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취직 어차피 안돼"…구직 접은 20대 23개월째 늘었다 [신현보의 딥데이터]
-
기사 스크랩
-
공유
-
댓글
-
클린뷰
-
프린트
[신현보의 딥데이터 27]
20대 고용동향 분석
20대 경제활동률 전년比 13개월째 하락세
20대 비경제활동인구 전년比 17개월째↑
20대 쉬었음 전년比 23개월째↑
취준생·구직단념자 전년比 9개월째↑
"정부 주도 일자리 사업, 청년 고용에 한계"
20대 고용동향 분석
20대 경제활동률 전년比 13개월째 하락세
20대 비경제활동인구 전년比 17개월째↑
20대 쉬었음 전년比 23개월째↑
취준생·구직단념자 전년比 9개월째↑
"정부 주도 일자리 사업, 청년 고용에 한계"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에 따른 고용 한파가 유독 청년층에 매섭게 불고 있다. 올들어 청년들의 각종 고용 지표는 다른 연령층에 비해 크게 악화되고 있다. 코로나19 장기화로 일할 기회가 사라지자, 특히 비경제활동인구가 급증하는 등 청년들의 '구직 의지'가 크게 꺾이고 있는 것으로 파악된다.
20일 통계청의 11월 고용동향을 분석한 결과에 따르면 11월 20대 경제활동참가율은 60.9%로 전년 동월 대비 2.7%포인트 하락햇다. 전 연령대 중 가장 큰 폭으로 떨어졌다. 같은 기간 30대는 0.5%포인트, 40대 0.9%포인트, 50대 0.7% 하락했다.
20대 경제활동참가율은 13개월째 전년 동월 대비 하락세를 이어가고 있다. 올해 연령대별 낙폭을 20대에 가장 두드러졌다. 고용 시장 불안이 장기화되면서 구직 가능성이 없다고 판단한 청년들이 대거 구직 활동을 접고 있는 것으로 풀이된다.
구직 포기자들이 늘면서 20대 비경제활동인구는 급증하고 있다. 지난달엔 252만6000명으로 전년 동월 대비 7.5% 늘었다. 이 역시 연령계층 중 가장 큰 증가폭이다. 이달 30대는 0.1%, 40대는 3.8%, 50대는 2.9% 상승에 그쳤다. 20대 비경제활동인구는 지난해 7월부터 17개월째 증가 중이다.
전문가들은 그간 정부의 일자리 사업이 노인 일자리에 집중된데다 노동시장이 경직된 상황에서 코로나19로 기업들의 신규 일자리 창출이 어려워지자 청년들이 가장 큰 타격을 받는 것으로 보고 있다. 정부 재정 지출의 한계가 나타나고 있는 만큼 민간 일자리 확대를 유도하는 방향으로 정책 전환을 해야 한다는 목소리가 커진다.
특히 쉬었다는 20대 인구가 다른 연령대에 비해 유독 두드러지는 양상이다. 20대 '쉬었음' 인구는 전년 동월 대비 23개월 연속 늘어 가장 오랜 기간 증가세를 보이고 있다. 30대는 최근 9개월, 40대는 21개월 연속 증가했다. 50대는 최근 2개월 간 감소했다. 단순 인구 집계만 봐도 11월 20대 쉬었음 인구는 41만7000명으로, 은퇴했거나 은퇴에 임박한 60대 이상을 제외하고는 가장 많았다.
11월 전년 동월 대비 증가폭도 20대는 26.7%, 30대는 17%, 40대는 14% 등으로 20대가 가장 컸다. 전월 대비로 살펴봐도 30대·40대·50대 모두 9~11월까지 3개월 연속 감소한 반면 20대만 11월에 1.7% 증가하며 홀로 늘고 있다.
청년층 고용 불안을 나타내는 다른 지표들도 요동치고 있다. 취업준비생은 54만명으로 전년 동월 대비 12.1% 늘었다. 3월부터 9개월 연속 증가세다. 2월부터 취업준비생은 내내 50만명대를 기록 중이다.
청년층이 주를 이루는 구직단념자도 9개월 연속 전년 동월 대비 증가세를 이어가고 있다. 증가폭도 최근 들어 더 가파라지는 모습이다. 11월 구직단념자는 63만1000명으로 전년 동월 대비 29.6% 증가했다. 지난 4월 전년 동월 대비 25.5%로 급증했던 구직단념자 수는 5~6월까지 10% 미만을 기록하다 8월부터 최근까지 내내 20%대 증가세를 이어가고 있다.
성별로 나눠보면 남성 구직 단념자는 코로나19 2차 유행 당시인 8월 30%까지 급증했다가 9~10월 소폭 진정된 후 11월 다시 23.2%로 늘었다. 여성은 올해 상반기까지 남성에 비해 변화폭이 미미했으나 11월 전년 동월 대비 36.5%나 급증하며 최근 고용 불안이 심각해지는 양상을 보이고 있다.
재정 지원 일자리가 청년들의 직업 훈련 효과까지 미미해 청년들의 '스펙 쌓기'에 오히려 악영향을 준다는 지적도 제기된다. 한국고용정보원이 이달 초 낸 '재정지원 일자리사업 심층평가 연구 -일자리사업 간 연계분석'에 따르면 '직접 일자리' 사업에만 참여한 사람의 취업률은 5.3%에 불과했다. 직업 훈련 등이 연계돼서야 비로소 취업률은 29.9%로 올라갔다.
성태윤 연세대 경제학부 교수는 "정부 주도형 임시직 일자리 창출에 예산 투입이 다소 과한 측면이 있다"며 "청년들의 고용 안정성이 코로나19 이후에도 계속되려면 정부의 재정 투입이 민간 투자로 연결될 수 있어야 한다"고 말했다. 그러면서 "민간 자체에서도 적극 일자리 창출에 투자할 수 있도록 지원 마련과 규제 개선을 해야하고, 경제 구조를 개혁하는 일이 시급하다"고 덧붙였다.
신현보 한경닷컴 기자 greaterfool@hankyung.com
20일 통계청의 11월 고용동향을 분석한 결과에 따르면 11월 20대 경제활동참가율은 60.9%로 전년 동월 대비 2.7%포인트 하락햇다. 전 연령대 중 가장 큰 폭으로 떨어졌다. 같은 기간 30대는 0.5%포인트, 40대 0.9%포인트, 50대 0.7% 하락했다.
20대 경제활동참가율은 13개월째 전년 동월 대비 하락세를 이어가고 있다. 올해 연령대별 낙폭을 20대에 가장 두드러졌다. 고용 시장 불안이 장기화되면서 구직 가능성이 없다고 판단한 청년들이 대거 구직 활동을 접고 있는 것으로 풀이된다.
구직 포기자들이 늘면서 20대 비경제활동인구는 급증하고 있다. 지난달엔 252만6000명으로 전년 동월 대비 7.5% 늘었다. 이 역시 연령계층 중 가장 큰 증가폭이다. 이달 30대는 0.1%, 40대는 3.8%, 50대는 2.9% 상승에 그쳤다. 20대 비경제활동인구는 지난해 7월부터 17개월째 증가 중이다.
전문가들은 그간 정부의 일자리 사업이 노인 일자리에 집중된데다 노동시장이 경직된 상황에서 코로나19로 기업들의 신규 일자리 창출이 어려워지자 청년들이 가장 큰 타격을 받는 것으로 보고 있다. 정부 재정 지출의 한계가 나타나고 있는 만큼 민간 일자리 확대를 유도하는 방향으로 정책 전환을 해야 한다는 목소리가 커진다.
구직 의지 꺾인 20대
비경제활동인구의 세부 항목을 살펴보면, '쉬었음' 인구가 전년 동월 대비 43개월 연속 상승세를 이어갔다. 2017년 5월부터 매달 빠짐없이 증가하며 역대 최장 기록을 이어가고 있다.특히 쉬었다는 20대 인구가 다른 연령대에 비해 유독 두드러지는 양상이다. 20대 '쉬었음' 인구는 전년 동월 대비 23개월 연속 늘어 가장 오랜 기간 증가세를 보이고 있다. 30대는 최근 9개월, 40대는 21개월 연속 증가했다. 50대는 최근 2개월 간 감소했다. 단순 인구 집계만 봐도 11월 20대 쉬었음 인구는 41만7000명으로, 은퇴했거나 은퇴에 임박한 60대 이상을 제외하고는 가장 많았다.
11월 전년 동월 대비 증가폭도 20대는 26.7%, 30대는 17%, 40대는 14% 등으로 20대가 가장 컸다. 전월 대비로 살펴봐도 30대·40대·50대 모두 9~11월까지 3개월 연속 감소한 반면 20대만 11월에 1.7% 증가하며 홀로 늘고 있다.
청년층 고용 불안을 나타내는 다른 지표들도 요동치고 있다. 취업준비생은 54만명으로 전년 동월 대비 12.1% 늘었다. 3월부터 9개월 연속 증가세다. 2월부터 취업준비생은 내내 50만명대를 기록 중이다.
청년층이 주를 이루는 구직단념자도 9개월 연속 전년 동월 대비 증가세를 이어가고 있다. 증가폭도 최근 들어 더 가파라지는 모습이다. 11월 구직단념자는 63만1000명으로 전년 동월 대비 29.6% 증가했다. 지난 4월 전년 동월 대비 25.5%로 급증했던 구직단념자 수는 5~6월까지 10% 미만을 기록하다 8월부터 최근까지 내내 20%대 증가세를 이어가고 있다.
성별로 나눠보면 남성 구직 단념자는 코로나19 2차 유행 당시인 8월 30%까지 급증했다가 9~10월 소폭 진정된 후 11월 다시 23.2%로 늘었다. 여성은 올해 상반기까지 남성에 비해 변화폭이 미미했으나 11월 전년 동월 대비 36.5%나 급증하며 최근 고용 불안이 심각해지는 양상을 보이고 있다.
청년 고용, 민간이 주도해야
정부가 내년에 '직접 일자리' 사업에만 3조원 이상의 재정을 투입해 100만개 이상의 일자리를 창출하겠다는 계획을 발표했지만, 청년 구직포기자들이 줄어들 지는 미지수다. 코로나의 영향이 내년까지 이어질 것으로 보이는데다 정부 직접 일자리 사업 중 청년 대상은 '청년 일경험 사업' 하나 뿐이다. 지원 대상 인원은 10만명에 그친다.재정 지원 일자리가 청년들의 직업 훈련 효과까지 미미해 청년들의 '스펙 쌓기'에 오히려 악영향을 준다는 지적도 제기된다. 한국고용정보원이 이달 초 낸 '재정지원 일자리사업 심층평가 연구 -일자리사업 간 연계분석'에 따르면 '직접 일자리' 사업에만 참여한 사람의 취업률은 5.3%에 불과했다. 직업 훈련 등이 연계돼서야 비로소 취업률은 29.9%로 올라갔다.
성태윤 연세대 경제학부 교수는 "정부 주도형 임시직 일자리 창출에 예산 투입이 다소 과한 측면이 있다"며 "청년들의 고용 안정성이 코로나19 이후에도 계속되려면 정부의 재정 투입이 민간 투자로 연결될 수 있어야 한다"고 말했다. 그러면서 "민간 자체에서도 적극 일자리 창출에 투자할 수 있도록 지원 마련과 규제 개선을 해야하고, 경제 구조를 개혁하는 일이 시급하다"고 덧붙였다.
신현보 한경닷컴 기자 greaterfool@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