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해 7월 학교 비정규직 노동자들이 총파업에 들어가면서 서울의 한 초등학교에서 어린이들이 대체 급식으로 제공된 빵과 에너지바 등으로 점심식사를 하고 있다. 사진=연합뉴스
지난해 7월 학교 비정규직 노동자들이 총파업에 들어가면서 서울의 한 초등학교에서 어린이들이 대체 급식으로 제공된 빵과 에너지바 등으로 점심식사를 하고 있다. 사진=연합뉴스
지난주 초등 돌봄전담사들이 파업한 데 이어 이달 중하순 서울지역 학교 돌봄·급식 종사자들도 파업을 예고했다. 연이은 학교 관련 파업에 학부모들은 발을 동동 구르고 있다.

11일 교육계에 따르면 서울학교비정규직연대회의(서울학비연대)는 퇴직연금 제도 개선 등을 요구하며 이달 19∼20일 파업에 들어갈 계획이다. 전국 초등 돌봄전담사들이 '온종일 돌봄법' 철회와 전일제 근무 등을 요구하며 이달 6일 총파업을 벌인 지 약 2주 만이다.

서울학비연대는 공공운수노조 교육공무직본부·전국여성노조·전국학교비정규직노조·서울일반노조 등이 참여한 단체다. 돌봄전담사와 급식조리사·영양사 등 1만1000여 명이 속해 있다. 서울학비연대는 노동자 처우 개선을 위한 퇴직연금 제도 전환을 둘러싸고 지금껏 서울시교육청과 협상해왔지만 논의가 지지부진해 파업을 벌이기로 했다.

서울학비연대는 "조희연 서울교육감은 재선 당시 퇴직금 제도 개선을 위해 노력하겠다며 노조와 정책협약까지 맺었는데 헛된 공약(空約)이 돼 버렸다"며 "조 교육감이 하루라도 빨리 약속을 지키겠다는 약속과 함께 퇴직연금 제도 개선안을 내놔야 한다"고 촉구했다.

이에 따라 파업 기간 초등학교 돌봄교실 운영과 학교 급식에 차질이 빚어질 전망. 파업이 벌어지면 학생들은 급식을 못하므로 도시락을 싸서 가거나 빵·우유 등으로 끼니를 해결해야 한다.
전국 초등 돌봄 전담사 절반가량이 8시간 전일제 근무 전환과 지방자치단체의 돌봄 책임을 강화하는 '온종일 돌봄법' 철회를 요구하며 파업에 들어간 6일 오후 경기도의 한 초등학교 돌봄교실 신발장이 텅 비어 있다. 사진=연합뉴스
전국 초등 돌봄 전담사 절반가량이 8시간 전일제 근무 전환과 지방자치단체의 돌봄 책임을 강화하는 '온종일 돌봄법' 철회를 요구하며 파업에 들어간 6일 오후 경기도의 한 초등학교 돌봄교실 신발장이 텅 비어 있다. 사진=연합뉴스
이와 별도로 학비연대가 전국적 2차 돌봄 파업을 예고한 상황이기에 학생·학부모 사이에서 혼란이 빚어질 가능성이 크다.

서울교육청은 1차 파업 당일인 6일 오전 11시를 기준으로 서울지역 공립 초등학교 562곳 가운데 557개교 돌봄 교실 1796곳의 운영 현황을 파악한 결과 85.8%인 1541곳이 정상 운영됐다고 언급한 바 있다. 파업에 참여하는 돌봄 전담사가 429명에 그쳤고, 교장·교감·교사 등이 참여하는 돌봄교실 운영 비율이 높아 돌봄 공백이 우려만큼 크지 않았다는 설명이었다.

그럼에도 돌봄전담사들이 파업한 6일 초등 1~2학년 자녀를 둔 다수 학부모가 불편을 겪어야 했다. 교육 현장에서 돌봄교실 운영 계획과 관련해 학교 안내가 늦어지는 경우도 속출하면서 학부모들의 불만 섞인 목소리가 터져나왔다.

수도권에서 초등학교 1학년 자녀를 키우는 한모씨는 돌봄전담사 파업 소식을 접하고 급히 기존에 다니던 학원에 도움을 구했다고 했다. 그는 "학원 시간을 조정해 아이를 2시간 정도 빨리 하교시켜달라고 부탁했다"며 "주변에서도 난리다. 그나마 집에 누가 있으면 괜찮은데 워킹맘들은 정말 대안이 없다며 울상"이라고 했다.

저학년 초등학생 아들을 출근길에 내려다주던 김모씨도 "부모 입장에서 2차 파업도 예정되는 상황이라 마음이 편치 않다"고 토로했다.

김수현 한경닷컴 기자 ksoohyun@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