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반인은 출입을 할 수 없습니다. 길이 없으니 돌아가세요.” 윤석열 대통령 탄핵심판 선고를 하루 앞둔 3일 서울 재동 헌법재판소 주변에서 경찰이 길거리를 지나가는 시민을 일일이 붙잡고 이렇게 말했다.이날 헌재 주변은 줄지어 주차된 대형 버스와 4m 높이의 플라스틱 가벽으로 요새화돼 있었다. 경찰이 전날 오후 2시부터 헌재 반경 150m 구역을 진입이 불가능한 일종의 ‘진공 상태’로 만든 것이다. 경찰은 주민 등 구체적 신원이 확인되지 않으면 헌재 주변으로 아무도 진입하지 못하도록 했다. 이런 상황을 전혀 모르는 외국인 관광객은 경찰에 막혀 발길을 돌리기도 했다.경찰은 윤 대통령 탄핵 선고 직후 서울서부지방법원 사태와 같은 불상사가 생기지 않도록 폭력행위엔 즉시 엄정 대응하겠다고 밝혔다. 이날 오전 9시부터 서울 경찰 인력의 50%를 동원하는 ‘을호비상’을 발령한 데 이어 선고 당일엔 경찰 인력 100%를 투입하는 ‘갑호비상’을 전국에 발령한다. 갑호·을호는 1·2단계 수준의 비상근무 체제를 말한다.선고 당일엔 전국 210개 기동대 1만4000여 명과 다수의 형사기동대, 대화경찰 등이 서울 종로구 주변에 배치된다. 경찰특공대 30여 명과 탐지견도 투입된다. 박현수 서울경찰청장 직무대리는 “탄핵 선고와 관련해 발생하는 모든 불법행위에 무관용 원칙을 적용한다”고 말했다.경찰이 헌재 주변을 엄격하게 통제하자 인근 상인들은 어쩔 수 없이 선고 당일 영업을 쉬기로 결정했다. 우체국과 카페·식당 등은 가게 입구에 ‘4일 임시 휴업’을 공지했다. 신한·하나은행 등도 선고 당일엔 임시 휴점을 한다.정희원 기자
아이의 대변이 묻은 기저귀로 어린이집 교사의 얼굴을 때린 40대 여성이 항소심에서 선처를 호소했다. 이 여성은 자녀가 아동학대 당했다고 의심해 범행했고, 1심에서 징역형의 집행유예를 선고받았다.3일 대전지법 3-3형사 항소부(박은진 부장판사)는 상해 혐의로 기소된 40대 여성 A씨의 항소심 첫 공판을 진행했다.이날 A씨 변호인은 1심 판결의 양형 부당, 사실오인, 법리 오해 등을 주장하면서 재판부에 선처를 호소했다.변호인은 "피해 교사가 (A씨의) 둘째 자녀가 입원 중인 병실에 약속 없이 찾아왔고, 출입 금지가 명시된 병실을 무단으로 침입한 사실이 있다"면서 "범행이 일시적이고 우발적으로 벌어졌고, 범행을 자백하며 반성하고 있는 점을 고려해달라"고 재판부에 요청했다.A씨 역시 최후진술에서 "민사재판에서 다툼이 있었지만, 최대한 빨리 종결하려고 법원 화해 권고를 수용해 피해 교사에게 4500만원을 드렸다"면서 "순간 화를 이기지 못하고 범행을 저질러 부끄럽고 창피하다"고 말했다.이어 "상해를 입힌 잘못과 책임은 제 몫이고, 앞으로 성숙한 성품을 갖고 가정생활을 할 수 있도록 기회를 달라"고 덧붙였다.반면, 검찰은 "죄질이 가볍지 않고, 피고인이 여전히 피해 교사의 병실 침입을 주장하는 등 반성의 모습을 보기 어렵다"면서 1심과 같은 징역 1년을 구형했다.검찰은 A씨가 피해 교사를 아동복지법 위반(아동 유기·방임) 혐의로 맞고소한 사건의 무혐의 처분 결정서를 참고 자료로 재판부에 제출했다.재판부에 따르면 A씨는 2023년 9월 10일 오후 4시 20분께 세종시의 한 병원 화장실 안에서 손에 들고 있던 똥 묻은 기저귀를 펼쳐 어린이집
한국경제신문 독자위원회 2025년 1차 회의가 지난 2일 서울 중림동 한국경제신문사 영상회의실에서 열렸다. 각계각층을 대표하는 독자위원들은 올 1분기(1~3월) 한국경제신문이 선보인 신년 특집 ‘빅 퀘스천’ 시리즈와 ‘K인더스트리 美 현장을 가다’ 등 기획 기사에 “정치 이슈가 주를 이루는 상황에도 한경만의 색을 지키며 깊이 있는 통찰을 전했다”고 호평했다. 정치 뉴스에 피로를 느끼는 독자에게 다양한 기획 기사를 통해 균형 잡힌 시각을 제공했다는 평가다.이날 회의는 박병원 한경 독자위원회 위원장(전 한국경영자총협회 회장)이 주재했다. 김도영(서강대 경제학부 교수)·박종민(경희대 미디어학과 교수)·곽주영(연세대 경영대학 교수)·박현주(신한금융그룹 소비자보호부문 그룹장)·김우경(SK이노베이션 PR실장)·조성우(의식주컴퍼니 대표)·장혜진(오리온 홍보팀 상무)·이창재(김·장 법률사무소 변호사)·강경희(케이트분식당 사장)·김선규(고려대 미디어학부 3학년) 위원이 참석했다. ◇ “한경의 독보적 기획력 돋보여”위원들은 1~3월 주요 기사 중 ‘K인더스트리’ 시리즈, ‘산업도시가 무너진다’ ‘패션 브랜드 1만 개 시대’ 등 산업 현장을 발로 뛴 심층 보도를 호평했다. ‘한경 긱스’를 비롯한 온라인 플랫폼 기사에도 긍정적인 반응을 보였다.조성우 위원은 “다양한 산업을 분석한 기획물의 깊이가 올해 한층 더해졌고, 독자에게 생각할 거리를 제시했다”며 “한경 긱스에서 해외에서는 1000억달러 규모의 스타트업 ‘트릴리언달러 베이비’가 탄생하는데, 한국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