NYT 이어 다른 서방언론도 "탈홍콩 고려"…"비자 잘 안 나와"(종합)
-
기사 스크랩
-
공유
-
댓글
-
클린뷰
-
프린트
WSJ "일부 매체들, 컨틴전시 플랜 짜고 있다"
SCMP "NYT 홍콩 인력 축소, 특파원 비자 발급 거부서 비롯돼" 홍콩 국가보안법(홍콩보안법) 사태로 미국 뉴욕타임스(NYT)에 이어 다른 서방 유력 언론매체들도 일부 '탈(脫)홍콩' 계획을 고민 중인 것으로 전해졌다.
월스트리트저널(WSJ)은 15일(현지시간) 홍콩지사 인력의 3분의 1을 서울로 옮기기로 한 뉴욕타임스(NYT) 외에 "다른 글로벌 언론사들도 비슷한 움직임을 고려 중"이라고 보도했다.
WSJ은 이 사안을 잘 아는 소식통들을 인용해 "일부 매체는 필요할 경우 역내 다른 곳으로 옮길 컨틴전시 플랜(비상대응계획)을 짜고 있다"고 전했다.
전에는 관행적으로 발급하던 외국 언론인들에 대한 비자가 최근 몇 달 동안 쉽게 나오지 않는다는 점도 홍콩 주재 외신들의 업무를 어렵게 하는 상황이다.
우선 NYT는 홍콩을 기반으로 활동하던 디지털 뉴스 인력을 내년 한국으로 이동시킬 계획이라고만 밝혔지만, 비자가 만료돼 더는 홍콩에서 취재할 수 없는 선임 기자들도 이동 대상에 포함된다고 익명의 관계자들이 밝혔다.
홍콩 사우스차이나모닝포스트(SCMP)는 소식통들을 인용해 NYT의 홍콩 인력 축소가 특파원 비자 발급 문제에서 비롯됐다고 전했다.
소식통들에 따르면 미·중 갈등 속에서 지난 3월 기자증 시효 연장이 거부돼 사실상 추방당한 크리스 버클리 뉴욕타임스 베이징 특파원이 홍콩에 비자를 신청했으나, 홍콩 당국이 비자 발급을 거부했다고 한다.
버클리 특파원은 중국에서 24년을 보낸 베테랑 특파원으로, 지난 3월 워싱턴포스트(WP), 월스트리트저널(WSJ) 등 다른 특파원 2명과 함께 기자증 시효 연장이 거부돼 중국을 떠나야 했다.
그는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확산으로 봉쇄된 중국 우한(武漢)에 76일 동안 머무르며 우한 상황을 전하기도 했다.
중국 당국은 중국 본토에서 취재 활동을 하지 못하는 언론인이 홍콩에서 취재할 수는 없다는 방침이라고 SCMP는 전했다.
홍콩 언론학자인 브루스 루이는 "'국제 금융 허브'로서 홍콩은 자유로운 정보의 유통을 보장해 왔다"며 "비자 발급을 거부해 언론인의 활동을 막는 것은 홍콩의 상황이 악화한다는 것을 보여준다"고 비판했다.
미국의 다른 유력지인 WSJ과 워싱턴포스트(WP) 역시 필요할 경우 다른 지국으로 홍콩 인력을 옮길 가능성에 대해 검토 중이라고 소식통들이 전했다.
WP 대변인은 홍콩보안법의 영향을 평가 중이라면서도 아직 홍콩의 현장 운영을 축소하지 않을 생각이라고 밝혔다.
당초 WP는 현재 2명뿐인 홍콩 인력을 확대해 아시아 취재 기지로 삼을 계획이었다.
CNN방송의 한 대변인은 당장 직원들을 다른 곳으로 옮길 계획은 없다면서도 "만약 홍콩에서의 활동이 위협받는다면 우리는 당연히 검토할 것"이라고 말했다.
외신 기자들이 홍콩보안법에서 특히 우려하는 것은 홍콩 당국에 '외국 뉴스 매체의 관리와 점검을 강화하기 위해 필요한 조치를 할' 권한을 부여한다는 54조 조항이다.
조디 슈나이더 홍콩외신기자클럽 회장은 "비자가 홍콩보안법의 영향을 받을 가능성을 우려한다"고 말했다.
그동안 홍콩은 언론의 자유를 보장해 수십 년 동안 주요 서방매체들의 아시아 뉴스 허브 지위를 누려왔다.
리서치회사 텔럼미디어에 따르면 홍콩에 주재하는 기자들의 수는 8천여명으로 다수는 무역과 금융 관련 매체에서 일한다.
/연합뉴스
SCMP "NYT 홍콩 인력 축소, 특파원 비자 발급 거부서 비롯돼" 홍콩 국가보안법(홍콩보안법) 사태로 미국 뉴욕타임스(NYT)에 이어 다른 서방 유력 언론매체들도 일부 '탈(脫)홍콩' 계획을 고민 중인 것으로 전해졌다.
월스트리트저널(WSJ)은 15일(현지시간) 홍콩지사 인력의 3분의 1을 서울로 옮기기로 한 뉴욕타임스(NYT) 외에 "다른 글로벌 언론사들도 비슷한 움직임을 고려 중"이라고 보도했다.
WSJ은 이 사안을 잘 아는 소식통들을 인용해 "일부 매체는 필요할 경우 역내 다른 곳으로 옮길 컨틴전시 플랜(비상대응계획)을 짜고 있다"고 전했다.
전에는 관행적으로 발급하던 외국 언론인들에 대한 비자가 최근 몇 달 동안 쉽게 나오지 않는다는 점도 홍콩 주재 외신들의 업무를 어렵게 하는 상황이다.
우선 NYT는 홍콩을 기반으로 활동하던 디지털 뉴스 인력을 내년 한국으로 이동시킬 계획이라고만 밝혔지만, 비자가 만료돼 더는 홍콩에서 취재할 수 없는 선임 기자들도 이동 대상에 포함된다고 익명의 관계자들이 밝혔다.
홍콩 사우스차이나모닝포스트(SCMP)는 소식통들을 인용해 NYT의 홍콩 인력 축소가 특파원 비자 발급 문제에서 비롯됐다고 전했다.
소식통들에 따르면 미·중 갈등 속에서 지난 3월 기자증 시효 연장이 거부돼 사실상 추방당한 크리스 버클리 뉴욕타임스 베이징 특파원이 홍콩에 비자를 신청했으나, 홍콩 당국이 비자 발급을 거부했다고 한다.
버클리 특파원은 중국에서 24년을 보낸 베테랑 특파원으로, 지난 3월 워싱턴포스트(WP), 월스트리트저널(WSJ) 등 다른 특파원 2명과 함께 기자증 시효 연장이 거부돼 중국을 떠나야 했다.
그는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확산으로 봉쇄된 중국 우한(武漢)에 76일 동안 머무르며 우한 상황을 전하기도 했다.
중국 당국은 중국 본토에서 취재 활동을 하지 못하는 언론인이 홍콩에서 취재할 수는 없다는 방침이라고 SCMP는 전했다.
홍콩 언론학자인 브루스 루이는 "'국제 금융 허브'로서 홍콩은 자유로운 정보의 유통을 보장해 왔다"며 "비자 발급을 거부해 언론인의 활동을 막는 것은 홍콩의 상황이 악화한다는 것을 보여준다"고 비판했다.
미국의 다른 유력지인 WSJ과 워싱턴포스트(WP) 역시 필요할 경우 다른 지국으로 홍콩 인력을 옮길 가능성에 대해 검토 중이라고 소식통들이 전했다.
WP 대변인은 홍콩보안법의 영향을 평가 중이라면서도 아직 홍콩의 현장 운영을 축소하지 않을 생각이라고 밝혔다.
당초 WP는 현재 2명뿐인 홍콩 인력을 확대해 아시아 취재 기지로 삼을 계획이었다.
CNN방송의 한 대변인은 당장 직원들을 다른 곳으로 옮길 계획은 없다면서도 "만약 홍콩에서의 활동이 위협받는다면 우리는 당연히 검토할 것"이라고 말했다.
외신 기자들이 홍콩보안법에서 특히 우려하는 것은 홍콩 당국에 '외국 뉴스 매체의 관리와 점검을 강화하기 위해 필요한 조치를 할' 권한을 부여한다는 54조 조항이다.
조디 슈나이더 홍콩외신기자클럽 회장은 "비자가 홍콩보안법의 영향을 받을 가능성을 우려한다"고 말했다.
그동안 홍콩은 언론의 자유를 보장해 수십 년 동안 주요 서방매체들의 아시아 뉴스 허브 지위를 누려왔다.
리서치회사 텔럼미디어에 따르면 홍콩에 주재하는 기자들의 수는 8천여명으로 다수는 무역과 금융 관련 매체에서 일한다.
/연합뉴스