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국 정부효율부(DOGE) 수장인 일론 머스크 테슬라 최고경영자(CEO)가 전 세계적 저출산 현상에 대한 우려를 표명하며 특히 한국의 심각한 저출산 상황을 재차 거론했다.31일 관련 업계에 따르면 최근 머스크 미 폭스뉴스에서 '가장 큰 걱정거리가 무엇이냐'는 질문에 "거의 모든 나라에서 출산율이 매우 낮다. 이런 추세가 바뀌지 않으면 문명은 사라질 것"이라고 밝혔다.머스크는 미국이 지난해 역대 최저 출산율을 기록한 것을 언급하며 한국 사례도 말했다. 그는 "한국의 출산율이 대체 출산율(Replacement rate)의 3분의 1 수준이다. 3세대 안에 한국은 현재 인구의 3~4% 규모로 줄어들 것"이라며 "아무것도 이 추세를 바꿀 수 없는 듯 보인다. 인류는 죽어가고 있다. 인류는 그런 변화에 대응하도록 진화하지 않았다"고 지적했다.머스크는 지난해 11월에도 엑스(X·옛 트위터)에서 한국의 낮은 출산율을 언급한 바 있다. 당시 그는 "한국 인구의 3분의 2가 한 세대마다 사라질 것이다. 인구 붕괴(population collapse)"라고 말했다.또 지난해 10월에는 사우디아라비아 리야드에서 열린 미래투자이니셔티브(FII)에 참석해 "현재 출산율을 기준으로 한국 인구는 지금의 약 3분의 1보다 훨씬 적어질 것"이라며 "인류가 직면한 가장 큰 위협은 단기적으로 인공지능(AI)이지만 장기적으로는 세계 인구의 붕괴"라고 강조했다.경제협력개발기구(OECD)에 따르면 2022년 기준 미국과 한국의 합계 출산율은 각각 1.67명, 0.78명 수준이다. 한국의 합계 출산율은 2021년 0.81명→2022년 0.78명→2023년 0.72명→2024년 0.75명으로 지난해 9년 만에 반등했으나 여전히 세계 최저 수준을 기
도널드 트럼프 미국 행정부의 관세 불확실성이 더해져 미국 소비심리와 기대 인플레이션이 다시 악화하면서 원유에 대한 수요도 약해질 것이라는 전망에 국제 유가를 끌어내렸다. 로이터통신에 따르면 28일(현지시간) 뉴욕상업거래소에서 근월물인 5월 인도분 서부텍사스산원유(WTI)는 전날보다 0.56달러(0.80%) 밀린 배럴당 69.36달러에 거래를 마감했다. 글로벌 벤치마크인 브렌트유 5월 인도분은 전날보다 0.40달러(0.54%) 하락한 배럴당 73.63달러를 나타냈다.JP모건 애널리스트들은 "무역전쟁에 대한 우려와 미국의 정책 불확실성이 확대되면서 투자 심리를 크게 압박했다"고 분석했다. 글로벌 유가는 투자 심리 악화에 발맞춰 매도 우위였다. 소비심리가 약해지면 그만큼 원유 수요도 약해질 것이라는 전망에서다. 미국 가계의 개인소비지출(PCE)이 예상치를 밑돌며 저조했다는 점이 경제 전망을 어둡게 했다. 2월 PCE는 전월 대비 0.4% 증가해 시장 예상치 0.5% 증가를 밑돌았다.주간 단위로는 미국이 석유수출국기구(OPEC) 회원국인 베네수엘라와 이란에 대한 압박을 강화하면서 3주 연속 상승세를 나타냈다. 미국 에너지 정보국에 따르면 지난주 미국 원유 재고는 330만배럴 감소한 4억3360만 배럴로 시장 예상보다 감소폭이 더 컸다. 주간 기준으로 브렌트유 선물은 1.9%, WTI는 1.6% 상승했다.바클레이즈 애널리스트 아마프리트 싱은 "트럼프 행정부가 베네수엘라에 대한 압박을 강화하면서 올해 베네수엘라 원유 생산량이 하루 20만 배럴 감소할 것"이라고 예상했다. 이어 스톤엑스 애널리스트 알렉스 호데스는 "2분기는 예상보다 더 타이트할 것"이라며 "시장에서 베네수엘라나 이란산 원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이 이끄는 미국 행정부의 반(反) 이민정책이 불법이민자를 넘어 합법적으로 미국에 거주하는 영주권자들까지도 불안하게 하고 있다는 지적이다.30일(현지시간) 워싱턴포스트(WP)에 따르면 최근 외국여행을 취소하는 미국 영주권자들이 늘고 있다. 여행을 마치고 미국에 입국하는 과정에서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는 우려 때문이다.실제 독일 출신 영주권자는 미국에 재입국하는 과정에서 영주권 포기 서류에 서명하라고 강요받은 뒤 구금됐다고 WP는 전했다. 해당 영주권자에게는 음주운전 유죄판결 기록이 있는 것으로 전해졌다.또 컬럼비아대에서 벌어진 친(親)팔레스타인 시위와 관련된 영주권자 2명에 대해 트럼프 행정부가 추방을 시도해 논란이 일기도 했다. 당시 JD 벤스 미국 부통령은 "영주권자라도 미국에 무기한으로 있을 권리는 없다"고 말했다. 정부가 특정 인물에 대해 '미국에 있어서는 안 될 인물'로 판단하고, 그 인물이 시민권자만 아니면 추방할 수 있다는 뜻이었다.미국 영주권자들은 투표권이 없는 걸 제외하면 사실상 시민권자와 동일한 권리를 행사해왔지만, 트럼프 2기 행정부가 출범한 뒤 영주권에 대한 정의가 바뀌는 양상이다.로스앤젤레스(LA) 지역의 이민 변호사 조슈아 골드스타인은 “심지어 시민권을 가진 사람들까지도 ‘여행해도 되느냐’는 질문을 할 정도”라며 이민자 사회의 불안감을 전했다.트럼프 행정부는 영주권 발급 절차도 늦추는 것으로 알려졌다. 더욱 엄격한 보안 심사가 필요하다는 이유로 난민 등의 영주권 신청을 일시적으로 중단하기도 했다.미국의 싱크탱크 카토연구소의 이민정책 담당자 데이비드 비어는 &qu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