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9일(현지시간) 세계 각국에 부과한 상호관세를 90일간 유예하고 유예 기간 중 모든 나라에 10% 기본관세만 물리기로 했다. 다만 미국에 보복관세를 매긴 중국에는 추가 관세율을 104%에서 125%로 높이겠다고 했다. 관세전쟁이 결국 중국 때리기에 맞춰질 것이라는 관측이 나온다.트럼프 대통령은 이날 SNS를 통해 “중국이 세계 시장에 대한 존중을 보여주지 않고 있기 때문에 대중 관세율을 125%로 즉각 올린다”고 밝혔다. 그러면서 “미국에 보복하지 않은 다른 국가에는 90일간 상호관세 적용을 일시 중지하고 이 기간에 10% 관세율을 즉각 적용한다”고 했다. 이에 따라 한국의 상호관세는 당분간 25%에서 10%로 낮아졌다. 상호관세 발효 13시간 만에 나온 유예 조치이자 트럼프 대통령이 지난 1월 취임 후 계속해온 ‘관세 드라이브’를 사실상 처음으로 멈춘 것이다.트럼프 대통령은 중국을 제외한 다른 나라에 상호관세를 유예한 이유에 대해 “75개 이상의 국가가 무역장벽과 관세, 환율 조작 등의 주제를 협상하기 위해 미국 대표들에게 연락해 왔다”고 했다. 협상을 위해 상호관세를 유예했다는 것이다. 스콧 베선트 미국 재무장관도 “협상을 요청한 각 나라와 맞춤형으로 해법을 찾기 위해서는 시간이 걸린다”며 “트럼프 대통령이 (협상에) 직접 참여하고 싶어 해 유예한 것”이라고 했다. 또 “처음부터 트럼프 대통령의 전략”이었다고 했다.하지만 시장에서는 트럼프 대통령이 상호관세를 발효한 뒤 주식시장이 폭락한 데 이어 미국 국채 가격까지 급락(국채 금리 급등)하자 지지층에서도 반대 목소리가 나온 게 관세 유예 결정에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9일(현지시간) 세계 각국에 부과한 상호관세를 90일간 유예하고 유예 기간 중 모든 나라에 10% 기본관세만 물리기로 했다. 다만 미국에 보복관세를 매긴 중국에는 추가 관세율을 104%에서 125%로 높이겠다고 했다. 관세전쟁이 결국 중국 때리기에 맞춰질 것이라는 관측이 나온다.트럼프 대통령은 이날 SNS를 통해 “중국이 세계 시장에 대한 존중을 보여주지 않고 있기 때문에 대중 관세율을 125%로 즉각 올린다”고 밝혔다. 그러면서 “미국에 보복하지 않은 다른 국가에는 90일간 상호관세 적용을 일시 중지하고 이 기간에 10% 관세율을 즉각 적용한다”고 했다. 이에 따라 한국의 상호관세는 당분간 25%에서 10%로 낮아졌다. 상호관세 발효 13시간 만에 나온 유예 조치이자 트럼프 대통령이 지난 1월 취임 후 계속해온 ‘관세 드라이브’를 사실상 처음으로 멈춘 것이다.트럼프 대통령은 중국을 제외한 다른 나라에 상호관세를 유예한 이유에 대해 “75개 이상의 국가가 무역장벽과 관세, 환율 조작 등의 주제를 협상하기 위해 미국 대표들에게 연락해 왔다”고 했다. 협상을 위해 상호관세를 유예했다는 것이다. 스콧 베선트 미국 재무장관도 “협상을 요청한 각 나라와 맞춤형으로 해법을 찾기 위해서는 시간이 걸린다”며 “트럼프 대통령이 (협상에) 직접 참여하고 싶어 해 유예한 것”이라고 했다. 또 “처음부터 트럼프 대통령의 전략”이었다고 했다.하지만 시장에서는 트럼프 대통령이 상호관세를 발효한 뒤 주식시장이 폭락한 데 이어 미국 국채 가격까지 급락(국채 금리 급등)하자 지지층에서도 반대 목소리가 나온 게 관세 유예 결정에
미국 하원이 중국 대학과 협력한 미국 대학에 국토안보부의 자금 지원을 금지하는 법안을 통과시켰다. 미·중 갈등이 교육과 학술 분야로 확산하는 모습이다.9일(현지시간) 미국 하원 국토안보위원회에서 중국과학원을 포함해 중국 국방·정보기관과 연계된 대학과 협력하는 미국 대학을 국토안보부 지원 대상에서 제외한다는 내용의 법안이 통과됐다.이 법안을 제출한 오거스트 플루거 공화당 하원의원은 “국가 안보 전문가와 사법당국은 미국에서 늘어나고 있는 중국 공산당 활동을 경고해왔다”며 “이 법안은 미국 학생과 지식재산권, 국가 안전을 보호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할 것”이라고 설명했다. 이는 향후 상원 통과와 대통령 서명 절차를 거치면 법제화된다.이번 법안은 미국이 국가 안보를 이유로 미·중 간 교육 협력을 끊으려는 움직임의 일환으로 해석된다. 최근 미국 연방의회는 공화당 의원을 중심으로 중국 유학생 유입을 줄이기 위한 입법 활동을 이어오고 있다. 지난달 중국 국적자에게 미국 학생비자 발급을 전면 금지하는 법안이 상정됐다. 존 물레나 하원 중국공산당특별위원회의 공화당 위원장은 스탠퍼드대 등 6개 대학에 중국 유학생 관련 정보 제출을 요청하는 서한을 보냈다. 이런 압력 속에 미시간대, 조지아공대 등 일부 대학은 중국 기관과 협력 중단 계획을 발표했다.초기 법안에 반대해오던 민주당 의원도 ‘면제 조항’이 신설되자 다수가 입장을 선회했다. 이번 법안에는 미국 국가 안보에 위협이 되지 않거나 국가 안보에 도움이 된다고 판단되면 국토안보부 장관이 예외를 인정할 수 있도록 한다는 조항을 추가했다.중국 정부도 미국 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