네이버 실시간 급상승 검색어 리스트. 이미지=네이버 공식 블로그 캡처
네이버 실시간 급상승 검색어 리스트. 이미지=네이버 공식 블로그 캡처
네이버가 전국민의 관심사를 반영하는 실시간 검색어 서비스(실검) 폐지를 결정하자 이용자들이 다양한 반응을 내놓고 있다.

일부 사용자들은 "국민의 눈과 귀를 막았다"며 주요 이슈를 신속하게 전달해주는 실검 폐지에 안타까움을 표하는 반면 일부는 실익에 비해 폐해가 심해 폐지에 찬성한다는 의견을 내보이는 등 사용자들의 반응이 엇갈리고 있다.
이미지=네이버 블로그 다이어리 캡처
이미지=네이버 블로그 다이어리 캡처

네이버, 16년만에 실검 폐지 결정…"여론 통제하나"

5일 정보기술(IT) 업계에 따르면 네이버는 오는 25일 실검 서비스를 더이상 하지 않는다고 전날 밝혔다. 2005년 5월 첫 도입 이후 16년 만의 폐지다. 네이버는 최근 사용자들이 입력하는 검색어가 다양해지고 있으며, 과거에 비해 더 능동적으로 정보를 찾고 생산하고 있다며 실검 서비스 중단 배경을 밝혔다. 네이버홈의 '검색차트' 판도 함께 폐쇄된다.

네이버의 실검 폐지 소식에 일부 사용자들은 부정적인 의견을 내보였다. 정치·사회적 주요 이슈가 발생했을 때 가장 빠르게 소식을 전하고 여론을 형성하는 역할을 했기 때문이다.

한 누리꾼은 "평상시에 어떤 매체보다도 실검을 통해 빠르게 정보를 접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었는데 아쉽다"고 했다. 또 다른 누리꾼은 "실검 때문에 사회적 이슈를 한눈에 파악할 수 있었는데 결과적으로 국민의 눈과 귀를 막는 게 아니냐"며 "앞으로 어디서 이슈를 파악해야 할지 모르겠다"고 했다.
이미지=네이버 데이터랩 캡처
이미지=네이버 데이터랩 캡처
소통의 기회가 없어진다는 의견도 있었다. 한 누리꾼은 "그동안 실검을 보고 의견도 내고 했었는데 없어지면 허전할 것"이라며 "(실검이 있는)다른 포털을 이용할 것"이라고 했다. 이 외에도 "언론 통제에 목적이 있는 것 아니냐", "이용자 중에 실검 반대보다 찬성이 압도적으로 많을 것", "포털 최고의 기능을 없앴다", "댓글도 막더니 실검도 막는다", "편향성만 키운다", "중국 따라하냐", "가장 많이 본 뉴스부터 살려내라" 등 반응이 있었다.

부정적인 의견을 보인 누리꾼들은 대부분 개개인의 관심사보다는 전국민적 관심사를 빠르게 전해주는 순기능에 주목하며 아쉬움을 호소했다. 예컨대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실시간 현황 및 아동학대 '정인이 사건' 등과 같은 사회적 주요 이슈를 널리 알리고 필요시 국민 여론을 형성할 수 있는 기반이 없어졌다는 지적이다.
지난해 6·17 부동산 대책에 반발하는 일부 네티즌들은 '문재인을 파면한다'를 검색어를 실검으로 올리기도 했다. 사진=네이버 캡처
지난해 6·17 부동산 대책에 반발하는 일부 네티즌들은 '문재인을 파면한다'를 검색어를 실검으로 올리기도 했다. 사진=네이버 캡처

"정치·상업적으로 악용 많아…그대로 믿으면 위험"

하지만 일부 사용자들은 "악용 사례가 많았는데 잘한 결정"이라며 긍정적인 반응을 보이기도 했다. 한 누리꾼은 "선동에 악용되고 역이용되는 사례가 많아서 없애는 편이 낫다"며 "구글처럼 아무것도 없는 화면이 좋다"고 말했다. 또 다른 누리꾼은 "한 번씩은 실검 조작같은게 의심되는 경우가 있었는데, 이제 정말 내가 보고 싶은 뉴스만 찾아볼 수 있게 됐다"며 반겼다.

또 다른 누리꾼 역시 "정치적으로 지지층과 반대층 충돌도 늘 실검에서 대결하곤 했는데 악용되느니 차라리 폐지해야 된다"며 "실검을 그대로 믿는 것은 위험하다"고 했다.
네이버 실검 개편 일지. 이미자=네이버 제공
네이버 실검 개편 일지. 이미자=네이버 제공
특정 정치적 목적을 갖고 있거나, 상업적인 목적을 갖고 있는 집단이 의도적으로 실검 순위를 올려 순수성을 훼손하는 등 역기능이 적지 않다는 의견이다. 국민적 관심사를 반영하는 것이 아닌, 의제 설정에 이용되고 있다는 것이다.

네이버는 신뢰성 논란이 끊이질 않자 2017년부터 실검 노출 순위를 확대하고 연령대별 실검 검위 노출, 모바일 홈 개편을 통한 검색차트판 도입, AI랭킹 시스템 및 이슈별 묶어 보기 등을 적용하며 수 차례 개편을 실시했다. 하지만 논란은 쉽사리 잠들지 않았고 정치·상업적으로 부작용이 속출했다.

향후 실검 관련 데이터는 서비스 중인 '데이터랩' 홈페이지를 통해서만 확인이 가능하다.

조아라 한경닷컴 기자 rrang123@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