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공기관 노조 대표들 토론회 개최…"코로나19 위기 극복 대화 재평가"
민주노총 위원장 선거 앞두고 '사회적 대화' 논쟁 재점화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위기 극복을 위한 노사정 협약을 놓고 지난 7월 지도부가 사퇴하는 등 극심한 내홍을 겪은 전국민주노동조합총연맹(민주노총)에서 차기 지도부 선거를 앞두고 사회적 대화 참여 문제가 다시 쟁점으로 떠오르는 양상이다.

국민건강보험공단 노조 등 민주노총 산하 13개 공공기관 노조 대표들이 참여하는 '공공기관 노정 교섭 촉진을 위한 현장 대표자회의'(이하 대표자회의)는 12일 오후 서울 여의도 국민건강보험공단 서울·강원 지역본부에서 민주노총의 사회적 대화 참여 문제에 관한 토론회를 개최했다.

대표자회의는 토론회 안내문에서 코로나19 사태의 피해가 집중되는 비정규직, 특수고용직, 영세 사업장 노동자 등을 위해서는 기업별·산업별 교섭을 넘어서는 큰 틀의 사회적 대화가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김명환 전 민주노총 위원장은 지난 4월 코로나19 위기 극복을 위한 노사정 대화를 제안하고 정세균 국무총리를 중심으로 구성된 노사정 대표자회의에 참여했으나 내부 반대에 막혀 노사정 협약에는 불참했다.

이에 김 전 위원장을 비롯한 지도부는 사퇴했고 민주노총은 이달 24일 후보자 등록을 시작으로 차기 지도부 선거 일정에 들어간다.

대표자회의는 김 전 위원장이 직선으로 당선됐음에도 대의원대회의 반대로 노사정 협약에 참여하지 못한 사실을 거론하고 "위원장의 권한과 책임, 조직 운영과 체계 전반을 제대로 정비해야 할 과제가 남아 있다"고 지적했다.

또 "지난 7월 민주노총 임시 대의원대회에서 쟁점이 됐던 코로나19 위기 극복을 위한 사회적 대화와 관련해 제대로 된 평가와 함께 향후 올바른 방향 정립, 나아가 '모든 노동자를 위한 민주노총'의 정체성과 역할에 대한 재조명·재평가 작업의 필요성이 대두하고 있다"고 덧붙였다.

이번 토론회는 이틀 동안 계속된다.

13일에는 노사정 대표자회의 실무협의에 참여했던 이주호 보건의료노조 정책연구원장과 노사정 협약 찬반 토론에서 찬성 패널로 나섰던 황병래 국민건강보험노조 위원장 등이 토론자로 나올 예정이다.

/연합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