암호화폐는 오늘도 ‘변신, 또 변신’ 중이다. 기존 코인의 약점을 극복하고 새 시장을 만들어내기 위한 신기술 개발이 이어지고 있다. 암호화폐 기사에 자주 나오지만 초보자에겐 낯선 용어들을 정리했다.

디파이, 은행 안 거치고 송금·대출…NFT, 대체 불가능한 '디지털 원본'
스테이블 코인은 가격이 안정적(stable)으로 유지되는 암호화폐다. 대다수 암호화폐의 약점인 ‘가격 널뛰기’를 최소화하기 위해 고안됐다. 코인 가치를 법정화폐에 연동하는 방식이 주로 쓰인다. 대표적 스테이블 코인은 달러화와 연동한 테더(USDT)다. 1테더를 발행할 때마다 1달러를 제휴은행에 예치금으로 맡김으로써 이론상 ‘1테더=1달러’를 보증한다.

디파이(DeFi·decentralized finance)는 블록체인 기술을 바탕으로 한 탈중앙화 금융을 말한다. 금융회사를 끼지 않고 결제, 송금, 예금, 대출, 투자 등 모든 금융거래를 가능하게 하는 게 목표다. 코인을 담보로 잡고 대출을 내주거나, 코인을 예치하면 파격적 이자를 주는 디파이 서비스가 지난해 많은 인기를 누렸다. 다만 한때 유행했던 암호화폐공개(ICO)처럼 ‘혁신’이란 찬사와 ‘거품’이란 비판이 엇갈린다.

NFT(non-fungible token·대체 불가능 토큰)는 올 들어 가장 따끈따끈한 화두다. 이 기술을 적용한 그림, 음악, 영상 등이 경매에서 거액에 낙찰되는 사례가 쏟아져서다. NFT는 블록체인 기술을 활용하는 점은 일반적인 암호화폐와 같지만, 코인마다 별도의 고유값을 부여하는 점이 특징이다. 하나의 코인을 다른 코인과 구분할 수 있고 가격도 다르게 매길 수 있다. 진위(眞僞)와 소유권 입증이 중요한 콘텐츠 분야에서 주목받는 이유다.

디파이와 NFT가 성장할수록 코인의 거래량과 쓰임새도 늘어나는 만큼 암호화폐산업의 ‘파이’를 키우는 데 기여할 것이란 전망이 나온다.

CBDC(central bank digital currency·중앙은행 디지털화폐)는 중앙은행이 발행하는 전자화된 화폐다. 중앙은행이 직접 관리·통제한다는 것이 민간이 주도하는 기존 모든 암호화폐와의 결정적 차이점이다. 블록체인 기술의 확산에 기폭제가 될 것이란 기대가 있지만 ‘빅 브러더’ 논란도 크다.

임현우 기자 tardis@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