체가 한국을 미국의 '약한 고리'라고 지적했다. 한국의 중국에 대한 의존도가 너무 높기 때문에 동맹국들을 동원해 중국을 압박하려는 미국의 전략이 한국에선 통하기 어렵다는 주장이다.

중국 공산당 기관지인 글로벌타임스는 18일 "많은 전문가들이 미국의 '중국 위협론'이 일본에선 멱혀들었지만 한국에선 그렇지 않을 것이라고 보고 있다"며 이같이 보도했다.

이 매체는 로이드 오스틴 미 국방장관이 전날 방한 직후 서욱 한국 국방부 장관을 만나 "북한과 중국의 전례 없는 위협으로 한미동맹은 그 어느 때보다 더 중요하다"고 강조했지만 서 장관은 중국을 언급하지 않고 강력한 대북 억제력과 연합방위태세를 유지해야 한다고만 말했다고 전했다. 한국이 공개적으로 중국에 맞서는 것을 꺼리고 있다는 설명이다.

앞서 열린 미일 외교·국방 장관의 '2+2 회의'에서 양측은 일본과 중국의 분쟁 지역인 센카쿠열도(중국명 댜오위다오)의 일본 영유권을 인정하고, "중국의 강압적이고 안정을 해치는 행위를 반대하는 데 전념하기로 했다"는 성명을 내는 등 중국 견제 의지를 분명히 했다.

하지만 이날 한미 외교·국방 장관이 참여하는 '2+2 회의'에선 중국에 대한 대항이 아니라 한반도 문제를 비롯한 군사동맹 강화가 가장 중요한 의제가 될 것으로 중국 전문가들은 보고 있다는 보도다.

정즈융 푸단대 북한·한국 연구센터 주임은 "한국의 관점에서 보면 미국 바이든 정부의 미국의 이익을 앞세운 아시아 전략은 한국의 이익을 고려하지 못하고 있다"고 분석했다. 그는 "한국은 중국의 도움 없이는 경제 문제와 대북 문제를 해결할 수 없다"고 강조했다.

또 다즈강 동북아전략연구소 교수는 "미국의 강경한 대북 정책이 결국 한국을 소극적으로 만들고 중국에 더 기울게 할 것"이라고 관측했다.

베이징=강현우 특파원 hkang@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