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기차 시장이 확대되면서 충전소 사업의 주도권을 놓고 미국 내에서 갑론을박이 이어지고 있다고 월스트리트저널(WSJ)이 17일(현지시간) 보도했다.

이 보도에 따르면 엑셀론과 서던 캘리포니아 에디슨 같은 전기 공급 사업자들은 전기차 충전소 사업 선점을 위해 당국에 투자 승인을 요구하고 있으나 이에 대해 소비자 단체와 석유업체 등은 반발하는 움직임을 보였다.

ADVERTISEMENT

전기 사업자는 전기 공급에 필요한 기반시설을 보유한 자신들이 전기차 충전소를 운영하는 것이 효율적이라는 주장을 펼치고 있다.

즉 앞으로 전기차 보급이 확대되면 전기 사업자들이 늘어난 매출을 바탕으로 시스템 개선에 나설 수 있어 장기적으로 전기요금이 내려갈 것이란 주장이다.

또 기반시설을 이미 갖춘 전기 사업자가 나서야 전기차 충전소가 빠르게 들어설 수 있다는 논리도 내세우고 있다.

ADVERTISEMENT

엑셀론에서 유틸리티 사업을 총괄하는 캘빈 버틀러는 전기차 충전소가 빠르게 자리 잡기 위해서는 전기 사업자들이 나서야 한다면서 많은 주의 규제 당국도 긍정적인 반응을 보이고 있다고 말했다.

실제 전기차 보급에 가장 적극적인 캘리포니아주는 10년 전만 해도 경쟁을 저해할 수 있다는 이유로 충전소 사업에서 전기 사업자를 배제했으나 2014년 내연기관차 퇴출과 전기차 도입 촉진을 명분으로 기존 입장을 뒤집었다.

메릴랜드주도 지난해 엑셀론과 퍼스트에너지의 자회사들이 공공부지에 공공 전기차 충전소를 운영할 수 있도록 하는 시험적 계획을 승인했다.

ADVERTISEMENT

그러나 한달 뒤 워싱턴 D.C는 엑셀론 자회사가 낸 사업계획을 거부하는 등 반대 목소리도 만만치 않다.

일부 소비자 단체는 전기 사업자들이 투자 비용을 소비자에게 전가할 것이라는 이유에서 반대하고 석유 업체들은 전기 사업자의 독점적 지위에 기반한 시장 점유율 확대를 우려하고 있다.

전기차 충전소 사업에 뛰어든 신생 기업들 역시 주유소처럼 전기차 충전소도 민간 영역의 경쟁체제를 도입해야 한다고 목소리를 높이고 있다.

ADVERTISEMENT

에너지 컨설팅업체인 우드 매켄지에 따르면 미국에서 향후 5년간 320여만개의 전기차 충전소 건설에 130억달러가 투자될 것으로 예상된다.

전기차 충전소 누가 주도해야 하나…미국서 갑론을박
/연합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