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올해 백신·바이든정부·경기부양·친환경·신시장 주목해야"
-
기사 스크랩
-
공유
-
댓글
-
클린뷰
-
프린트
전경련, 5개 키워드별로 한국 대응방안 제시
올해 한국 경제는 백신과 미국 바이든 정부 출범, 대규모 경기부양, 친환경, 신시장을 주목해야 한다는 주장이 나왔다.
전국경제인연합회는 14일 주요 5개 국가·지역(미국·중국·유럽·일본·아세안)의 경제 전망을 5가지 키워드로 정리하고, 이에 대한 한국의 대응 방안을 제시했다.
먼저 전경련은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백신 보급 속도와 효과에 따라 세계 경제 회복세가 결정된다며 첫 번째 키워드를 백신으로 정했다.
이미 미국과 일본, 유럽은 2회 접종 기준으로 모든 국민이 접종을 받을 수 있는 백신을 확보했고, 지난해 말부터 접종을 개시했다.
이에 한국도 백신 확보와 보급, 개발에 총력을 기울여야 한다고 전경련은 조언했다.
전경련은 백신과 더불어 미국 바이든 정부 출범에 따른 글로벌 정책변화가 올해 글로벌 환경에 가장 큰 영향을 미칠 것으로 전망했다.
바이든 정부는 글로벌 리더로서의 미국 귀환을 천명하며 세계무역기구(WTO) 개혁을 추구하고, 파리기후협정과 CPTPP(포괄적·점진적 환태평양경제동반자협정)에 복귀하는 등 다자주의를 강조할 것으로 보인다.
다만 대(對)중국 강경 정책 기조는 유지될 가능성이 크고, 전임 도널드 트럼프 정부와 달리 동맹국과의 연대를 통해 중국을 견제할 것이라고 전경련은 내다봤다.
전경련은 이러한 바이든 정부의 정책 기조에 대응해 한국도 국제기구에서 일정 역할을 수행하고, 싱가포르·호주 등과 연대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코로나19 극복을 위한 주요국의 대규모 경기부양도 고려해야 할 요소다.
미국은 작년 12월 인프라 개발 등을 강조한 9천억 달러 규모의 2차 경기부양안을 합의했고, 올해 초 3차를 예고했다.
유럽은 7천500억 유로 상당의 금융지원을 할 예정이다.
중국도 5G 등 7대 신형 인프라 설비에 향후 5년간 1천700조 원을 투자하고, 아세안도 인도네시아의 수도 이전 프로젝트 등 대규모 투자를 계획 중이다.
전경련은 한국은 이들 국가의 경기부양 프로젝트에 적극적으로 진출해 비즈니스 기회로 활용해야 한다고 조언했다.
아울러 미국과 유럽을 중심으로 추진되는 탈탄소·친환경 흐름에도 동참해야 한다.
미국은 2050년까지 탄소배출 제로(0)를 목표로 올해부터 10년간 5조 달러를 친환경 분야에 투자할 예정이다.
유럽도 2030년까지 온실가스 배출량을 1990년 대비 55% 감축하는 방안을 검토 중이다.
이에 한국의 배터리, 친환경차 산업이 호조를 보일 것으로 예상돼 적극적인 투자가 필요하다고 전경련은 강조했다.
마지막 키워드는 동남아 신시장의 부상이다.
기존 중국 중심의 글로벌밸류체인(GVC)을 재편하려는 움직임이 활발한 가운데 동남아 국가 간 글로벌 기업 유치를 위한 경쟁도 심화하고 있다.
한국 기업도 GVC 재편을 지속해서 모니터링하고, 현지 정부·기업과 관계를 강화해야 한다는 것이 전경련의 주장이다.
김봉만 국제협력실장은 "올해를 상징하는 5대 키워드는 기회인 동시에 위기가 될 수 있어 한국 기업의 면밀한 모니터링이 필요하다"고 말했다.
/연합뉴스
올해 한국 경제는 백신과 미국 바이든 정부 출범, 대규모 경기부양, 친환경, 신시장을 주목해야 한다는 주장이 나왔다.
전국경제인연합회는 14일 주요 5개 국가·지역(미국·중국·유럽·일본·아세안)의 경제 전망을 5가지 키워드로 정리하고, 이에 대한 한국의 대응 방안을 제시했다.
먼저 전경련은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백신 보급 속도와 효과에 따라 세계 경제 회복세가 결정된다며 첫 번째 키워드를 백신으로 정했다.
이미 미국과 일본, 유럽은 2회 접종 기준으로 모든 국민이 접종을 받을 수 있는 백신을 확보했고, 지난해 말부터 접종을 개시했다.
이에 한국도 백신 확보와 보급, 개발에 총력을 기울여야 한다고 전경련은 조언했다.
전경련은 백신과 더불어 미국 바이든 정부 출범에 따른 글로벌 정책변화가 올해 글로벌 환경에 가장 큰 영향을 미칠 것으로 전망했다.
바이든 정부는 글로벌 리더로서의 미국 귀환을 천명하며 세계무역기구(WTO) 개혁을 추구하고, 파리기후협정과 CPTPP(포괄적·점진적 환태평양경제동반자협정)에 복귀하는 등 다자주의를 강조할 것으로 보인다.
다만 대(對)중국 강경 정책 기조는 유지될 가능성이 크고, 전임 도널드 트럼프 정부와 달리 동맹국과의 연대를 통해 중국을 견제할 것이라고 전경련은 내다봤다.
전경련은 이러한 바이든 정부의 정책 기조에 대응해 한국도 국제기구에서 일정 역할을 수행하고, 싱가포르·호주 등과 연대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코로나19 극복을 위한 주요국의 대규모 경기부양도 고려해야 할 요소다.
미국은 작년 12월 인프라 개발 등을 강조한 9천억 달러 규모의 2차 경기부양안을 합의했고, 올해 초 3차를 예고했다.
유럽은 7천500억 유로 상당의 금융지원을 할 예정이다.
중국도 5G 등 7대 신형 인프라 설비에 향후 5년간 1천700조 원을 투자하고, 아세안도 인도네시아의 수도 이전 프로젝트 등 대규모 투자를 계획 중이다.
전경련은 한국은 이들 국가의 경기부양 프로젝트에 적극적으로 진출해 비즈니스 기회로 활용해야 한다고 조언했다.
아울러 미국과 유럽을 중심으로 추진되는 탈탄소·친환경 흐름에도 동참해야 한다.
미국은 2050년까지 탄소배출 제로(0)를 목표로 올해부터 10년간 5조 달러를 친환경 분야에 투자할 예정이다.
유럽도 2030년까지 온실가스 배출량을 1990년 대비 55% 감축하는 방안을 검토 중이다.
이에 한국의 배터리, 친환경차 산업이 호조를 보일 것으로 예상돼 적극적인 투자가 필요하다고 전경련은 강조했다.
마지막 키워드는 동남아 신시장의 부상이다.
기존 중국 중심의 글로벌밸류체인(GVC)을 재편하려는 움직임이 활발한 가운데 동남아 국가 간 글로벌 기업 유치를 위한 경쟁도 심화하고 있다.
한국 기업도 GVC 재편을 지속해서 모니터링하고, 현지 정부·기업과 관계를 강화해야 한다는 것이 전경련의 주장이다.
김봉만 국제협력실장은 "올해를 상징하는 5대 키워드는 기회인 동시에 위기가 될 수 있어 한국 기업의 면밀한 모니터링이 필요하다"고 말했다.
/연합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