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베 신조(安倍晋三·사진) 일본 총리가 사의를 표명한 이유는 건강 문제보다도 각종 정책실패와 스캔들 때문이라는 주장이 나왔다.

나카노 고이치(中野晃一) 일본 조치(上智)대 교수는 지난달 30일(현지시간) 미국 일간 뉴욕타임스(NYT)에 게재한 칼럼에서 "일본 최장기 재임 총리가 '책임지라'는 국민의 요구를 회피하면서 정권을 떠났다"며 이같이 주장했다.

나카노 교수는 특히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대응 실패로 일본 내에서 비판 여론이 높아진 것을 아베 총리 사의 표명의 가장 큰 이유로 꼽았다.

그는 "아베 총리가 팬데믹(감염병의 세계적 대유행)과 그 경제적 여파를 관리하려는 노력을 충분히 하지 않았고, 대국민 설명도 부족했다"며 "일본인 대다수가 이에 비판적이었다"고 했다. 성인이 착용하기엔 터무니없이 크기가 작아 여론의 뭇매를 맞았던 '아베노마스크' 사건을 언급하기도 했다.

나카노 교수는 수년간 제기된 정치적 스캔들도 아베 총리를 사임하게 만들었다고 분석했다. 2017년 전 모리토모학원 이사장 부부는 아베 총리 부부의 위세를 등에 업고 학교 용지로 쓸 국유지를 감정평가액보다 싸게 매입했다는 의혹이 제기됐다. 이후 아베 총리는 해당 내용을 부인만 할 뿐, 설득력 있는 해명을 내놓지 못했다.

지난해 11월엔 아베 총리가 국가 예산으로 진행되는 '벚꽃을 보는 모임' 행사에 후원회 관계자들을 초청했다는 사실이 드러났다.

논란이 일자 아베 총리는 해명은커녕 참석자 명부를 폐기해 더욱 거센 비판 여론에 직면했다. 이외에도 자신이 선호하는 검사의 정년을 연장하는 전례 없는 결정을 내린 후 이를 뒤늦게 정당화하려는 듯 검찰청법 개정을 추진한 일, 측근인 국회의원 부부가 공직선거법 위반 혐의(매수)로 구속 기소된 일 등 논란에 휘말렸다.

나카노 교수는 "아베 총리는 의회, 언론, 국민에게 설명해야 할 게 많지만 이를 가능한 한 적게 해왔다"며 "지난 6월18일 이후 8월 28일 사의를 발표할 때까지 공식 기자회견에 참석한 적이 없는 걸 보면 어쩌면 국민의 요구를 감당 못하는 것일 수 있다"고 지적했다.

이미경 한경닷컴 기자 capital@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