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남도는 창원-함안 간 대중교통 광역환승할인제를 올해 안에 도입하기 위해 본격 논의를 시작했다고 7일 밝혔다.
도와 창원시, 함안군은 최근 경남연구원에서 광역환승할인제 도입을 위한 첫 회의를 열어 이른 시일 내에 환승 방법 등에 대한 합의안을 마련하기로 했다.
ADVERTISEMENT
창원과 함안은 지리적으로 가깝고 산업·교육·의료 등의 목적으로 통행량이 많아 양 지역을 운행하는 시내·농어촌버스 간 환승할인제 도입 요구가 꾸준히 제기됐으나 양 지자체의 이해관계로 도입에 어려움을 겪었다.
그러나 최근 창원·함안 지역 주민의 경제 생활권역 확대로 지역 간 통행이 증가하고 도가 핵심과제로 추진하는 '동남권 메가시티'의 1시간 생활권 광역교통망 환승권역 확대 필요성이 커지며 분위기가 달라졌다.
또 부전-마산 간 전동열차 개통에 따른 이용 수혜권역이 함안 지역으로 확대되는 등 지역 주민의 대중교통 편의를 위해 광역환승할인 도입을 더는 미룰 수 없게 됐다.
ADVERTISEMENT
앞서 도는 지난해 11월 경남연구원에 창원-함안 간 통행량 조사와 광역환승할인제 도입 설문조사를 의뢰했다.
그 결과 창원-함안 간 시내·농어촌버스 운행 6개 노선의 이용 통행량은 월 2만7천218명(교통카드 사용 기준)으로, 매일 878명이 창원과 함안을 오가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 창원 주민의 92%와 함안 주민의 97%가 광역환승할인제 도입에 찬성해 지역 주민의 요구와 관심도 컸다.
ADVERTISEMENT
향후 도는 적극적인 중재와 시스템 구축 및 운영에 대한 재정지원 등으로 양 지자체 간 이해관계를 조정할 계획이다.
상반기 중 환승 방법과 손실 부담에 대해 합의하고 환승 체계에 따른 시스템도 구축할 예정이다.
허동식 도 도시교통국장은 "창원-함안 간 광역환승할인제가 도입되면 인접 생활권역 간 편리한 통행으로 지역 간 교류가 활성화돼 지역 간 상생발전을 이룰 수 있다"며 " 지역 주민의 기대에 부응할 수 있도록 올 하반기 환승할인제 시행에 차질이 없도록 최선을 다하겠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