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폭발 참사' 레바논 새 총리에 아디브 주독일 대사 지명
-
기사 스크랩
-
공유
-
댓글
-
클린뷰
-
프린트
초대형 폭발 참사에 분노한 민심에 밀려 내각이 총사퇴한 레바논에서 새 총리로 무스타파 아디브 주독일 대사(48)가 지명됐다.
미셸 아운 레바논 대통령은 31일 의회와 협의를 거쳐 아디브 대사를 새 총리로 지명했다고 레바논 언론 데일리스타가 보도했다. 아디브 대사는 새 총리로 지명된 뒤 가능한 한 빨리 새로운 정부를 구성하겠다고 다짐했다.
레바논은 명목상 대통령제(임기 6년의 단임제)이지만 사실상 총리가 실권을 쥐는 내각제에 가깝다. 정파 간 권력 안배를 규정한 헌법에 따라 대통령은 마론파 기독교, 총리는 이슬람 수니파, 국회의장은 이슬람 시아파 출신이 각각 맡는 독특한 원칙을 유지하고 있다.
아디브 총리 지명자가 신속한 내각 구성을 공언했지만 새 정부 출범이 진통을 겪을 수 있다. 그동안 고위 직책을 누가 차지하는지를 두고 벌어지는 정파 갈등 때문에 통상 내각 구성에 수개월씩 걸렸다.
앞서 이달 10일 하산 디아브 총리가 이끌던 레바논 내각은 폭발 참사에 대한 책임으로 총사퇴를 발표했다. 지난 4일 레바논 수도 베이루트 항구에서 큰 폭발이 일어나 현재까지 약 190명이 숨지고 6000여 명이 다쳤다. 폭발로 인한 피해액은 약 150억달러로 추정된다. 당국은 항구에 수년간 보관된 인화성 물질 질산암모늄 약 2750t이 폭발한 것으로 보고 있다.
현재 레바논은 전 국민의 절반 이상이 빈곤선 아래에 있는 등 경제가 파탄이 난 실정이다. 오랫동안 사실상 권력을 세습해온 정파들의 무능과 부패가 이런 상황의 원인으로 지적되고 있다. 이 때문에 현 정치인들이 지목한 차기 총리 역시 디아브 전 총리와 별반 다르지 않을 것이라는 비판이 벌써 나오고 있다고 알자지라는 전했다.
레바논의 새 총리 지명은 에마뉘엘 마크롱 프랑스 대통령의 레바논 방문을 불과 수시간 앞두고 이뤄졌다. 마크롱 대통령은 31일 오후 레바논에 도착해 현지 당국자들에게 외국의 구제금융 등 원조를 받기 위해 선행돼야 할 개혁 조치를 시행하도록 압박할 예정이다.
앞서 그는 폭발 참사가 발생한 지 며칠 만에 주요국 정상 중 처음으로 레바논을 찾았으며, 이후 레바논 지원을 위한 국제사회의 논의를 주도하고 있다. 레바논은 과거 프랑스의 식민지로 두 나라는 여전히 정치 경제적으로 밀접한 관계를 유지하고 있다.
안정락 기자 jran@hankyung.com
미셸 아운 레바논 대통령은 31일 의회와 협의를 거쳐 아디브 대사를 새 총리로 지명했다고 레바논 언론 데일리스타가 보도했다. 아디브 대사는 새 총리로 지명된 뒤 가능한 한 빨리 새로운 정부를 구성하겠다고 다짐했다.
레바논은 명목상 대통령제(임기 6년의 단임제)이지만 사실상 총리가 실권을 쥐는 내각제에 가깝다. 정파 간 권력 안배를 규정한 헌법에 따라 대통령은 마론파 기독교, 총리는 이슬람 수니파, 국회의장은 이슬람 시아파 출신이 각각 맡는 독특한 원칙을 유지하고 있다.
아디브 총리 지명자가 신속한 내각 구성을 공언했지만 새 정부 출범이 진통을 겪을 수 있다. 그동안 고위 직책을 누가 차지하는지를 두고 벌어지는 정파 갈등 때문에 통상 내각 구성에 수개월씩 걸렸다.
앞서 이달 10일 하산 디아브 총리가 이끌던 레바논 내각은 폭발 참사에 대한 책임으로 총사퇴를 발표했다. 지난 4일 레바논 수도 베이루트 항구에서 큰 폭발이 일어나 현재까지 약 190명이 숨지고 6000여 명이 다쳤다. 폭발로 인한 피해액은 약 150억달러로 추정된다. 당국은 항구에 수년간 보관된 인화성 물질 질산암모늄 약 2750t이 폭발한 것으로 보고 있다.
현재 레바논은 전 국민의 절반 이상이 빈곤선 아래에 있는 등 경제가 파탄이 난 실정이다. 오랫동안 사실상 권력을 세습해온 정파들의 무능과 부패가 이런 상황의 원인으로 지적되고 있다. 이 때문에 현 정치인들이 지목한 차기 총리 역시 디아브 전 총리와 별반 다르지 않을 것이라는 비판이 벌써 나오고 있다고 알자지라는 전했다.
레바논의 새 총리 지명은 에마뉘엘 마크롱 프랑스 대통령의 레바논 방문을 불과 수시간 앞두고 이뤄졌다. 마크롱 대통령은 31일 오후 레바논에 도착해 현지 당국자들에게 외국의 구제금융 등 원조를 받기 위해 선행돼야 할 개혁 조치를 시행하도록 압박할 예정이다.
앞서 그는 폭발 참사가 발생한 지 며칠 만에 주요국 정상 중 처음으로 레바논을 찾았으며, 이후 레바논 지원을 위한 국제사회의 논의를 주도하고 있다. 레바논은 과거 프랑스의 식민지로 두 나라는 여전히 정치 경제적으로 밀접한 관계를 유지하고 있다.
안정락 기자 jran@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