코로나19 고용 충격 회복세?…2차 대란 '폭풍전야'
-
기사 스크랩
-
공유
-
댓글
-
클린뷰
-
프린트
고용부 '7월 사업체노동력 조사'
1인이상 사업체 종사자 총 1844만명
전년동월대비 -13만8000명
"지난 4월 36만5000명 감소
저점 찍고 완만한 회복세"라지만
코로나19 재확산에 고용유지지원금 등
정부 대책 이달부터 종료
1인이상 사업체 종사자 총 1844만명
전년동월대비 -13만8000명
"지난 4월 36만5000명 감소
저점 찍고 완만한 회복세"라지만
코로나19 재확산에 고용유지지원금 등
정부 대책 이달부터 종료
지난달 국내 일자리가 13만8000개 줄어들었으나 감소폭은 3개월 연속 축소됐다. 지난 3월 이후 고용시장을 강타했던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충격이 진정세를 보이고 있다는 분석이다. 하지만 지난달부터 코로나19가 재확산하고 고용유지지원금 등 정부 지원책이 속속 종료되는 등 제2의 고용대란이 닥칠 것이라는 우려가 큰 상황이다.
고용노동부가 31일 발표한 '7월 사업체노동력 조사'에 따르면 지난달 말 기준 국내 1인 이상 사업체 종사자 수는 1844만6000명으로 지난해 같은 달에 비해 13만8000명(0.7%) 감소했다. 코로나19로 인한 고용충격이 가장 컸던 지난 4월 -36만5000명을 저점으로 5월 -31만1000명, 6월 -21만4000명에서 감소폭이 줄고 있다.
고용부 관계자는 "임시일용직 근로자가 지난 3월 이후 처음 증가세로 전환하는 등 지표상 고용시장 상황이 완만한 회복세를 보였다"면서도 "하지만 8월 들어 코로나19 상황이 나빠지면서 회복세를 이어갈지는 불투명한 상황"이라고 말했다.
지난달 고용지표가 다소 호전된 것은 정부의 공공일자리 확대가 큰 영향을 미쳤다. 재정일자리가 상당수인 '공공행정, 국방 및 사회보장행정' 분야에서만 전년 같은 달에 비해 6만4000명(8.6%)이 늘었다. 6월에도 이 분야에서만 4만9000명(6.6%)이 늘어 고용지표 개선을 이끌었다. 정부의 적극적인 개입으로 지표는 다소 개선됐지만 코로나19 충격이 대면 서비스업에서 제조업으로 확산하면서 상용직 일자리는 줄어들고 있다. 상용직은 계약기간이 1년 이상 일자리로, 상대적으로 양질의 일자리로 통한다. 상용직 일자리는 지난달 11만2000명(-0.7%)가 줄었다. 지난 3월 8000명이 줄어들며 감소세로 전환된 이후 4월 -13만3000명, 5월 -14만명, 6월 -12만6000명 등 매달 10만명 이상의 상용직이 고용시장에서 밀려나고 있다. 반명 계약기간이 1년 미만인 임시일용직은 지난달 1만8000명(1.0%)이 늘어 눈길을 끌었다. 임시일용직 증가는 지난 3월 이후 처음이다.
상용직 감소는 악화되는 제조업 고용 사정과 무관치 않다. 자동차 및 부품, 반도체 등이 속한 제조업 일자리는 지난달 7만3000개(-2.0%)가 사라졌다. 사상 최악의 감소폭을 기록했던 6월 -7만7000명에 근접한 수준이다. 제조업 일자리는 지난 3월 -1만1000명 이후 4월 -5만6000명, 5월 -6만9000명, 6월 -7만7000명으로 악화하고 있다.
입직이 늘고 이직이 줄어드는 등 얼어붙었던 고용시장이 움직이기 시작한 것은 긍정적이다. 지난달 입직은 98만명으로 전년동월 대비 7만8000명(8.6%)이 늘었고, 이직은 90만9000명으로 6000명(0.6%) 증가하는데 그쳤다. 채용 또한 83만1000명으로 1만8000명 가량 늘었다. 고용부 관계자는 "7월 입직자가 이직자보다 7만2000명이 많다는 것은 전월에 비해 근로자 수가 그만큼 늘었다는 의미"라고 설명했다.
고용지표가 지난 4월을 바닥으로 조금씩 개선되고 있지만 문제는 7월을 변곡점으로 다시 고꾸라질 가능성이 크다는 점이다. 우선 코로나19가 사실상 재창궐하면서 지난달 정부가 사회적 거리두기 단계를 2단계에서 2.5단계로 격상하며 경제활동이 급격히 위축되고 있기 때문이다. 향후 코로나19의 진정 여부를 지켜봐야겠지만 고강도 방역조치가 단기간내 끝나지 않는다면 숙박·음식업 등 서비스업과 임시일용직부터 또다시 타격을 입을 것으로 전망된다.
지난 3월 이후 막대한 재정을 쏟아부었던 고용유지 대책이 속속 종료되는 것도 내달 이후 고용지표가 우려되는 대목이다. 정부는 지난달 고용정책심의회에서 여행 항공 면세점 등 8개 특별고용지원업종을 제외한 일반업종에 대한 고용유지지원금 지원을 연장하지 않는다고 발표했다. 경영난에도 감원 대신 정부지원을 받아 유급휴직·휴업으로 고용을 유지하고 있는 사업장은 7만7973곳(8월 28일 기준)에 달한다. 이 가운데 근로자 10인 미만 사업장이 6만곳이 넘는다. 재정 지원 종료와 함께 영세 사업장발 고용대란이 우려되는 이유다.
코로나19로 생존 위기에 내몰린 기업들이 향후 채용을 더 줄이겠다는 조사결과도 나왔다. 고용부가 이날 발표한 올해 상반기 직종별 사업체노동력 조사에 따르면 기업들의 올해 2~3분기(4~9월) 채용 계획인원은 23만8000명으로 전년 같은 기간 대비 1만2000명(5.1%) 감소했다. 글로벌 금융위기 당시인 2009년 20만8000명 이후 최저치다. 문제는 이번 조사 시점이 5~6월로 코로나19가 안정적으로 관리되던 시기라 실제 채용인원은 더 줄어들 가능성이 크다는 점이다. 고용부 관계자는 "7월에만 해도 8월에 코로나19가 재확산할 것이라는 것을 예상하지 못했던 것처럼 실제 채용인원은 코로나19 상황 전개에 따라 크게 달라질 수 있다고 본다"고 말했다.
직종별 사업체노동력 조사는 매년 반기별로 기업들의 채용현황과 계획 등을 집계하는 조사로, 5인이상 사업체 약 3만2000곳을 표본으로 한다.
백승현 기자 argos@hankyung.com
고용노동부가 31일 발표한 '7월 사업체노동력 조사'에 따르면 지난달 말 기준 국내 1인 이상 사업체 종사자 수는 1844만6000명으로 지난해 같은 달에 비해 13만8000명(0.7%) 감소했다. 코로나19로 인한 고용충격이 가장 컸던 지난 4월 -36만5000명을 저점으로 5월 -31만1000명, 6월 -21만4000명에서 감소폭이 줄고 있다.
고용부 관계자는 "임시일용직 근로자가 지난 3월 이후 처음 증가세로 전환하는 등 지표상 고용시장 상황이 완만한 회복세를 보였다"면서도 "하지만 8월 들어 코로나19 상황이 나빠지면서 회복세를 이어갈지는 불투명한 상황"이라고 말했다.
지난달 고용지표가 다소 호전된 것은 정부의 공공일자리 확대가 큰 영향을 미쳤다. 재정일자리가 상당수인 '공공행정, 국방 및 사회보장행정' 분야에서만 전년 같은 달에 비해 6만4000명(8.6%)이 늘었다. 6월에도 이 분야에서만 4만9000명(6.6%)이 늘어 고용지표 개선을 이끌었다. 정부의 적극적인 개입으로 지표는 다소 개선됐지만 코로나19 충격이 대면 서비스업에서 제조업으로 확산하면서 상용직 일자리는 줄어들고 있다. 상용직은 계약기간이 1년 이상 일자리로, 상대적으로 양질의 일자리로 통한다. 상용직 일자리는 지난달 11만2000명(-0.7%)가 줄었다. 지난 3월 8000명이 줄어들며 감소세로 전환된 이후 4월 -13만3000명, 5월 -14만명, 6월 -12만6000명 등 매달 10만명 이상의 상용직이 고용시장에서 밀려나고 있다. 반명 계약기간이 1년 미만인 임시일용직은 지난달 1만8000명(1.0%)이 늘어 눈길을 끌었다. 임시일용직 증가는 지난 3월 이후 처음이다.
상용직 감소는 악화되는 제조업 고용 사정과 무관치 않다. 자동차 및 부품, 반도체 등이 속한 제조업 일자리는 지난달 7만3000개(-2.0%)가 사라졌다. 사상 최악의 감소폭을 기록했던 6월 -7만7000명에 근접한 수준이다. 제조업 일자리는 지난 3월 -1만1000명 이후 4월 -5만6000명, 5월 -6만9000명, 6월 -7만7000명으로 악화하고 있다.
입직이 늘고 이직이 줄어드는 등 얼어붙었던 고용시장이 움직이기 시작한 것은 긍정적이다. 지난달 입직은 98만명으로 전년동월 대비 7만8000명(8.6%)이 늘었고, 이직은 90만9000명으로 6000명(0.6%) 증가하는데 그쳤다. 채용 또한 83만1000명으로 1만8000명 가량 늘었다. 고용부 관계자는 "7월 입직자가 이직자보다 7만2000명이 많다는 것은 전월에 비해 근로자 수가 그만큼 늘었다는 의미"라고 설명했다.
고용지표가 지난 4월을 바닥으로 조금씩 개선되고 있지만 문제는 7월을 변곡점으로 다시 고꾸라질 가능성이 크다는 점이다. 우선 코로나19가 사실상 재창궐하면서 지난달 정부가 사회적 거리두기 단계를 2단계에서 2.5단계로 격상하며 경제활동이 급격히 위축되고 있기 때문이다. 향후 코로나19의 진정 여부를 지켜봐야겠지만 고강도 방역조치가 단기간내 끝나지 않는다면 숙박·음식업 등 서비스업과 임시일용직부터 또다시 타격을 입을 것으로 전망된다.
지난 3월 이후 막대한 재정을 쏟아부었던 고용유지 대책이 속속 종료되는 것도 내달 이후 고용지표가 우려되는 대목이다. 정부는 지난달 고용정책심의회에서 여행 항공 면세점 등 8개 특별고용지원업종을 제외한 일반업종에 대한 고용유지지원금 지원을 연장하지 않는다고 발표했다. 경영난에도 감원 대신 정부지원을 받아 유급휴직·휴업으로 고용을 유지하고 있는 사업장은 7만7973곳(8월 28일 기준)에 달한다. 이 가운데 근로자 10인 미만 사업장이 6만곳이 넘는다. 재정 지원 종료와 함께 영세 사업장발 고용대란이 우려되는 이유다.
코로나19로 생존 위기에 내몰린 기업들이 향후 채용을 더 줄이겠다는 조사결과도 나왔다. 고용부가 이날 발표한 올해 상반기 직종별 사업체노동력 조사에 따르면 기업들의 올해 2~3분기(4~9월) 채용 계획인원은 23만8000명으로 전년 같은 기간 대비 1만2000명(5.1%) 감소했다. 글로벌 금융위기 당시인 2009년 20만8000명 이후 최저치다. 문제는 이번 조사 시점이 5~6월로 코로나19가 안정적으로 관리되던 시기라 실제 채용인원은 더 줄어들 가능성이 크다는 점이다. 고용부 관계자는 "7월에만 해도 8월에 코로나19가 재확산할 것이라는 것을 예상하지 못했던 것처럼 실제 채용인원은 코로나19 상황 전개에 따라 크게 달라질 수 있다고 본다"고 말했다.
직종별 사업체노동력 조사는 매년 반기별로 기업들의 채용현황과 계획 등을 집계하는 조사로, 5인이상 사업체 약 3만2000곳을 표본으로 한다.
백승현 기자 argos@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